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본적으로 ide 방식으로 할때 크기 조정


윈도우 사용자 : Administrator

가상시스템명 : 순수XP


아래 경로에 파일이 존재

C:\Users\Administrator\VirtualBox VMs\순수XP


cd를 통한 디렉토리 이동


1. 파일사이즈 조정 (15360 MB 이므로 -> 15GB임)

   - 순수XP.vdi 파일의 크기를 15GB로 함.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 modifyhd 순수XP.vdi --resize 15360


2. 디스크 파일 복사


  - xp.vdi 파일을 xp_clone.vdi로 복제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 clonehd xp.vdi xp_clone.vdi


  - uuid값이 동일하면 안되니 복사한 xp_clone.vdi 파일의 uuid 변경


"C:\Program Files\Oracle\VirtualBox\VBoxManage.exe" internalcommands sethduuid xp_clode.vdi

반응형
반응형

- 시큐어 코딩 점검 툴


시큐어 코딩 점검 툴을 검색하던중


yasca 로 꽤 괜찮은 (아마도 사용자가 임의 패턴 추가 기능이 있으며, c,java,c++등 다양한 언어지원되는점) 툴이 있음을 발견 하였다.

(오픈 소스 무료임...)


품질 검증 분야 무료 툴 소개 : http://www.oss.kr/oss_intro13


소스 코드 보안 툴 : http://samate.nist.gov/index.php/Source_Code_Security_Analyzers.html


yasca 메인 페이지 : http://www.scovetta.com/yasca.html



- 야스카(?) 소개 


Written by STG Security 천영철 님이 작성하신 pdf 파일



Introduce Yasca Source Code Analysis Tool_STGSecurity_incle.pdf


(인터넷 검색으로 얻었습니다. 문제가 되면 지우겠습니다. ~)


- 야스카 홈페이지에서 얻은 메뉴얼


yasca-manual.pdf



설치


위치 : http://sourceforge.net/projects/yasca/files/Yasca%202.x/Yasca%202.1/


현재는 2.1버전이 최신


yasca-2.1.zip



압축을 풀면 윈도우즈 용 exe 파일이 존재하고


path 설정 후


             set SA_HOME=c:\static-tools\

             yasca <target directory>



위의 기본 파일 이외에는 추가 라이브러리이며,


설치 파일에는


새로 받은 라이브러리 파일들을 위의 yesca-2.1.zip 파일의 압축 푼 곳에 같이 풀면 된다고 정의함.



추가 플러그인..



yasca-2.1-cppcheck.zip


yasca-2.1-fxcop.zip


yasca-2.1-javascriptlint.zip


yasca-2.1-jlint.zip


yasca-2.1-phplint.zip


yasca-2.1-pixy.zip


yasca-2.1-rats.zip


yasca_clamav_pmd_findbugs.z01


yasca_clamav_pmd_findbugs.z02


yasca_clamav_pmd_findbugs.z03


yasca_clamav_pmd_findbugs.z04


yasca_clamav_pmd_findbugs.z05


yasca_clamav_pmd_findbugs.z06


yasca_clamav_pmd_findbugs.z07


yasca_clamav_pmd_findbugs.z08


yasca_clamav_pmd_findbugs.z09


yasca_clamav_pmd_findbugs.z10


yasca_clamav_pmd_findbugs.zip





반응형
반응형


사실 제일 중요한건... 고객사의 담당자가 신규 시스템일 경우에는 메인 업무들의 양을 아는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즉, 어떤 업무는 어떻게 처리되고 얼마동안의 시간에 출력되어야 하며, 향후 증가세는 얼마고(큰 업무 위주)

이런 정보를 알아야 서버 용량에 대한 정확한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사실 대부분... 동시 사용자 수 정도 밖에 몰라 추정치로 산출하다보니 장비의 spec이 고사양으로 밖에 할 수 없는

상황이 나온다.



※ 참고 자료는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 서버 용량 산정 =


2008년 12월 19일 자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



정보시스템 하드웨어 규모산정 지침(TTAK[1].KO-10.0292).pdf



= 서버 성능 측정 =


TPC-H.pdf


Tier 및 용도에 따라 측정 방법은 다름

즉, DB 쪽 => TPC-H를 통한 QphH 로 측정

WAS/WEB 쪽 => SPECjbb2005 를 통한 bops로 측정


뭐 둘다 아래와 같이 추정 tpmc 값으로 역산하여 산출함.




= 추정 tpmC 산출 방식(예) =


▢ Orastress 등 유사도구를 통한 해당 장비의 tpmC 인정기준치

    - 추정기준치 tpmC = 산정 tps(전체tps * new-order 트랜잭션 비율) * 60 * 보정치

     - transaction은 tpmC에서 규정하고 있는 transaction(new-order)과 유사하여야 함.

       예로 orastress는 전체 tps가 구해지는데 산정 tps는 전체 tps가 아니고

       전체 tps에 new-order 트랜잭션 비율을 곱한 수치로 본다.

       단, 보정치는 15%로 하고 제안한 사양에 대해서 성능점검 실시

▢ OPSs로부터 해당 장비 tpmC의 인정기준치

    - 추정기준치 tpmC = OPS * 환산비(C) * 보정치

    - OPS 값은 주어졌으나 tpmC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 다른 장비에 대한

      tpmC와 OPS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환산비(C)로 곱한다.

▢ tpc-H(QphH) 공인성능치로부터 해당 장비의 tpmC 인정기준치

    - 추정기준치 tpmC = QphH * 환산비(C) * 보정치

    - QphH 값은 주어졌으나 tpmC 인증을 받지 않은 경우, 다른 장비에 대한

      tpmC와 QphH 값의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환산비(C)로 곱한다.


※ 환산비(C)와 보정치가 기술의 발전 및 각 제조사의 아키텍처 설계 방식 등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므로 실적용 값에 대하여서는 제조사의 객관적인 자료와 내용을 밝혀야 한다.

※ 성능증빙의 객관성을 위해 5년 이내의 기준으로 된 근거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 ’11년 정부통합전산센터 제1차 정보자원 통합구축『추정 tpmC 산출방식(예시)』과 동일

반응형

'Priv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백업 및 복구  (1) 2019.05.08
node-red oracledb  (0) 2018.06.25
오라클 접속 ORA-12505 에러 관련  (0) 2013.05.02
Magicar AF BRONZE (매직카 브론즈)  (0) 2011.11.30
압력 밥솥 구매 ... 예정  (0) 2011.11.26
반응형



Connection 실패!

e : java.sql.SQLException: Listener refused the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error:

ORA-12505,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ID given in connect descriptor

The Connection descriptor used by the client was:

100.100.1.1:1521:HHHAAA


원인

SID 와 ServiceName이 상이할 경우 발생


해결 방안


SID일 경우                - "jdbc:oracle:thin:@" + dbip + ":" + dbport + ":" + dbsid;
ServiceName일 경우 - "jdbc:oracle:thin:@" + dbip + ":" + dbport + "/" + dbsid;   


JSP 상에서는 안될 경우
connectInfo = "jdbc:oracle:thin:@//" + dbip + ":" + dbport + "/" + dbsid;

참고 사이트 : 
http://stillrabbit.blogspot.com/2009/01/jdbc-config-oracle-resource.html
 

후후... 일반적으로 SID와 Service Name이 동일하나... 이 사이트와 같은 경우도 존재했음...

샘플 JDBCTest.java

컴파일 : javac JDBCTest.java
실행 : java -cp /xxx/xxx/ojdbc.jar:. JDBCTest

 import java.sql.*; 


public class JDBCTest { 

 private static Connection con; 1

 private static Statement stmt; 

 private static ResultSet r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 

  try{ 

   // 1. Driver를 로딩한다. 

   Class.forName("oracle.jdbc.driver.OracleDriver"); 

   System.out.println("OracleDriver의 로딩이 정상적으로 이뤄졌습니다."); 

    


   String url = "(DESCRIPTION=(ADDRESS=(PROTOCOL=TCP)(HOST=100.100.1.1)(PORT=1521))(CONNECT_DATA=(SERVER=DEDICATED)(SERVICE_NAME=HHHAAA)))";

   // 2. Connection 얻어오기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oracle:thin:@100.100.1.1:1521/HHHAAA" , "HHHH_WEBS", "123456");

   System.out.println("데이터베이스의 연결에 성공하였습니다."); 

    

   // 3. Statement 얻기 --> 쿼리문 작성하여 적용하기 위한 용도 

   stmt = con.createStatement(); 

    

   String sql ="";

    

   // 7. Select문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용 출력하기 

   sql = "select count(*) from admin.tablesAN20"; 

   

   rs = stmt.executeQuery(sql); 

   

   while(rs.next()){ 

    System.out.println("count : " + rs.getString(1)); 

   } 

   

   // 7. Select문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용 출력하기 

   sql = "select count(*) from admin.tablesXA01"; 

   

   rs = stmt.executeQuery(sql); 

   

   while(rs.next()){ 

    System.out.println("count : " + rs.getString(1)); 

   } 

   

   // 7. Select문 실행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용 출력하기 

   sql = "select count(*) from admin.tablesXA02"; 

   

   rs = stmt.executeQuery(sql); 

   

   while(rs.next()){ 

    System.out.println("count : " + rs.getString(1)); 

   }       

   

   rs.close(); 

   stmt.close(); 

   con.close(); 

  }catch(ClassNotFoundException cnfe){ 

   System.out.println("oracle.jdbc.driver.OracleDriver를 찾을 수 없습니다."); 

  }catch(SQLException  sql){ 

   System.out.println("Connection 실패!"); 

   System.out.println("e : " + sql.toString());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e.toString()); 

  }finally{ 

   System.out.println("성공!!"); 

  } 

 } 








반응형

'Priv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red oracledb  (0) 2018.06.25
서버 용량 산정 / 성능 측정 / tpmc / bops / tpc / tpc-h  (0) 2013.05.10
Magicar AF BRONZE (매직카 브론즈)  (0) 2011.11.30
압력 밥솥 구매 ... 예정  (0) 2011.11.26
아놔 가습기  (3) 2011.11.22
반응형




MobaLiveCD_v2.1.exe



부팅 용 이미지  or CD or USB 를


테스트 해 볼수 있는 프로그램 !


다른사람 작업할 때 완전 필요 ~


부트 메뉴 설정 및 확인할 때 ~~



반응형
반응형




1. ROOT 계정 접속

   # cd ${WEBTIER_ORACLE_HOME}/ohs/bin

   ==> # /SYSTEM/webtier/Oracle_WT1/ohs/bin

   

2. ls -al으로 확인 후 .apachectl 권한 및 액세스 권한 변경

   # chown root .apachectl

   # chmod 6750 .apachectl 

   

   -rwxr-x--- 1 webtier users .apachectl

   --> rwsr-s--- root   users .apachectl

   

3. 일반 유저 접속 후 OHS httpd.conf 에서 Group 변경

   # su - webtier

   $ cd ${INSTANCES_HOME}/config/OHS/ohs1

   $ vi httpd.conf

   

   ... 생략 ...

   

   User webtier

   #Group GROUP_TEMPLATE

   Group users

   </IfModule>

   

  * DocumentRoot 옵션이 웹 파일 디렉토리임.

4. OHS 재시작

         

반응형
반응형


후암..


잘 다니던 회사를 퇴직하고


오라클이 필요할때... -_-....


어렵다.. 구하기 어렵다..


다행히도 otn 정보는 아직 유효하여


참고 사항을 올린다. ~


1. 오라클 사이트 (https://support.oracle.com ) 방문하여 로그인한다.

   : 예전회사는 OTN 계약을 별도로 했었다... -_-...


 - 로그인 후 우측 상단에 Contact US 를 눌러 아래 화면을 띄운다.

    ※ 참고로 한글 언어셋으로 설정시 안된다는 소문(?)을 들어 영문으로 설정하고 시작하였다.

    Problem Summary : DVD

    => 문제점을 요약하면 : DVD  (ㅋㅋㅋ -_-..)

    Support Identifier : 현재 유효한 8자리 ID값이 출력됨. (우측 상단에 Next를 눌러 넘어감 : 총 3단계!)






 - 2단계 각 화면들이다.

    Problem Type : Software & OS Media Requests

    문제 유형 : 소프트웨어와 OS 미디어 요청


    1) IS this a physical software media shipment request?

       이것은 물리적 소프트웨어 미디어 수송 요청인가?

       -> 난 물리적으로 받고 싶다 -_- Yes ~

    

    2) Which Product line does the media request involve?

        Oracle Database

        미디어 포함 요청에 어떤 제품 라인을 할것인가?

        난 오라클 10g 이므로 Oracle Database

 

    3) Are you requesting a required password for a path download?

        NO

        다운로드 경로를 위한 패스워드가 필요한 요청인가?

        다운로드 한 것에 대한 암호를 설정하는 것 같은데.. 필요 없으므로.. NO.... (잘 모르겠음 -_- ㅋ)




   4) Are you requesting a patch on CD/DVD?

      NO

      당신은 CD/DVD의 패치가 필요한가?

      아니요 


      난 설치본이 필요함 -_-... 패치는 otn에서 걍 받을꺼임...


   5) 4번항목의 패치 필요한 내역을 기재하는 것인데.. 없으므로 난 스킵 (*가 아닌것은 필수 아님)

   6) List the product name and version requested for physical media shipment?( EX: E-business Suite 12.1.1...)

       Oracle Database 10G / Oracle Client 10G

       물리적 미디어 배송을 위한 제품 이름과 버전 목록을 요청하라.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서버 10g와 오라클 클라이언트 10G

   7) What is the OS/platform for the requested media?(EX : Windows 32bit. ....)

       IBM Aix Power 32,64 bit / hp up risc 32/64 bit

       요청한 미디어의 OS(운영체제)와 Platform(플렛폼)은 무엇인가?

      IBM Aix Power 시리즈의 32,64 bit와

      HP ux risc 32/64 비트




 8) Are any language required for this shipment?

     YES

     이번 배송을 위한 어떠한 언어라도 괜찮은가?

  11) Ship to Contact Name :

      배송을 위한 이름 : 

       


12. 배송을 위한 전화번호

     82(국제번호)-10(010이라도 0을 뺌)-xxxx-xxxx


13. 배송을 위한 이메일 주소

     aaa@naaa.aaa


14. 회사명 :



15. 주소1 :

     실제 주소를 알면 -> 다음, 네이버등을 통해 주소 영문 변환으로 검색 뒤 ...

                                  한글 주소를 영문으로 변환하여 붙여넣기 한다.






위와 같이 입력뒤 우측 상단에 Next를 누른다.


아래는 최종 단계인 Contact 확정 단계로


Primary Contact : 이름

Phone Numbers : 전화번호

Email-Address : 이메일 주소

Coontact Method : WEB (웹상에 아래 조회항목을 통해 확인 가능할듯...)

(영어가 약해서 전화오면 챙피해서 죽어버릴지도 모름 -_-....)




위와 같은 최종 확인 뒤 우측 상단에 Submit를 눌러 확정함.





위와 같이 정상 Submit 하고 난뒤 상태를 조회하거나 WEb를 통한 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할 때는



상단에 Service Requests 메뉴를 클릭뒤


중간부분에 Contact Us Service Reqests 항목에 조회된다.

후암... 간략하게 정리해 봤다...


반응형
반응형

살다보면


모든 환경에서 쓸일이 있다... -_-...




EchoServer.java 파일(1024 포트 사용 예)

 import java.io.* ;

import java.net.* ;

class EchoServer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throws IOException {

// 포트 설정

int port = 1024 ;

// 서버 소켓 생성

ServerSocket ss = new ServerSocket(port) ;

System.out.println( "Server Ready" ) ;

// 클라이언트 연결을 계속해서 받는다.

while( true ) {

// 클라이언트 연결을 받는다.

Socket client = ss.accept() ;

// 네트워크 입출력 스트림 설정

BufferedReader net_in = 

new BufferedReader( new InputStreamReader( client.getInputStream() ) ) ;

PrintWriter net_out = 

new PrintWriter( new OutputStreamWriter( client.getOutputStream() ) ) ;

System.out.println( "Client Socket Accepted" + client ) ;

System.out.flush() ;

//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받는다.

String line ;

line = net_in.readLine() ;

// 받은 데이터를 다시 전송한다.

net_out.println( line ) ;

net_out.flush() ;

}

}

}





EchoClient.java 파일 내용


 import java.io.* ;

import java.net.* ;

class EchoClient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throws IOException {

// 접속 대상 설정

String host = "127.0.0.1" ;

int port = 1024 ;

// 소켓을 생성

Socket s = new Socket( host , port ) ;

System.out.println( "Client Socket Created" + s ) ;

System.out.flush() ;

//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스트림 설정

Reader from_server = new InputStreamReader(s.getInputStream()) ;

PrintWriter to_server = 

new PrintWriter(new OutputStreamWriter(s.getOutputStream()) ) ;

// 콘솔 입출력을 위한 스트림 설정

BufferedReader from_user = 

new BufferedReader( new InputStreamReader( System.in ) ) ;

PrintWriter to_user = 

new PrintWriter( new OutputStreamWriter( System.out ) ) ;

//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다.

String line ;

while( (line = from_user.readLine()) != null ) {

// 받은 입력은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to_server.println( line ) ;

to_server.flush() ;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받는다.

int char_cnt ;

char[] buffer = new char[1024] ;

char_cnt = from_server.read(buffer) ;

// 받은 데이터를 화면에 뿌린다.

to_user.write( buffer , 0 , char_cnt ) ;

to_user.flush() ;

}

}

}


특정 서버에 대한 포트 스캔 프로그램 (PortScanner.java)


 import java.net.*;

public class PortScann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tartPortRange=0;

int stopPortRange=0;

startPortRange = Integer.parseInt(args[0]);

stopPortRange = Integer.parseInt(args[1]);

for (int i=startPortRange; i <=stopPortRange; i++) {

try {

Socket ServerSok = new Socket("127.0.0.1",i);

System.out.println("Port in use: " + i );

ServerSok.close();

}

catch (Exception e) {

}

System.out.println("Port not in use: " + i );

}

}

}



반응형
반응형

후암..


우선,


참고 : http://www.mondorescue.org(확인해봐야하는 백업 복구 사이트!)

참고 : http://readytoact.tistory.com/159 (G4l) => Ghost for Linux  여기로 해본다...


clonezilla 를 하라는 말 부터 하고 ... http://clonezilla.org


아래는 생짜배기(압축과 풀기)로 하는 방식...


출처 : http://kldp.org/node/84594


이글은 우분투 포럼에 A-star라는 작자가 올린 글을 요약 정리 한겁니다.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81311

방법은 간단합니다.
tar로 전체 시스템을 압축하는 명령어를 사용하면서 
/proc , /lost+found , /mnt , /sys 는 제외하고 압축하고 
나중에 복원은 이 파일 압축 푸는 방식입니다.

===========압축=========================

방법은 아래에 순서대로 작성했습니다.

sudo su 
cd /
tar cvpzf backup.tgz --exclude=/proc --exclude=/lost+found --exclude=/backup.tgz --exclude=/mnt --exclude=/media --exclude=/sys /

그러니까 루트 권한으로 바꾸고 나서 최상위 리스트로 올라가서 tar 명령어를 적용하는데 
압축 파일이름은 backup.tgz로 하고 압축시 /proc , /lost+found , /mnt , /sys, /media 는 제외하자는 겁니다.
각자 사정에 맞춰서 제외할 디렉토리는 더 추가하시면 되겠죠.

그런 후에 backup.tgz파일을 dvd로 굽든 랜으로 다른 컴터로 옮기시든 하시면 되겠죠.

압축 종료후 나오는 'tar: Error exit delayed from previous errors'란 메세지는 쌩까시면 됩니다.
압축률을 좀더 높이자면 Bzip2나 7zip으로 압축하시면 됩니다.
Bzip2로 압축할 경우 아래 명령어를 쓰시면 됩니다. (cvpzf에서 cvpjf로 옵션을 바꿔야합니다.)

tar cvpjf backup.tar.bz2 --exclude=/proc --exclude=/lost+found --exclude=/backup.tar.bz2 --exclude=/mnt --exclude=/media --exclude=/sys --exclude=/boot /

==============복원===================
backup.tgz는 루트디렉토리에 있어야합니다. 
sudo su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먹여주면 됩니다.
tar xvpzf backup.tgz -C /

Bz2로 압축한 경우 
tar xvpjf backup.tar.bz2 -C /

그러고 나서 압축시 제외했던 폴더는 따로 만들어 주면됩니다mkdir sys.
아래처럼 
mkdir proc
mkdir lost+found
mkdir mnt
mkdir sys
mkdir media
etc...
=====================================

만약 압축하고 자시고 하는게 너무 귀찮다하시면 아래 방법을 쓰면 됩니다.
이건 어떤 분 블러그에서 보고 배운건데 
원본 시스템이 깔린 하드 A가 있고 그 시스템을 똑같이 복사할 하드 B가 있다고 하면 
하드 B를 하드 A에 케이블로 연결을 해서 아래 명령어를 적용시키면 됩니다.

cat (하드A) > (하드B)

만약 하드 A 위치가 /dev/hdb이고 하드 B 위치가 /dev/hdc라면 이렇게 되는거죠.

cat /dev/hdb > /dev/hdc

그러면 하드A의 내용이 하드B에 완전히 모조리 똑같이 백업됩니다. 당연히 시스템 디바이스 관련된것도
같이 가니까 사용할 컴터 스펙은 동일해야겠죠.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색상 표기  (0) 2019.05.08
CENTOS 7에 XRDP 설치하기  (0) 2017.08.26
삼성 컴퓨터 유분투 설치기.  (0) 2012.02.06
rkhunter (리눅스 침입 탐지 사용하기)  (1) 2010.10.14
ps auxc 와 ps aux 결과 비교하기  (0) 2010.01.21
반응형


CD 롬 정보 얻어오는 스크립트(dvd.bat)


 @echo off

set USB_DRIVE=none

for /F "tokens=1*" %%a in ('fsutil fsinfo drives') do (

   for %%c in (%%b) do (

      for /F "tokens=3" %%d in ('fsutil fsinfo drivetype %%c') do (


         if %%d equ CD-ROM (

            set DVD=%%c:

          )

          

      )

   )

)





자동으로 복구하는 BATCH 스크립트 (setup.bat)


 @echo off

setlocal


rem call 은 같은 화면 / start은 별도로 수행

call dvd.exe


::::::::::::::::::::::::::::::::::::::::::::::

:LOOP

color 1F

cls

echo.

echo.

echo.

echo.                  ◀ 고스트 자동 복구용 ▶

echo. 

echo.            1. Centos 6.3 복구 (DVD -^> resource\backup.gho)

echo.                (ID : root / password : 1q2w3e )

echo. 

echo.            2. Partition Wizard Professional Edition

echo.

echo.            3. Q-Dir

echo.

echo.            4. reboot

echo.

echo.            ※ 리눅스 복원(1번)은 모든 데이터가 지원지니

echo.

echo                제안서 작업 폴더 등은 백업 후 수행 하세요

echo.

echo                자세한 사항은 root로 로그인 한 뒤 바탕화면 참고하세요

echo.

echo.

set /p ANS="☞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


if "%ANS%" == "1" goto MENU1

if "%ANS%" == "2" goto MENU2

if "%ANS%" == "3" goto MENU3

if "%ANS%" == "4" goto QUIT


goto LOOP

:::::::::::::::::::::::::::::::::::::::::::::::

:MENU1

echo.

echo. Windows 7 Restore

echo. 

start x:\ghost32 -clone,mode=load,src=%DVD%\sources\backup.gho,dst=1 -sure -fx

goto LOOP


:MENU2

echo.

echo "Partition Wizard Run~"

start x:\PartitionWizardPro6.exe

echo.

goto LOOP


:MENU3

echo.

echo "Q-Dir Run"

echo.

start x:\Q-Dir.exe

goto LOOP


:QUIT

reboo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