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후암..


간만에 설정하려고 하니 뭐가 이리 복잡 -_-...


정확한 자료도 없고...


다음과 같이 정리함.


참고 :http://www.tecmint.com/setup-samba-server-using-tdbsam-backend-on-rhel-centos-6-3-5-8-and-fedora-17-12/


1 단계 준비 노트

 서버의 호스트 명 tecmint 이며 IP는 172.16.25.126 임


2. SELinux 설정을 끔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설정/비설정 확인 가능함

 ※ 강화된 보안설정으로 작업시 불편이 많다... 대외적(공용망 등 서비스 상태가 아닌 내부용이라면 끄고 설정하는것이 편하다)


 아래는 설정된 상태

 # selinuxenabled && echo enabled || echo disabled
enabled


RHEL 계열은 /CentOS/Fedora 이며 /etc/selinux/config를 에디터로 연다.

vi /etc/selinux/config


SELINUX=enabled 설정을 SELINUX=disabled 설정으로 바꾸고 리부팅한다.



# This file controls the state of SELinux on the system.
# SELINUX= can take one of these three values: # enforcing - SELinux security policy is enforced. # permissive - SELinux prints warnings instead of enforcing. # disabled - No SELinux policy is loaded. SELINUX=disabled # SELINUXTYPE= can take one of these two values: # targeted - Targeted processes are protected, # mls - Multi Level Security protection. SELINUXTYPE=targeted 


3 단계 재부팅

# init 6


4 단계 삼바 설치

# yum install samba samba-common cups-libs samba-client


5 단계 tdbsam Backend 로 삼바 설정하기

# vi /etc/samba/smb.conf


global 설정 부분

 [global] 

# 워크그룹이름은 맘대로 정한다.

workgroup = WORKGROUP


# 윈도우에서 보이는 서버 이름

netbios name = FILEServer


# 접근을 허락할 아이피 범위 (B Class 까지는 층의 변화가 없음)

hosts allow = 172.16.


# 언어셋 설정

unix charset = UTF-8

dos charset = 949

smb port = 139

server string = Public Sector Business 3 Team


# 특정 이더넷 카드만 지원

# interfaces = eth0


## 특정 계정만 접근시키고 싶을 때

# 1. smbpasswd 를 통한 계정 추가 방식

security = user

passdb backend = tdbsam



6 단계 공유 디렉토리 생성

# mkdir -p /share/20130121

# chown -R root:users /share/20130121

# chmod -R 775 /share/20130121


7 단계 공유 디렉토리 지정

공유 폴더 지정 부분

# vi /etc/samba/smb.conf

project 명으로 공유 

* 네트워크 상에서 폴더 정보가 보일수 있도록 browseable 를 yes로 함.

 [tecmintusers]

        comment = Testproject

        path = /share/20130121

        valid users=@users

        force group=users

        create mask = 0660

        directory mask = 0771

        writable = yes

        browseable = yes


        

8 단계 재부팅시 삼바가 기동 되도록 설정
# chkconfig --list 235 smb on

9 단계 삼바 재시작
# /etc/init.d/smb restart


or

# service smb restart

10 단계 삼바 사용자 생성
# useradd project -G users (users 그룹에 project 사용자 생성)
# passwd project (project 계정의 비밀번호 설정 -> 로그인 비밀번호 이며 삼바 비번과는 다름)

삼바 비밀번호 설정
# smbpasswd -a project (project의 삼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한다)

*** 참고
사용자 추가 / 삭제 / 중지
# smbpasswd -a 계정 : 계정 추가
# smbpasswd -x 계정 : 계정 삭제
# smbpasswd -d 계정 : 계정 중지
-> 위 작업후 삼바 재시작 필요함.

11 단계 삼바 공유 검증
# smbclient -L tecmint (즉 서버 명으로 접근되는지 확인 명령)
  비밀번호 입력하라고 하면 엔터 땅!

- 공유 폴더 접근 되는지 확인
# smbclinet -L //tecmint/project -U project (위의 생성 계정)
비밀번호 입력(smbpasswd 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 입력)
정보 좌악..

12 단계 윈도우즈에서 삼바서버로 로그인하기
\\172.16.25.126\project 자신의 local 폴더와
\\172.16.25.126\tecmintusers 의 공유 폴더 접근이 가능하다.

** 참고로 \\172.16.25.126을 접근했을 때 파일이 아닌 브라우져 상에 보여지고 싶다면
/etc/samba/smb.conf 파일에 공유 옵션에 (7단계 참고) browseable 를 yes로 함.

더 자세한 정보는 www.samba.org 를 통해 확인 가능함.



반응형

'OS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서버 설정 하기  (0) 2019.04.17
VirtualBox 에서 Centos 7 초기 설치 후 설정하기  (0) 2019.03.07
Centos 6.3 에서 VNC 설치 하기  (0) 2013.01.21
CENTOS 5 버전의 SSH 관련 버그 오류  (0) 2010.10.05
TAR 절대 경로  (0) 2009.07.03
반응형

 

출처 : http://vjetnamnet.com/how-to-setup-vnc-server-on-centos-6-3/

 

간만에 센토스 최신 (이글을 쓰고 있는 6.3 버전임) 버전에서

 

vnc 설치를 할려고 하루종일 헤매였다...

 

참고.

 

1. 기본적으로 centos 5와 달리 6버전에서는 desktop 으로 설치해야만 X Window 화면을 볼수 있다.

    > 난 서버니깐 서버로... X windows 설치가 안된다.. -_-.. 참고 하시라...

 

2. 기본적으로 vnc-server 의 명칭이 변경되었다. tigervnc 이다.

 

========================= 자 시작한다. ================================

 

1 단계 GNOME와 VNC 설치

 

a. root로 로그인 한다.

b. 그룹 GNOME 데스크톱 환경을 install 한다.

   # yum -y groupinstall "GNOME Desktop Environment"

c. 환경, X 윈도우 시스템, 폰트들을 install 한다.

  # yum groupinstall "Desktop Platform" "X Window System" "Fonts"

d. 여타 다른 폰트들을 install 한다.

  # yum install xorg-x11-fonts-Type1

e. 위의 a-d까지의 정상적으로 설치되면 진행한다. / Vnc Server 설치하기(아래는 6.3부터 바뀐 vnc-server => tigervnc-server임)

    # yum install tigervnc-server

 

2 단계 데스크톱의 원격 작업을 위한 VNC 환경 설정 하기

참고로 root 기준으로 한다.(원문에는 없음)

a. root로 로그인 한다.

b. vncpasswd

    패스워드 입력함.(VNC 연결할 때 사용할 password)

c. 다음경로에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root/.vnc/passwd  (패스워드 b를 입력한 경우 생성)

    /root/.vnc/xstartup  (vncserver 정상 설치시 로그인 할때 시작하는 xstartup 스크립트)

    참고 내용(xstartup 내용)

 

 

#!/bin/sh

[ -r /etc/sysconfig/i18n ] && . /etc/sysconfig/i18n
export LANG
export SYSFONT
vncconfig -iconic &
unset SESSION_MANAGER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OS=`uname -s`
if [ $OS = 'Linux' ]; then
  case "$WINDOWMANAGER" in
    *gnome*)
      if [ -e /etc/SuSE-release ]; then
        PATH=$PATH:/opt/gnome/bin
        export PATH
      fi
      ;;
  esac
fi
if [ -x /etc/X11/xinit/xinitrc ]; then
  exec /etc/X11/xinit/xinitrc
fi
if [ -f /etc/X11/xinit/xinitrc ]; then
  exec sh /etc/X11/xinit/xinitrc
fi
[ -r $HOME/.Xresources ] && xrdb $HOME/.Xresources
xsetroot -solid grey
xterm -geometry 80x24+10+10 -ls -title "$VNCDESKTOP Desktop" &
#twm &
gnome-session & 

 

d. vncservers 환경 파일 수정

   # vi /etc/sysconfig/vncservers

 

e. 위의 파일에 제일 하단에 추가

VNCSERVERS="1:root"
VNCSERVERARGS[1]="-geometry 1024x768"

3 단계 서비스 재시작

a. root로 로그인

b. 서비스 재시작

   # service vncserver restart

c. 방화벽 설정(끈다)

   # system-config-firewall-tui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

   # setup  -> 방화벽 설정

 

  ※ 참고로 아래는 selinux 설정을 off 하는 방법

  /etc/selinux/config 파일에

  SELINUX=enforcing 설정을 SELINUX=disabled 변경함.

 

4 단계 원격(윈도우 PC)에서 접근하기

   VNC 가벼운 버젼은 정상적으로 접근이 안되었다.. 보안...

   접근 가능한 vnc : http://www.tightvnc.com/download.html

반응형
반응형



소개글 : http://web-dev.tistory.com/562


위의 글은 아크로 에디터를 다운로드 받는 등 간단한 소개 내역이다.


사실 


울트라 에디터를 사용했던 주된 이유는 


대용량 한글 텍스트 파일(1GB 이상)을 부담없이 열어주며,


정규식 표현으로 특정 단어 + 다음줄 변환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아크로 에디터에서는 안되는 줄 알았는데,...


제 무지였음을 깨닿고 내용을 남깁니다.



-> 대용량 텍스트 연계 파일의 경우


DxxxxDxxxDxxx 등과 같이 특정 단어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1. 아크로에디트 -> 찾기 -> 바꾸기 실행

    



2. 아래는 바꾼 후의 사진

    - 멋지지 않은가?

      실제 사례로... xml 태그 같은 경우

      찾는 문자열 : ><

      바꿀 문자열 : >\n< 

     정규 표현식 사용 체크, 범위 전체 체크 하면

     깔끔한 형태로 보여진다.


3. 기타 팁

    편집 -> 모두 선택 (전체가 블록 지정된 상태) -> 도구 -> 빈 줄 자동 삭제

    즉 필요없이 엔터가 많은 파일에서는 위의 설정을 선택하면 모든 빈줄이 사라진다 !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 폴더 공유를 위한 방화벽 포트 허용



TCP : 137, 139, 445

UDP : 137, 138


반응형
반응형


오늘 인터넷 신문을 읽던 중...


정리정돈 잘 하는 아이로 키우는 노하우


위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

주소를

http://media.daum.net/life/living/wedding/newsview?newsId=20130112095804268&RIGHT_LIFE=R10

복사했으나

어라... SMS 80바이트 초과로... 후덜덜... 그리고 이걸 받는 사람도

너무 길어 !

이럴것이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그렇다면

위 주소를 줄일 순 없을까....  있다 !!!

방식은

1. 웹페이지를 방문하여(짧게 변경해주는 웹페이지) 
    긴 주소를 입력하면 짧게 변경해 주는 방식

2. 크롬(구글에서 나오는 웹 브라우져)에 Plug-IN을 설치하여 짧게 줄여주는 방식(추천)

1번 방식
  가능한 웹사이트
  -> http://goo.gl
  -> http://durl.kr

두가지 주소 모두 짧게 변경 가능하다...

단,

난 구글을 사랑하니깐... 구글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아래는 goo.gl을 방문한 내역이다.

Paste your long URL Here : 밑에 실제 긴 주소를 입력후 Shorten URL을 눌러 짧게 변환한다.

변환된 내용은 그 하단에 목록형태로 나타나면,

Detail을 누르면 QR 코드 정보까지 보여집니다.




즉, 짧은 주소를 만들고 난 뒤 QR로 전송도 가능합니다.

Details 을 누르면 화면




2. Plug-IN 설치하는 방식


  - 첫번째로는 크롬을 설치합니다 -> 다음이나 구글에서 검색하여 설치 가능합니다.

  

  - 두번째는 확장 기능(Plug-IN)을 설치하는 주소를 방문합니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category/extensions?hl=ko





좌측 상단에 확장 프로그램 검색에 URL을 입력하고 엔터




goo.gl URL Shortener 에서


우측에 +CHROME에 추가를 눌러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 후 우측상단에 아이콘을 누르면


현재 방문한 주소를 짧게 변경된 정보가 나오며


Copy 는 클립복사 기능 (Ctrl + V를 통해 원하는 곳에 붙이기 가능하며)


QR Code를 누르면 QR 코드 이미지가 바로 화면에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blog.daum.net/journeyerhum/37


윈도우XP에서 공유폴더 설정과 특정암호나 사용자 별 권한 부여방법.

1. 제어판 -> 관리도구 -> 로컬보안정책을 열고
로컬정책->보안옵션->네트워크액세스(여러 개 중 두 번째) 옵션이 두개 있다
ⓐ일반 - 로컬사용자를 그대로 인증
ⓑ게스트전용 - 로컬사용자를 게스트로 인증
여기서 일반을 선택한다
2. 내컴퓨터->도구->폴더옵션->보기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폴더공유권한을 지정(권장)" 체크옵션을 지운다
-> 확인
3. 해당 폴더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공유 및 보안"->"공유"->
"이 폴더를 공유함"->"사용 권한"-> EVERYONE 계정을 제거
-> 접근 가능하게 할 계정을 추가 등록함->등록 후 확인

----------- 추가 메모 시작 ----------------------------------
 해당 폴더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공유 및 보안"->"보안" 탭에서도 권한 설정을 해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3번 항목에서 아무리 모든 권한을 부여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파일 접근이 읽기 전용 속성으로만 이루어진다.

"내 컴퓨터" 항목상에서 마우스 우클릭 -> 시스템 도구 및의 "로컬 사용자 및 그룹"-> "그룹" 에서 새 그룹을 생성해준다. (ex. Developer Level 1, developer Level 2, … ) 그룹에 포함되는 사용자도 결정(아마도..)

해당 폴더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공유 및 보안"->"보안" 탭에서 해당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그룹을 입력하고 그 그룹의 접근 보안 권한을 설정해준다.
----------- 추가 메모 종료 ----------------------------------

4. 모두 설정 후 재부팅
(로컬보안정책은 재부팅을 하지 않으면 정책이 바로 적용돼지 않는다)
: 그 다음부터는 다른 XP에서 이PC로 네트웍 드라이브를 잡을때 
기존에는 Guest로 계정이 정해져서 나오는 것이 계정을 사용자가 넣을 수
있게 창이 바뀐다
이곳에 사용하고자 하는 계정을 넣고 Password를 넣으면 된다

반응형
반응형

화면 배경과 색 변경하기


시작 -> 실행 -> regedit


아래 레지스트리 값에 cmd 창 배경/글자의 기본색 값이 저장 되어 있습니다. 아래 위치로 이동 하여 DefaultColor 값을 0으로 설정 합니다. (0 - command 의 원래 기본 값)

 

  •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Command Processor
    DefaultColor :  0  

[참고]

위 DefaultColor 값에 command 창의 기본 색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

색 속성은 두자리의 16진수로 지정 되며, 첫째 자리는 배경색에 해당되고 둘째 자리는 문자색에 해당됩니다. 각 자리 수는 다음 값이 될 수 있습니다.

 

 0 = 검정색       8 = 회색
 1 = 파랑색       9 = 연한 파랑색
 2 = 초록색       A = 연한 초록색
 3 = 옥색         B = 연한 옥색
 4 = 빨강색       C = 연한 빨강색
 5 = 자주색       D = 연한 자주색
 6 = 노랑색       E = 연한 노랑색
 7 = 흰색         F = 밝은 흰색

 

예로,  레지스트리 defaultcolor 값에 fc 을 입력 하여 저장 하면 밝은 흰색 위에 연한 빨간색의 문자색을 나타냅니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명령어로는 color 명령어를 사용 합니다.


출처 : http://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windows_7-performance/cmdexe-%EC%9D%98/0e453f64-f512-4f23-83f6-b96f5fc684da?msgId=162ee89e-3ce4-4d91-a3d5-e27fb9261fb1


+ 알파!


위 내역은 레지스트리를 통한 화면내의 색과 글자 색 변경 방법이며,


이외의 모든 설정은 


시작 -> 실행 -> cmd


좌측 상단에 마우스 우클릭 -> 속성 클릭





아래는 내가 직접 설정한 화면임.










cmd 창에 제목을 바꿀때는


c:\>title [바꿀제목]


ex -> c:\> title 도스화면


화면 크기를 명령어로 조정


c:\> mode con cols=컬럼숫자값 lines=라인숫자값


ex -> c:\> mode con cols=150 lines=250


반응형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 명령어  (0) 2014.11.13
폴더 계정별 권한 부여하기  (0) 2014.11.13
무한 반복 BAT 파일 만들기  (0) 2012.05.14
반응형


하...


어느날 갑자기 권용휘 님의 홈피가(www.rodream.net) 열리지 않는다...


첨부된 파일은 그중에 가장 필요한


C Browser을 첨부함.


웹 상에서 특정페이지 펌 방지를 해제 하기 위한 프로그램임



C Browser.exe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uranusk.blog.me/140021060715

 

윈도우 98 이미지 파일...

 

 

 

S640-7672.ima

 

config.sys

 

 [MENU]
MENUITEM=CD, Start Computer with CD-ROM Support
MENUITEM=GHOST, Restore All Data
MENUDEFAULT=CD,30
MENUCOLOR=7,0

[COMMON]
DEVICE=HIMEM.SYS
DEVICE=EMM386.EXE NOEMS
DOS=HIGH,UMB
DEVICEHIGH=OAKCDROM.SYS /D:Lugar
DEVICEHIGH=BILING.SYS


[CD]

[GHOST]

 

 

autoexec.bat

 

 PATH=X:\
LH MSCDEX.EXE /D:Lugar /L:X
LH NLSFUNC.EXE COUNTRY.SYS
GOTO %CONFIG%

:CD
GOTO END

:GHOST1
echo Continue is Press AnyKey
echo waring... All data Delete!!!
Pause > null
GHOST32 -CLONE,MODE=load,SRC=X:\win7.gho,DST=1 -auto -sure -fx
GOTO END

:END

 

삼성 CD롬 안될때.. (또는 DVD ROM 대비)

변경된 파일

 

 

WINDOWS98.ima

 

반응형
반응형

하나의 포트로 여러 리스너 설정하기...


listener.ora


일부 서버들에서 되고 안되고 문제는 SID_LIST_LISTENER 설정에서 SID_DESC 설정 정보가 없을 때 발생함... (랜덤 -_-ㅋ)


 # listener.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oracle/product/10g/network/admin/listener.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PLSExtProc)

      (ORACLE_HOME = /oracle/product/10g)

      (PROGRAM = extproc)

    )

    (SID_DESC =

      (SID_NAME = SEVSEDEV)

      (ORACLE_HOME = /oracle/product/10g)

    )

    (SID_DESC =

      (SID_NAME = SEVPTDEV)

      (ORACLE_HOME = /oracle/product/10g)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86)(PORT = 1521))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0))

    )

  )


SID_LIST_LISTENER_SEVPTDEV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SEVPTDEV)

      (ORACLE_HOME = /oracle/product/10g)

    )

  )


LISTENER_SEVPTDEV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86)(PORT = 1521))

    )

  )


SID_LIST_LISTENER_SEVSEDEV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SEVSEDEV)

      (ORACLE_HOME = /oracle/product/10g)

    )

  )


LISTENER_SEVSEDEV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192.168.0.86)(PORT = 1521))

    )

  )


 sqlnet.ora


# sqlnet.ora Network Configuration File: /oracle/product/10g/network/admin/sqlnet.ora

# Generated by Oracle configuration tools.

SQLNET.INBOUND_CONNECT_TIMEOUT=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