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본은 오라클 교재입니다.

글을 보니 오라클을 M/A 하는 회사에 들어가신것 같은데요.

버젼은 9i를 기본으로 10gNF, 11gNF 순으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아직 현업에서 8이나 8i 버젼을 사용하는 곳도 꽤 있어서

9i부터 시작해야 전체적으로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메타링크는 자료가 광범위 하지만

우선 install, upgrade, patch 순으로 공부를 시작해서

case by case study로 TPS를 공부하시구요.

ADTSP까지 공부하시면 일단 M/A에 기본적인 부분은 된거죠.

여기서부터 회사내 밥벌이 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를 찾아서 해야합니다.

RAC 전문가, 복구전문가를 하거나 SQL 전문가, 모델링 전문가 등으로 나가도 되구요.

일단 기본을 만든 후에 주위에 업계 선배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

자신에게 맞는 일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하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뭐 한국 DBA의 현실은 만능을 원하지만요^^;; 그래도 주종목은 있어야겠죠?)

반응형
반응형

.bff 파일은 AIX 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치가능하다.

1. java1.4.2.bff 파일을 FTP를 사용하여 AIX 시스템에 upload(/tmp/java14/)

2. root로 접근하여 smitty install or smitty installp 하여 해당 디렉토리(/tmp/java14/)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됨.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짜 관련 얻기  (0) 2011.03.02
AIX 5.3 OPENSSH INSTALL  (0) 2011.02.16
IBM AIX 용 JAVA 다운로드 주소  (0) 2010.12.07
AIX 5.3에서 Tomcat 설치 및 기본 홈 디렉토리 변경  (1) 2010.12.07
AIX 시스템 점검 쉘  (0) 2010.06.04
반응형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X 5.3 OPENSSH INSTALL  (0) 2011.02.16
bff 파일 설치 (AIX)  (0) 2010.12.08
AIX 5.3에서 Tomcat 설치 및 기본 홈 디렉토리 변경  (1) 2010.12.07
AIX 시스템 점검 쉘  (0) 2010.06.04
Xmanager on AIX 5.3  (1) 2010.02.09
반응형


VMWARE에 XP를 깔아서 사용하는데...

속도가 무진장 느린것이 문제였다..

외국사이트에 많은 내용이 있었는데

그 중 효과가 있는것들만 추려본다.

1. Disable Memory Page Trimming
  VMWARE에서 사용하고 난 뒤 사용하지 않는 자원을 환원하는 작업을 끈다. (가상시스템 작업량을 줄인다.)
  (Select: VM > Settings > Options > Advanced > Disable memory page trimming  체크 함)

2. Disable real-time anti-virus protection (실시간 바이러스 백신 보호를 사용하지 말아라)
   실시간으로 바이러스 백신을 켜두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차라리 VMWARE 파일 자체를 실시간 바이러스 검사를 하라

3. Disable memory sharing
   VMWARE 상에서 메모리와 다른 응용 프로그램간에 메모리 공유 금지 옵션 추가
    .vmx 파일내에 다음 라인 추가
   sched.mem.pshare.enable = “FALSE”


세가지 모두를 적용했더니... 왠만큼의 성능이 나온다 ~ 좋다 !

출처 : http://vivekagarwal.wordpress.com/2008/07/08/improving-vmware-server-performance-on-windows-xp/
반응형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완전 정복하기  (1) 2011.01.06
vmplayer 3.1.1 개인용  (1) 2010.12.10
Windows에서 Mac 주소 바꾸기(변경)  (0) 2010.12.06
VMWARE 게임가드 회피...  (1) 2010.12.03
VMWARE 7.1.2 32 and 64 bit ~  (0) 2010.12.02
반응형

우선 업무특성상 인터넷 망 영역에서 WAS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발생했다....

보안땜시 그렇다고 하는데....

후우...

* 기타 파일들
  - admin 설치용
  - jdk 1.4 호환용

  - 개발자 설치용
  - 전체 document
    - 윈도우 설치용


1. 아래의 사이트에서 톰켓 SRC 버젼을 받는다.
    - 사실 jsp 를 통한 서블릿 과정을 진행할려고 하여 별도의 apache 연동은 없다 ! (웹 서버가 필요하면 별도의 아파치 연동과정을 찾아볼것!)
    - 단순한 한개의 jsp 페이지의 값을 넘겨 주기만 할것임 !
    - 다운로드 주소 : http://tomcat.apache.org/download-55.cgi#5.5.31
- Core부분의 tar.gz을 클릭

2. 클릭하면 저장을 할 수 있다.


3. 설치할 AIX 시스템에 FTP로 전송한다.
    - 계정 root
    - 경로 /usr/local/

4. root 계정으로 쉘 접속을 한다.
    - 아래의 명령을 실행한다.
 # cd /usr/local/
 # gzip -d apache-tomcat-5.5.31.tar.gz
 # tar xvf apache-tomcat-5.5.31.tar
 # ln -s /usr/local/apache-tomcat-5.5.31 /usr/local/tomcat
 # useradd -d /home/tomcat -g staff tomcat
 # passwd tomcat
 # mkdir /home/tomcat
 # chown -R tomcat:staff /usr/local/apache-tomcat-5.5.31 /usr/local/tomcat
 # chown -R tomcat:staff /home/tomcat

5. tomcat 계정으로 접속 후 .profile 파일을 변경처리 한다.

 if [ -s "$MAIL" ]                  # This is at Shell startup.  In normal
        then echo "$MAILMSG"       # operation, the Shell checks
fi                                 # periodically.


export JAVA_HOME=/usr/java5_64

set -o vi

PATH=/usr/bin:/etc:/usr/sbin:/usr/ucb:$HOME/bin:/usr/bin/X11:/sbin:${JAVA_HOME}/jre/bin:${JAVA_HOME}/bin:/usr/local/bin:/usr/local/tomcat/bin:.

stty erase ^?

export LANG=ko_KR

export PS1=[`hostname`:\$PWD]

umask 022


######### Tomcat 환경 변수 등록 #############

export CATALINA_HOME=/usr/local/tomcat


6. 다시 tomcat 계정으로 접속한다.
$> startup.sh 실행 후 (기동 명령)
$> ps -ef | grep startup.sh 조회시 프로세서가 조회되면 정상작동
$> shutdown.sh 실행 후 (종료 명령)
$> ps -ef | grep startup.sh 조회시 프로세서가 조회되지 않아야 정상 종료

위의 startup.sh 실행후 http://서버IP:8080/ 조회하면 노란 고양이를 만날수 있다.

포트 변경은 /usr/local/tomcat/conf/server.xml 파일내의 8080 포트를 검색하여 수정하면 된다(다른 포트와 충돌시 가동하지 않음)

※ 만약 기본 webapps 폴더이외의 홈 경로를 변경하고 싶다면...

/usr/local/tomcat/conf/Catalina/localhost/ROOT.xml 파일 생성

아래의 docBase 내용의 /home/myweb 디렉토리가 홈 디렉토리로 설정된다.

ROOT.xml 파일 내용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text path="" docBase="/home/myweb" debug="0" privileged="true" reloadable="true">
<Logger className="org.apache.catalina.logger.FileLogger" directory="logs"  prefix="localhost_log." suffix=".txt" timestamp="true"/>
</Context>



** 보안 취약 사항 수정 방법
telnet 호스트주소 8080
OPTIONS * HTTP/1.0

HTTP/1.1 200 OK
Server: Apache-Coyote/1.1
Allow: GET, HEAD, POST, PUT, DELETE, OPTIONS
Content-Length: 0
Date: Thu, 23 Jun 2011 08:25:16 GMT
Connection: close

위의 PUT과 DELETE의 불필요한 메소드가 활성화 되어 위험함

제거 방법

/usr/local/tomcat/conf/web.xml 파일 제일 하단부에 붉은 색 표기와 같은 형태로 입력하면 됨

     <welcome-file-list>
        <welcome-file>index.html</welcome-file>
        <welcome-file>index.htm</welcome-file>
        <welcome-file>index.jsp</welcome-file>
    </welcome-file-list>


 <security-constraint>
 <web-resource-collection>
  <web-resource-name>Protected Context</web-resource-name>
  <url-pattern>/*</url-pattern>
    <http-method>HEAD</http-method>
    <http-method>TRACE</http-method>
    <http-method>OPTIONS</http-method>
 </web-resource-collection>
 <auth-constraint />
 </security-constraint>

   <security-constraint>
     <web-resource-collection>
        <web-resource-name>Protected Context</web-resource-name>
         <url-pattern>/servlet/org.apache.catalina.servlets.DefaultServlet/*</url-pattern>
      </web-resource-collection>
      <!-- auth-constraint goes here if you requre authentication -->
      <user-data-constraint>
         <transport-guarantee>CONFIDENTIAL</transport-guarantee>
      </user-data-constraint>
   </security-constraint>

</web-app>

 




조치 결과
telnet 호스트주소 8080
OPTIONS * HTTP/1.0

HTTP/1.1 403 Forbidden
Server: Apache-Coyote/1.1
Pragma: No-cache
Cache-Control: no-cache
Expires: Thu, 01 Jan 1970 09:00:00 KST
Content-Type: text/html;charset=utf-8
Content-Length: 1108
Date: Thu, 23 Jun 2011 11:07:09 GMT
Connection: close

<html><head><title>Apache Tomcat/5.5.31 - Error report</title><style><!--H1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color:white;background-color:#525D76;font-size:22px;} H2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color:white;background-color:#525D76;font-size:16px;} H3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color:white;background-color:#525D76;font-size:14px;} BODY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color:black;background-color:white;} B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color:white;background-color:#525D76;} P {font-family:Tahoma,Arial,sans-serif;background:white;color:black;font-size:12px;}A {color : black;}A.name {color : black;}HR {color : #525D76;}--></style> </head><body><h1>HTTP Status 403 - Access to the requested resource has been denied</h1><HR size="1" noshade="noshade"><p><b>type</b> Status report</p><p><b>message</b> <u>Access to the requested resource has been denied</u></p><p><b>description</b> <u>Access to the specified resource (Access to the requested resource has been denied) has been forbidden.</u></p><HR size="1" noshade="noshade"><h3>Apache Tomcat/5.5.31</h3></body></html>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반응형

'OS > A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bff 파일 설치 (AIX)  (0) 2010.12.08
IBM AIX 용 JAVA 다운로드 주소  (0) 2010.12.07
AIX 시스템 점검 쉘  (0) 2010.06.04
Xmanager on AIX 5.3  (1) 2010.02.09
How to install/start/restart the X11 server under AIX  (0) 2010.02.05
반응형

네이트에서 MAC 주소를 가져가겠다는 얘기가 있다가 사라졌습니다. (관련글) 하지만 찝찝함이 계속 남아 있어 난감하더군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MAC 주소를 바꾸기로 했습니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전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은근히 이 프로그램에 많은 기능이 있다는 것, 그리고 여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프로그램 설치가 싫으시다면 참조에 있는 링크를 참조하세요.^^

 

c001

  먼저 시작 –> 실행 –> cmd를 쳐서 콘솔 창을 띄운 후 ipconfig /all 이라는 명령어를 쳐서 확인한 내용입니다. 로컬 영역 연결 adapter의 Physical Address, 즉 MAC 주소가 위와 같습니다. 중간에 하나 지운 것을 양해해주세요.^^;;

  그럼 이제 저 주소를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c002

  Technitium이라는 곳에서 MAC Address Changer 라는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http://www.technitium.com/tmac/index.html

  위의 주소로 찾아가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c003

c004

c005

c006

c007

  다운로드 받은 압축 파일에 실행 파일이 하나 있습니다. 이를 실행시켜 인스톨합니다.

 

c008

  그리고 처음 실행하면 위와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cpf라는 확장자를 읽으면 자동으로 자신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겠느냐는 질문입니다. 예를 들어 hwp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아래 한글이 실행되는 것과 같은 일을 cpf 파일에도 자신이 하고 싶다는 뜻입니다. 전 그럴 필요가 없어서 '아니오'를 클릭하였습니다.

 

c009

  실행하면 위와 같은 로고가 뜨는군요. Made in India라...

 

c010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MAC 주소를 바꾸겠습니다. 위에 여러 것이 나오는데 대체로 유선랜의 경우 '로컬 영역 연결'이라는 이름으로 되어있습니다. 정 어려우면 옆에 Speed를 봐도 알 수 있네요.^^ 바꿀 것을 선택한 후 밑에 Change MAC을 클릭합니다.

c011

  그럼 위와 같이 나옵니다. 이 때 'Random MAC Address'를 클릭하면 왼쪽에 빈칸이 채워집니다. 그 밑에 목록이 나오는데 적혀진 MAC 주소가 어느 회사 것이냐를 알려주는 것입니다.

 

  여기서 MAC 상식 하나~

  MAC 주소란 네트워크 어댑터(NIC) 하나마다 할당되는 고유 주소입니다. 하지만 제 기억으로는 반드시 고유(자신과 같은 것은 이 세상에 없다! 를 보장)일 필요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이는 12-34-56-78-9A-BC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때 앞의 여섯 자, 여기서는 12-34-56,은 해당 네트워크 어댑터를 만든 회사의 고유 번호입니다. 제 것은 00-00-F0인데 이는 SAMSUNG ELECTRONICS CO. LTD. 것이라고 하네요.^^

  번외(그리고 풍문) 이야기이지만, MAC 주소가 반드시 고유일 필요가 없기에 어떤 회사에서는 네트워크 카드를 대량생산하여 MAC 주소가 부족해지자 중복으로 찍어냈다더군요. 그런데 재수 없게 그 중복으로 구입한 것이 충돌을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해서 난감해진 경우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여하튼 이렇게 MAC 주소를 적은 후 Automatically Restart Network Connection To Apply Changes를 반드시 체크를 해제하세요. 이것이 되면 편하기는 합니다만, 이 프로그램이 인도에서 만들었기 때문인지 한국어를 잘 인식 못해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는 Windows XP에서 확인한 사항입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Change Now! 버튼을 클릭하세요.^^

c012

  그럼 정말로 바꿀 것이냐 물어봅니다. 예를 눌러주세요.

c013

  그리고 최종적으로 잘 바뀌었다는 얘기를 합니다.

 

  하지만 아직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시스템을 변경하면 컴퓨터를 재부팅하죠?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카드도 재부팅을 해야 합니다. 물론 컴퓨터 전체를 재부팅해도 되지만, 그것보다는 바꾼 부분만 재부팅 하는 것이 좋잖아요~

  시작 –> 제어판 –> 네트워크 연결 –> 로컬 영역 연결을 클릭합니다.

c014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이 때 '사용 안함'을 클릭합니다.

  주의!! 이렇게 하면 네트워크 연결이 끊어져 인터넷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는 것을 종료하고 메신저 등도 끈 후 실행해주세요.

c015

  그럼 이처럼 회색으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다시 더블클릭을 하여 네트워크를 깨웁니다.

c016

  그럼 이처럼 파랗게 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017

  다시 시작 –> 실행 –> cmd 후 ipconfig /all 을 입력하여 확인하였습니다. 이제 로컬 영역 연결의 Physical Address가 프로그램 상에서 바꾼 것이 나왔습니다.^^

 

  네이트 덕분에 MAC 주소 변경하는 법도 적게 되네요. 좋은 건지 나쁜 건지 모르겠습니다. 여하튼 MAC 주소 수집에 찝찝하셨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 주의사항 하나 있습니다. 가끔 네트워크 환경 중 MAC 주소를 인증하여 할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넷스팟에서 MAC 인증이 있습니다. (관련글) 이런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거부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공유기에서도 기능 중 MAC 주소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MAC 주소가 해당 컴퓨터 네트워크 카드의 고유 번호니까요. 네트워크 연결에 인증된 사람만이 사용하도록 하고 싶다면, 아이디/비밀번호 방식도 있지만 그 사람이 쓰는 단말기(컴퓨터, 휴대폰 등)의 네트워크 카드 MAC 주소를 기억하는 방식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변경하면 바깥에서는 네트워크 카드가 바뀌었다고 생각할 수 있으니 네트워크 연결을 거부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점 확인해보시고 변경하세요. 만약 변경 후 잘 안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조



출처 : http://nosyu.pe.kr/2399

반응형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player 3.1.1 개인용  (1) 2010.12.10
VMWARE 속도 튜닝 하기  (1) 2010.12.07
VMWARE 게임가드 회피...  (1) 2010.12.03
VMWARE 7.1.2 32 and 64 bit ~  (0) 2010.12.02
JEUS 5 Encoding / characterset  (0) 2010.11.25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vmx 파일에 내용 추가


monitor_control.restrict_backdoor="TRUE"
disable_acceleration = "TRUE"
monitor_control.vt32 = "TRUE"
monitor_control.enable_svm = "TRUE"
svga.vramSize = "67108864"
vmmouse.present = "FALSE"


To start DFO i had to add the text bellow, in my <insert vmware name>.vmx file.

monitor_control.virtual_rdtsc = "False"
monitor_control.restrict_backdoor = "TRUE"
isolation.tools.getPtrLocation.disable = "FALSE"
isolation.tools.setPtrLocation.disable = "FALSE"
isolation.tools.setVersion.disable = "FALSE"
isolation.tools.getVersion.disable = "FALSE"
monitor_control.disable_directexec = "TRUE"

Then launched DFO and it work great.
반응형
반응형

1. 해당프로세스의 PID확인 후 수행
select s.sid, p.sid from v$session s, v$process p
where s.paddr=p.addr and p.spid="OSPID";

2. OSPID로 조회된 s.sid number을 이용하여 수행중인 SQL query를 확인
set long 10000
select a.sql_text from v$sqltext a,v$session b
where a.address=b.sql_address and
a.hash_valur=b.sql_hash_value and
b.sid=SID NUMBER order by a.piece;

 

OSPID에 processes ID넣으시면 되구요..

 

kill은 ALTER SYSTEM KILL SESSION '세션ID,시리얼번호';

v$session에서 조회하면sid,serial# 항목에 나오죠..

 

반응형

'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SESSION Monitoring SQL  (0) 2011.01.05
오라클 공부 방법  (0) 2010.12.08
오라클 일일 모니터링  (1) 2010.11.05
오라클 이기종간의 DB 복제  (0) 2010.10.15
ORACLE PATCHSET Upgrade  (0) 2010.09.14
반응형

VMS....


뭐 그냥 그렇지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