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가 방법 | 개념 (어떻게 계산하는가?) | 특징 및 장단점 | 주요 사용 사례 |
선입선출법 (FIFO) | 먼저 매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합니다. 기말 재고는 가장 최근에 매입한 상품으로 구성됩니다. | [특징] • 실제 물류 흐름과 유사한 경우가 많습니다. • 기말 재고가 현재 시세를 잘 반영합니다. [장점] ✅ • 이해하기 쉽고 논리적입니다. •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인정합니다. [단점] ❌ • 물가 상승 시: 매출원가가 낮게 계산되어 이익이 과대평가되고, 법인세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식품, 의약품 등 유통기한이 있거나, 시간의 흐름이 중요한 상품 🥫
|
후입선출법 (LIFO) | 가장 최근에 매입한 상품이 먼저 판매된다고 가정합니다. 기말 재고는 가장 예전에 매입한 상품으로 구성됩니다. | [특징] • 현재의 수익에 현재의 원가가 대응됩니다(수익-비용 대응 원칙). [장점] ✅ • 물가 상승 시: 매출원가가 높게 계산되어 이익이 낮아지고,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단점] ❌ •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인정하지 않습니다. • 실제 물류 흐름과 다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기말 재고가 과거의 낮은 원가로 기록되어 현실성이 떨어집니다. |
원자재, 석탄, 골재 등 재고의 개별적 구분이 어렵고 가격 변동이 잦은 품목 🪨
|
개별법 | 판매된 각 상품의 실제 취득 원가를 그대로 추적하여 매출원가를 계산합니다. | [특징] • 원가 흐름과 물류 흐름이 완전히 일치합니다. • 이론적으로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장점] ✅ • 원가와 이익이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인정합니다. [단점] ❌ • 재고 품목이 많고 거래가 빈번하면 적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 관리 비용이 많이 듭니다. |
보석, 자동차, 예술품, 주문 제작 상품 등 고가의 상품으로 개별 식별이 가능한 경우 💎
|
평균법 | 기초 재고와 해당 기간에 매입한 상품의 원가를 가중 평균하여 단가를 산출하고, 이 평균 단가를 매출원가와 기말 재고에 적용합니다. | [특징] • 총평균법: 기간(보통 월말)을 정해 전체 평균을 한 번에 계산합니다. • 이동평균법: 매입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평균 단가를 계산합니다. • BC 기준 : 평균 원가 기간 "일"로 설정시 - 이동평균, "월"로 설정시 - 총평균법 [장점] ✅ • 계산이 비교적 간단하고 실무 적용이 쉽습니다. • 원가 변동의 영향을 완화시켜 줍니다. [단점] ❌ • 개별 상품의 정확한 원가를 반영하지는 못합니다. |
규격이 동일하고 대체 가능한 상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경우 (예: 못, 나사, 곡물) 🔩
|
표준원가법 | 과학적 분석을 통해 미리 설정한 표준(예상) 원가를 사용하여 원가를 계산하고, 실제 발생 원가와의 차이를 분석합니다. | [특징] • 실제 원가 계산이 아닌, 목표 원가 관리 방식입니다. • 원가 차이 분석을 통해 성과 평가 및 원가 통제에 활용됩니다. •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조건부 인정 (실제 원가와 유사할 경우) [장점] ✅ • 신속한 원가 계산이 가능합니다. • 예산 관리 및 통제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단점] ❌ • 표준 설정이 비현실적일 경우 정보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 표준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
표준화된 공정으로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제조업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