반응형




OpenSSH_6.0.0.6101.tar.Z


openssl-0.9.8.2400.tar.Z


AIX 6.1 SSh 서버 설치



1. 권한 : root 로 접근 (/tmp/ssl/ 폴더에 위의 파일들 업로드)

2. 압축 풀기

   $> cd /tmp/ssl/

   $> gzip -d *.Z

3.TAR 풀기

   $> tar xvf openssl-0.9.8.2400.tar

4. 설치

   $> cd /tmp/ssl/openssl-0.9.8.2400

   $> smitty installp

   -> accept 권한 모두 Yes로 설정 설치

5. 서비스 재시작

   $> stopsrc -s ssh

   $> startsrc -s ssh


※ 일부 서버에서는 별도로 (stopsrc로.. 멈출수 없는) 돌리는 것이 존재

  $> ps -ef | grep ssh 로 조회되는 사항 모두 kil로 삭제...

..............................................


installp -I"Y" -d /tmp/ssl/openssl-0.9.8.2400 all

installp -I"Y" -d /tmp/ssl/openSSH_6.0.0.6101 all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서버 시간 설정 하기  (0) 2012.08.06
AIX VNC 설정하기  (2) 2012.07.26
AIX 칩입 확인 해보자 !  (0) 2011.03.23
IBM JVM -Xloratio 옵션  (0) 2011.03.03
날짜 관련 얻기  (0) 2011.03.02
반응형

 

내 컴퓨터 윈도우 7 설치 가능한지 확인하는

 

Windows 7 업그레이드 관리자 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가능한 사항과 항목이 되는지 검사 !

 

 

 

http://www.microsoft.com/ko-kr/download/details.aspx?id=20

반응형
반응형

사이베이스 IQ 관리자 과정 사용했던 Script...

 

 

EDB785.zip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DB 접근 툴  (0) 2019.08.19
무료 ERD 툴 ERMASTER  (0) 2019.08.08
damo 암호화 컬럼 복원시 주의사항  (0) 2017.08.20
JNDI Log4SQL 적용 예...  (0) 2011.04.21
SQL LITE 사용 프로그램  (0) 2010.04.14
반응형

블루스택스 란...

 

윈도우에서 모바일 프로그램을 가동하는 프로그램이다..

 

다운로드 주소는

 

http://bluestacks.com/

 

같다..

 

자세한 방법은 인터넷을 검색하라 !

 

단말기의 정보를 변경하는 방법은

 

bluestacks 의 레지스트리 키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재설치를 하지 않고 손쉽게 변경 가능하다.

 

시작 -> 실행 -> REGEDIT

 

키 주소(1번 키주소)

[HKEY_LOCAL_MACHINE\SOFTWARE\BlueStacks]

 

이름

USER_GUID 해당되는 값을 변경하면 됨.

 

키 주소(2번 키주소)

[HKEY_LOCAL_MACHINE\SOFTWARE\BlueStacks\Guests\Android]

BootParameters  해당되는 GUID에 값을 위의 키주소 이름에서 적용되는 값으로 변경함.

 

일반적인 GUID 와  USER_GUID 값은

8dfcb602-4b7d-11e1-9dc9-f3dea6cb4293

 

와 같다

 

즉 위에서 값들을 적당히 변경하고 GUID와  USER_GUID를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변경된 단말기로 인식한다

 

 

첨부한 REG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 변경하고자 하는 GUID값으로 채워놓고

 

두번 클릭하여 실행하면 즉시 변경 가능하다.

 

 

CHANGE_KEY.reg

 

 

위의 reg를 적용한뒤... 우측 하단에 작은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을 누르면 재시작이 있으니 반드시 재기동해야 함 ~~

반응형
반응형

svn 데이터 dump 및 load 방법( Repository 를 MyTest 로 가정)

1. 해당 Repository 가 생성된 상위 directory 로 이동 한다.

2. Repository 를 dump 한다.
  command >> svnadmin dump MyTest > MyTest.20006.09.09.dump
     ->  전체 dump
  command >> svnadmin dump MyTest -r 10 > MyTest.20006.09.09.dump
     -> 리비전 10 만 dump
  command >> svnadmin dump MyTest -r 10:20 > MyTest.20006.09.09.dump
     -> 리비전 10 부터 20 까지 만 dump

3. 새로운 Repository 를 생성 한다. (Repository 를 MyTestNew 로 가정)
  command >> 
svnadmin create MyTestNew

4. dump 된 데이터를 load 한다. (Repository 를 MyTestNew 로 가정)
  command >> svnadmin load MyTestNew < MyTest.20006.09.09.dump
     -> 새로운 리비전 으로 load (리비전 번호는 1부터 생성)
  command >> svnadmin load MyTestNew --force-uuid < MyTest.20006.09.09.dump
     
-> 기존 dump 했던 리비전 유지

# 기존 리비전을 유지 하면 좋은점.
   1. 동일한 URL 일 경우 Client 에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이 기존에 사용
      하던 그대로 사용 가능.
   2. URL 이 바뀐 경우는 저장소 URL 변경을 수행후 기존에 사용 하던 그대로 사용 가능.

.



추가로 start_svn.sh 쉘 (svn을 시작하는 쉘)


 PSCNT=`ps -ef | grep -i svnserve | grep -v grep | wc -l | awk {'print $1'}`
 if [ ${PSCNT} -gt 0 ]; then

        echo ""

        echo "SVN Process already Running..."

        echo ""

else

        echo ""

        echo "Run SVN"

        /svn/bin/svnserve -d -r /svn

        echo ""

fi



stop_svn.sh 쉘(svn을 종료하는 쉘)


PSCNT=`ps -ef | grep -i svnserve | grep -v grep | wc -l | awk {'print $1'}`
PSNUM=`ps -ef | grep -i svnserve | grep -v grep | awk {'print $2'}`
if [ ${PSCNT} -gt 0 ]; then
        echo ""
        echo "SVN Process Stopping..."
        kill -9 ${PSNUM}
        echo ""
else
        echo ""
        echo "SVN IS NOT RUNNING..."
        echo ""
fi


반응형

'정부표준프레임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Reference Site  (0) 2019.06.19
반응형


출처 : http://blog.naver.com/onlywin7788?Redirect=Log&logNo=140155221360

출처 : http://cafe.naver.com/ocmkorea/book2025209/9365


/*


--> 방식 1. (이 sql문은 이 방식임)

        1. 테이블 전체 목록 조회

           SQL> select * from tab;


        2. 수행한 쿼리의 Plan을 조회

           SQL> @xplan.sql


        3. 정확한 통계를 위해 힌트 실행

           SQL> select /*+ gather_plan_statistics */ * from tabs;


        * 오타 나지 않도록 주의함.


--> 방식 2

        1. 실행시 Plan  수집

           SQL> EXPLAIN FOR

                 SELECT * FROM TAB;


        2. 실제 정보 조회

           SQL> select * from tab(dbms_xplan.display());


                or


           SQL>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 null, 'ALLSTATS LAST +alias +outline +predicate'))

/




--> 인자 정보


        dbms_xplan.display_cursor(인자1, 인자2, 인자3);


        인자1 : plan table 명을 입력하며, 따로 지정하지 않았을 때는 기본으로 'PLAN_TABLE'이다.


        인자2 : Execution Plan시 Set STATEMENT_ID를 지정한 경우 이를 불러올 수 있다.

                값이 Null일 경우 마지막에 실행된 문장을 불러온다.


        인자3 : 출력 포맷 형태 지정한다.



--> 세번째 인자의 포맷 정보


        1) 기본 Format Controller :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기본적인 Controller임.

                                    적용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기본값으로 적용된다.


        -----------------------------------------------------------------------------------------------------------------------------------------------------------------------


                basic    : 가장 기본적인 포맷으로서 Id, Operation, Object Name을 출력한다.

                typical  : basic 옵션에서 한발 더 나아가서 Optimizer가 예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보여준다.

                           출력되는 정보로는 예상 Rows, 예상 Bytes, 예상 Temporary Space 사용량, Cost 예상 시간 Predicate Imformat(Operation 별로 Access 및 Filter 정보)이다.

                serial   : typical과 같으나 Parallel 쿼리 사용시 관련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all      : Plan 정보는 typical과 같으나 Plan이외의 정보 중에서 Outline Data 정보를 제외하고 전부 출력한다.

                advanced : all과 같지만 Peeked Binds, Outline Data, Note 등을 더 보여준다.


        -----------------------------------------------------------------------------------------------------------------------------------------------------------------------


        2) 세부 Format Controller : 기본 포맷정보에 의해서 표시되거나 생략되는 세부적인 포맷을 Control한다.

                                    이 Control은 +표시로 추가되거나 - 표시로 생략이 가능하다.


        -----------------------------------------------------------------------------------------------------------------------------------------------------------------------


                alias    : 가장 기본적인 포맷으로서 Id, Operation, Object Name을 출력한다.

                bytes    : basic 옵션에서 한발 더 나아가서 Optimizer가 예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보여준다.

                           출력되는 정보로는 예상 Rows, 예상 Bytes, 예상 Temporary Space 사용량, Cost 예상 시간 Predicate Information (Operation 별로 Access 및 Filter 정보)이다.

                cost     : typical과 같으나 Parallel쿼리 사용시 관련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note     : Plan 정보는 typical과 같으나 Plan이외의 정보 중에서 Outline Data 정보를 제외하고 전부 출력한다.

                outline  : all과 같지만 Peeked Binds, Outline Data, Note 등을 더 보여준다.

                parallel : Parallel 쿼리인 경우 TQ, IN-OUT, PQ Distribute 등의 정보를 Control한다.

                partition : Partition Access가 포함된 경우

                peeked_binds : Bind 변수의 값을 control 한다. 단, _optim_peek_user_binds 파라미터의 값이 true로 되어 있는 경우에만 해당되며 파라미터는 세션 단위로 수정이

                               가능하다. (Explain Plan은 출력되지 않음)

                predicate : Predicate Information을 Control한다. Operation 별로 Access 및 Filter 정보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튜닝시 가장 눈 여겨봐야 할 정보이다.

                projection : Projection Information을 Control한다. Operation 별로 Select 되는 컬럼 정보를 나타낸다.

                remote   : DB Link를 사용할 때 Remote 쿼리의 수행 정보를 Control한다.

                rows     : Plan상의 E-Rows 수를 Control한다.


        -----------------------------------------------------------------------------------------------------------------------------------------------------------------------


        3) 실행통계 Format Controller : 이 Control을 적용하면 실행시의 PGA 통계를 출력한다.


        이 정보들은 DBMS_XPLAN.DISPLAY 함수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Explain Plan은 실제 수행되는 것이 아니므로 실행통계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DBMS_XPLAN.DISPLAY_CURSOR 이나 DBMS_XPLAN.DISPLAY_AWR등의 함수 수행시에도 GATHER_STATISTICS 힌트를 주거나 아니면 STATISTICS_LEVEL 파라미터를 ALL로 설정해야 출력이 가능하다.


        -----------------------------------------------------------------------------------------------------------------------------------------------------------------------


                allstats : I/O 통계정보(Buffers, Reads, Writes)와 PGA 통계 정보(OMem, 1Mem, Used-Mem, Used-Tmp, Max-Tmp 등)를 동시에 Control 한다.

                iostats  : I/O 통계정보(Buffers, Reads, Writes)를 Control 한다.

                last     : 실행 통계 출력시 이 Control을 명시하면 가장 마지막에 수행된 실행 통계를 출력한다.

                           이 Control을 명시하지 않으면 실행 통계츼 누적치를 출력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memstats : PGA 통계정보(OMem, 1Mem, Used-Mem, Used-Tmp, Max-Tmp등)를 동시에 Control한다.

                runstats_last : iostats과 last Control 과 동일하다.

                                이 Control은 Oracle 10g Release 1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runstats_tot : iostats Control과 동일하다.

                               이 Control은 oracle 10g Release 1 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runstats_last와 runstats_tot를 제외한 4가지의 Control은 Oracle 10g Release 2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4) format 사용 예제


        Format중 가장 많은 정보를 출력 할 수 있는 포맷은 'advanced allstats last'이며 출력 가능한 모든 내용이 출력되게 되므로 상황이나, 자신에 맞는 포맷을 사용해야 적절함.


        4-1) 쿼리 변형이 없는 단순 쿼리 튜닝의 경우(최대한 단순한 포맷형태 사용)


             SQL>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NULL,'allstats last-rows + predicate');


             => 포맷을 'allstats last-rows + predicate'로 주었으므로 예측 Row 수(E-row)가 생략되고 실행통계와 Predicate Information 만 출력된다.


        4-2) 쿼리 변형이 발생하거나 복잡한 쿼리 튜닝시 쿼리 블러과 힌트 정보를 추가로 출력


             SQL>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 NULL, 'allstats last-rows + alias + outline + predicate');


             => 'allstats last-rows + alias + outline + predicate' 포맷을 사용하면 Query Block Name / Object Alias 정보와 Outline Data 정보가 추가로 출력된다.


                + alias는 쿼리블럭 정보를 추가하는 것이며, + Outline는 오라클이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힌트정보 출력의 의미이다.


                쿼리 변형이 발생한 경우나 뷰(혹은 인라인뷰) 등을 튜닝할 경우 적합한 옵션이다.


        -----------------------------------------------------------------------------------------------------------------------------------------------------------------------



        10046 + tkprof 와 동일한 정보를 조회는

        select /*+ gather_plan_statistics */ * from tab;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 null, 'advanced ALLSTATS LAST +alias +outline +predicate'))


        -----------------------------------------------------------------------------------------------------------------------------------------------------------------------



AWR 정보를 이용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AWR(SQL_ID입력,NULL,NULL, 'ADVANCED ALLSTATS LAST'));


사용 권한 뷰


DISPLAY_CURSOR 함수 : V$SQL_PLAN, V$SESSION, V$SQL_PLAN_STATISTICS_ALL 뷰에 대한 SELECT 권한 필요

DISPLAY_AWR    함수 : DBA_HIST_SQL_PLAN, DBA_HIST_SQLTEXT, V$DATABASE 뷰에 대한 SELECT 권한 필요

DISPLAY_SQLSET 함수 : ALL_SQLSET_STATEMENTS, ALL_SQLSET_PLANS 뷰에 대한 SELECT 권한 필요


*/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 null, 'ALLSTATS LAST +alias +outline +predicate'))

/




반응형
반응형

처음으로 써보네요...


파이널 판타지 에어본 브리게이드 라는 게임을 접한지 일주일째네요....


현재


공격과 방어가 모두 5만을 넘고 있습니다...





간단하지만


각 직업과 돈버는 방법에 대해 공략을 해보려고 합니다...


참!!!


혹.... 아직 친구 추천 안하셨다면 !



  파이널 판타지 에어본 브리게이드 실행 -> 좌측 하단에 MY Page 클릭 -> 추천인 입력 란에 ->
  cdf8c5f1


자 먼저


각 직업을 알아보겠습니다..



직업 : 캐릭터들의 직업을 의미합니다.

유형 : 캐릭터들의 어빌리티 타입을 의미합니다.

민첩 : A ~ E까지 알파벳 순서가 빠른(A가 가장빠름)순으로 직업간 공격 순서가 빠름을 의미합니다.

특기무기 : 해당 직업으로 특기무기를 사용하면 보너스를 얻는 무기를 의미합니다.

Lv10 무기 : 해당 직업으로 레벨 10에 도달하면 추가로 얻는 특기무기를 의미합니다.

경험치 : 제일 하단부에 정리되어 있지만, A가 성장이 빠르고 C가 가장 느립니다.


1. 게임 시작시 초기 선택 가능한 직업



 


 


 


 


 직업 : 전사
 유형 : 체력
 민첩 : C
 특기무기 : 대검
 Lv10무기 : 창

 경험치 : A

 직업 : 뭉크
 유형 : 체력
 민첩 : B
 특기무기 : 격투
 Lv10무기 : 지팡이

 경험치 : A

 직업 : 도적

 유형 : 기술

 민첩 : A

 특기무기 : 단검

 Lv10무기 : 던지기

 경험치 : A

 직업 : 백마도사
 유형 : 마법
 민첩 : E
 특기무기 : 지팡이

 Lv10무기 : 로드

 경험치 : A 



 


 


   

 직업 : 흑마도사
 유형 : 마법
 민첩 : E
 특기무기 : 로드
 Lv10무기 : 낫
 경험치 : A

 직업 : 적마도사
 유형 : 마법

 민첩 : D

 특기무기 : 검

 Lv10무기 : 지팡이

 경험치 : A

   



2. 특수직업

* 각 특수직업별 습득 조건

  - 풍수사 : 게임시작 후 7일 로그인

  - 사냥꾼 : 미스트 지역 '수행승의 산 7번지구' 보스 클리어

  - 버서커 : 뿌라보카 지역 '다크엘프의 성 7번지구' 보스 클리어

  - 도박사 : 무어 지역 '큰 숲 7번지구' 보스 클리어

  - 곡예사 : 화부르 지역 '노예의 탑 7번지구' 보스 클리어

  - 대장장이 : 론카 지역 '안개의 유적 7번지구' 보스 클리어


 


 


 


 


 직업 : 풍수사

 유형 : 기술

 민첩 : D

 특기무기 : 악기

 Lv10무기 : 도끼

 경험치 : B

 직업 : 사냥꾼
 유형 :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활

 Lv10무기 : 총

 경험치 : B 

 직업 : 마법검사

 유형 : 마법

 민첨 : D

 특기무기 : 검

 Lv10무기 : 단검

 경험치 : B

 직업 : 버서커
 유형 : 체력
 민첨 : B
 특기무기 : 격투
 Lv10무기 : 낫
 경험치 : B 



 


 


 


 

 직업 : 도박사
 유형 :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총
 Lv10무기 : 던지기
 경험치 : B

 직업 : 대장장이
 유형 : 기술
 민첩 : D
 특기무기 : 지팡이
 Lv10무기 : 도끼
 경험치 : B 

 직업 : 곡예사
 유형 : 마법

 민첨 : -

 특기무기 : 단검

 Lv10무기 : 활

 경험치 : 유형 B 

 




3. 2차 상위 직업

* 각 2차 상위 직업별 습득 조건

  - 무희 : 도적 레벨5 + 적마도사 레벨10

  - 팔라딘 : 몽크 레벨5 + 백마도사 레벨10

  - 용기사 : 전사 레벨10 + 도적 레벨10

  - 바이킹 : 곡예사 레벨10 + 대장장이 레벨5

  - 청마법사 : 적마도사 레벨15 + 대장장이 레벨10

  - 암흑기사 : 전사 레벨5 + 흑마도사 레벨10



 


 


 


 


 직업 : 팔라딘

 유형 : 체력, 마법

 민첩 : C

 특기무기 : 대검

 Lv10무기 : 지팡이

 경험치 : B

 직업 : 암흑기사
 유형 : 체력, 마법

 민첩 : D

 특기무기 : 검

 Lv10무기 : 낫

 경험치 : B 

 직업 : 용기사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D

 특기무기 : 창

 Lv10무기 : 검

 경험치 : B 

 직업 : 무희
 유형 : 기술, 마법
 민첩 : A
 특기무기 : 단검
 Lv10무기 : 격투
 경험치 : C 



 


 


 


 


 직업 : 바이킹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격투
 Lv10무기 : 도끼
 경험치 : C

 직업 : 머시너리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활
 Lv10무기 : 창
 경험치 : C 

 직업 : 청마법사
 유형 : 기술, 마법
 민첩 : D
 특기무기 : 검
 Lv10무기 : 로드
 경험치 : C 

 직업 : 화술사

 유형 : 기술, 마법

 민첩 : -

 특기무기 : 총

 Lv10무기 : 단검

 경험치 : C 



4. 3차 상위 직업

* 3차 상위 직업별 습득 조건

   - 공수가 : 무희 레벨5 + 버서커 레벨5

   - 닌   자 : 무희 레벨10 + 몽크 레벨 10

   - 사무라이 : 전사 레벨10 + 용기사 레벨15

   - 룬나이트 : 팔라딘 레벨5 + 마법검사 레벨5



 


 


 


 


 직업 : 닌자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A

 특기무기 : 도

 Lv10무기 : 던지기

 경험치 : C

 직업 : 사무라이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B

 특기무기 : 도

 Lv10무기 : 창

 경험치 : B 

 직업 : 룬나이트
 유형 : 체력, 마법
 민첩 : C
 특기무기 : 대검
 Lv10무기 : 검
 경험치 : C 

 직업 : 공수가
 유형 : 기술, 마법
 민첩 : B
 특기무기 : 격투
 Lv10무기 : 던지기
 경험치 : C 



5. 4차 상위 직업

* 4차 상위 직업별 습득 조건

   - 어쌔신 : 도박꾼 레벨10 + 닌자 레벨5

   - 검   성 : 마법검사 레벨10 + 사무라이 레벨10



 


 


   

 직업 : 어쌔신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도
 Lv10무기 : 활
 경험치 : C 

 직업 : 검성
 유형 : 체력, 기술

 민첩 : C

 특기무기 : 대검

 Lv10무기 : 도

 경험치 : C 

   



6. 파이널 판타지 에어본 브리게이드의 직업별 경험치 표입니다.

  - BP를 소모하여 비공정단에서 환수들을 공격할 때 경험치를 얻을수 있으며 아래의 경험치 표에서 Lv를 비교 가능합니다.

ex) 검성은 경험치가 C 타입이므로 경험치가 160일때는 Lv 4이다.


 경험치 A

경험치 B 

경험치 C 

 직업 Lv

필요 경험치 

직업 Lv 

필요 경험치 

직업 Lv 

필요 경험치 

 Lv 1  0    Lv 1  0    Lv 1  0

 Lv 2

 30    Lv 2  60    Lv 2  90

 Lv 3

 40    Lv 3

 80

   Lv 3  120

 Lv 4 

 50    Lv 4   100    Lv 4   150
 Lv 5  60    Lv 5  120    Lv 5  180
 Lv 6  70    Lv 6  140    Lv 6  210
 Lv 7
 80    Lv 7  160    Lv 7  240
 Lv 8  90    Lv 8  180    Lv 8  270
 Lv 9  100    Lv 9  200    Lv 9  300
 Lv 10  110    Lv 10  220    Lv 10  330
 Lv 11  120    Lv 11  240    Lv 11  360
 Lv 12  130    Lv 12  260    Lv 12  390
 Lv 13

 140

   Lv 13  280    Lv 13  420
 Lv 14  150    Lv 14  300    Lv 14  450
 Lv 15  160    Lv 15  320    Lv 15  480
 Lv 16  170    Lv 16

 350

   Lv 16  510
 Lv 17  180    Lv 17  380    Lv 17  540
 Lv 18  190    Lv 18  400    Lv 18  570
 Lv 19  200    Lv 19  420    Lv 19  600
 Lv 20  210    Lv 20  450    Lv 20  630



다음으로는 각 무기 및 어빌리티를 알아보겠습니다.


1. 무기

   - 등급 : SR+ > SR > R+ > R > N+ > N 순으로 나뉘며, SR 이상이라도 아주 좋은편에 속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 무기와 관련하여 CST 수치와 Lv(레벨)이 중요합니다.

     즉, SR 이상급으로 강화를 하시는 것을 추천하며, 그 등급에 속성이 존재하다면 더욱 좋습니다.


     강화하는 방법(어빌리티 및 무기) ==> 강화를 하면 Lv을 올릴수 있습니다.

     a. 중간 하단에 강화를 누름

     b. 아래의 화면은 어빌리티 이며, 중간에 인사용강화를 사용하여 강화하는 것을 추천한다.

        => 이유는 자동강화로하는 일반 어빌리티(N+,N 등급)은 비용은 많이 드나 렙업이 미비하므로,

            아래 화면에 제일 하단에 어빌티리 판매를 사용하여 일반 어빌리티들은 주기적으로 팔고,

            인사용 강화를 통해 강화 하라.

     c. 어빌리티 속성 : 아래의 세이트그로크(SR)을 클릭하면 상세 속성이 나오고 아래의 * 표시는 광 속성을 의미한다.






2. 어빌리티

   - 등급은 위의 무기등급과 동일하며,

      초코보라는 녀석을 통해 습득 가능합니다.

      초코보란? 타조(?) 비스무리한 녀석들로 좋은 아이템을 주는 것은 색으로 구분합니다.

      붉은색 : 이벤트 기간에 나오는 녀석들로 레어 등급 이상 줌.

      흰   색 :  평상시 가장 좋은 아이템을 주는 녀석들로 SR+ 등급까지 얻을수 있다고 합니다.

                  어빌리티등을 얻고 싶으면 100% 확률 : 봄프 캐럿 / 낮은 확률 : 기절의 야채 입니다.

                  ※ 봄프 캐럿을 준다고 반드시 좋은 아이템을 주지는 않습니다... !!!

      검은색 : 흰색 보다는 낮은 등급의 어빌리티를 줍니다.

      노란색 : N,N+등급의 어빌리티를 줍니다.(기절의 야채만 줄수 있음)

   

      초코보 등급

      붉은색 > 흰색 > 검은색 > 노란색

      봄프 캐럿 : 유료로 돈을 주고 사거나 친구 추천 등 이벤트을 통해 간혹 얻을수 있습니다.

 

   - 위에 보듯이 흰 등급 이상일때만 봄프 캐럿을 주도록 합니다. ^^


3. CST ?

   - 파이널 판타지 에어본 브리게이드는 무기나 어빌리티, 소환수를 여러개 가질수 있습니다.

      이중, 무기와 어빌티는 CST 값으로 들수 있습니다.

     ex) 무기마다 각각의 CST 값이 있으며 들수 있는 무기들의 전체 합은 내 CST 총합을 넘을수 없다.

          CST 증가방법은? 렙업! (한개씩 증가함)


마지막으로 돈벌기 !


가장 좋은 방법은 렙업, 강화, 파티가입이다 ㅎㅎ;


위의 보듯이 인사용 강화를 통해 SR 등급 이상의 장비에 바른다...


무기나 어빌리티가 강화하면, 내 ATK(공격) DEF(방어) 지수가 상승되며, 


파티를 가입하면 강력한 환수를 만났을때


파티원끼리 같이 죽일 수 있으므로 보상을 받는다


하루에 보통 10만 GIL 이상 얻으며(현재 내기준...)


뻘짓을 하지 않으면 금방 쌓일 것 같다...


이것으로 간단한 공략을 마친다...(5시간 걸렸따-_-...)


마지막으로...


아템 및 환수를 얻고 싶다면 !!! 추천 부탁드려요^^;(추천하면 추천하신분과 제가 같이 템을 얻습니다.)


다음에는 진화와 관련된 내용을 기재하겠습니다. ^^



  파이널 판타지 에어본 브리게이드 실행 -> 좌측 하단에 MY Page 클릭 -> 추천인 입력 란에 -> 
  cdf8c5f1

반응형
반응형

크롬에서 Windows Media Player를 설치할 때


보안상의 이유로 계속 설치가 안될 때가 있다...


다운로드 받아서도 계속 설치가 안된다 -_-..


그럴때 방법


wmpChrome.crx 파일을 wmpChrome.zip 으로 변경


위의 zip 파일의 압축을 푼다


크롬의 우측 상단에 스패너 클릭 -> 설정 -> 확장 프로그램 -> 압축해제된 확장 프로그램 로드... -> 위의 압축 해제한 폴더를 등록함.

※ 주소창에 chrome://chrome/extensions/ 를 입력하면 바로 뜬다....


그러면 바로 아래의 화면과 같이 설치가 안되는 이유(매니페스트 버전1은 잠정 중단으로 설치) 안됨을 알수가 있으며,

사용 설정됨이 체크되면 해당 웹페이지에서 Windows Media Player가 정상적으로 로딩 됨을 알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AIX에서 시간 동기화 하기

 

1. TZ 설정(직접 설정)
    AIX 6.1 이상
    > smitty chtz_user
    AIX 6.1 미만
    > smitty chtz

2. 세부 설정
   # smitty chtz_date (1번 항목의 내용도 포함됨)
   Change Time Zone Using User Inputted Values

   Standard Time ID(only alphabets) : KORST
   Standard Time Offset from CUT : -9

3. 리부팅
   # rebooting

4. 시간 동기화
   # setclock time.bora.net
    - or (IP를 직접 입력) -
   # setclock  203.248.240.140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D 서버 설치  (0) 2012.11.07
AIX VNC 설정하기  (2) 2012.07.26
AIX 칩입 확인 해보자 !  (0) 2011.03.23
IBM JVM -Xloratio 옵션  (0) 2011.03.03
날짜 관련 얻기  (0) 2011.03.02
반응형


vnc-3.3.3r2-6.aix5.1.ppc.rpm


VNC 설치 오류 관련

참조 : http://thomas.patrickdepinguin.com/knowledgebase/clearcase



AIX VNC 설치 : 

http://blog.daum.net/netflow/16904684

http://hermestop.tistory.com/123


root 로 


rpm -Uvh vnc-3.3.3r2-6.aix5.1.ppc.rpm


가동은 vncserver / 중지는 kill로..


ps -ef | grep vnc 을 통해 -port 옵션이 포트 정보임.


~/.vnc 디렉토리에


xstartup 파일 변경 내역(폰트 오류 뜨는것 포함)


===============================  설정 시작 ===================================



#!/bin/sh


xrdb $HOME/.Xresources

#xsetroot -solid grey

#xterm -geometry 80x24+10+10 -ls -title "$VNCDESKTOP Desktop" &

#twm &



export LANG=C;

export LC_ALL=C;

export LC_TYPE=C;


# This line gives you a CDE desktop when you sign on to VNC


/usr/dt/bin/dtsession &


============================== 설정 종료 =====================================


ORACLE 계정의 .profile 파일안에


export DISPLAY=localhost:1 

을 추가해야만.. xclock or dbca 등 명령어들이 상콤하게 잘 뜬다...

==============================================================================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HD 서버 설치  (0) 2012.11.07
AIX 서버 시간 설정 하기  (0) 2012.08.06
AIX 칩입 확인 해보자 !  (0) 2011.03.23
IBM JVM -Xloratio 옵션  (0) 2011.03.03
날짜 관련 얻기  (0) 2011.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