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 http://answers.microsoft.com/ko-kr/ie/forum/ie8-windows_xp/%EC%9C%88%EB%8F%84%EC%9A%B0-xp/10cbe970-ecd3-4d79-a727-9b317b227f43?msgId=093c18b5-183e-4ad5-aa53-43b8abee1bcd


Taehyung KIM 님

 

기재하여 주신 링크는 수정 하였습니다. 불편을 끼쳐 드린 점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3. Internet Explorer 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 제거하기

1. 시작 - 실행에 appwiz.cpl 를 입력합니다.

2. 타사 보안 응용프로그램과 Toolbar, search 등 사용하지 않는 불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은 모두 제거합니다.

4. 레지스트리 편집


아래 내용을 수행하시기전 제거하시려는 레지스트리 키값을 백업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레지스트리 백업: http://windows.microsoft.com/ko-KR/windows7/Back-up-the-registry

1) 시작 –검색상자-regedit를 입력한 후 검색된 regedit.exe를 클릭하여 실행합니다.
(관리자 암호를 묻거나 확인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암호를 입력하거나 확인을 제공합니다.)

2)아래 경로로 이동하여 Browser Helper Objects를 삭제합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

3)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안내드린 방법으로 수행하여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정확한 원인 확인이 필요하며 이는 웹상에서 지원이 어렵습니다.

 

웹상에서 기재해주신 내용만으로 답변을 드리기 때문에 로그 및 정확한 원인 확인이 필요한 증상의 경우 엔지니어의 확인을 받으시기를 안내드리는 것입니다.

 

한국 마이크로 소프트 에서 유료 지원을 받기 어려우신 경우  Windows XP를 이전 상태로 복원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거나 Windows 다시 설치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Windows XP의 경우, 정품 인증 및 서비스 팩 설치 제거 이외의 기술지원이 종료되어 유료 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제시된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참고

Microsoft 제품 지원 기간 정책

http://support.microsoft.com/lifecycle/ko#tab0

 

Microsoft 지원 기간 정책 FAQ

http://support.microsoft.com/gp/lifepolicy

 

윈도우 XP SP2, 윈도우 2000 등 기술 지원 7월 종료
http://www.microsoft.com/korea/press/pressroom/2010/02/05.aspx

 

.

* MS Answers는 엔지니어가 중재 및 가이드를 제시 드리고 있지만 고객 지원 페이지가 아닙니다.

 유저들의 정보를 공유하고 교환하는 목적의 포럼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re: 윈도우 업데이트 문제 해결해주세여
시작 - 실행 - cmd 입력

net stop wuauserv
proxycfg -d
proxycfg -u
net start wuauserv

거의 모든 문제는 해결됩니다.

 

========================================================================

 

참조사이트: http://laigo.kr/65 

Proxy 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이슈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환경]


[참고자료]
Windows Update 웹 사이트 또는 Microsoft Update 웹 사이트를 사용하려고 하면 "오류 0x80072EE2", "오류 0x80072EE7", "오류 0x80072EFD", "오류 0x80072F76" 및 "오류 0x80072F78"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http://support.microsoft.com/kb/836941/ko

WinHTTP 5.1에 Proxycfg.exe 구성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http://support.microsoft.com/kb/830605

About WinHTTP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aa382925(VS.85).aspx

참조 : http://blog.daum.net/hscense/11792291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Home 초과 버젼 에서는

제어판>관리도구>로컬보안정책>로컬정책>보안옵션>네트워크보안 LAN Manager 에서

“LM 및 NTLM 응답보내기” 로 설정

물론... 보안정책은 secpol.msc 명령을 통해 한번에 고고싱도 가능함.



Home 버젼에서는...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Lsa

32bit Dword 값으로 LmCompatibilityLevel  생성후

값을 1로 세팅한다.(관련 레지스트리는 파일 첨부)

반응형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업데이트 오류  (0) 2012.02.15
Windows Dump 분석하기  (0) 2012.01.20
윈도우 7 정품인증  (0) 2011.04.22
터미널 서비스 포트 변경 방법  (0) 2011.01.03
XP에서 Mac 주소 변경하기  (0) 2010.12.06
반응형

C:\>wget --spider -S http://www.naver.com --> 헤더정보를 console에 뿌린다.
--15:04:28--  http://www.naver.com/
           => `index.html'
Resolving www.naver.com... done.
Connecting to www.naver.com[202.131.30.82]:80... connected.  --> IP는 202.131.30.82 다.
HTTP request sent, awaiting response...
 1 HTTP/1.1 200 OK
 2 Date: Fri, 30 Nov 2007 06:04:21 GMT   --> 메인페이지는 오늘 아침 6시 4분 21초에 업데이트 되었다.
 3 Server: Apache --> Naver는 메인페이지용 웹서버로 Apache를 쓰고 있다
 4 Cache-control: no-cache, no-store, must-revalidate
 5 Pragma: no-cache
 6 P3P: CP="CAO DSP CURa ADMa TAIa PSAa OUR LAW STP PHY ONL UNI PUR FIN COM NAV INT DEM STA PRE" --> P3P를 쓰고 있다
 7 Connection: close
 8 Content-Type: text/html; charset=euc-kr  --> 캐릭터셋으로 euc-kr로 쓰고 있다.
200 OK

C:\>wget -O good.jpg http://www.hikr.org/files/33971.jpg --> url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good.jpg로 저장한다.
--15:08:51--  http://www.hikr.org/files/33971.jpg
           => `good.jpg'
Resolving www.hikr.org... done.
Connecting to www.hikr.org[88.198.38.81]:80... connected.
HTTP request sent, awaiting response... 200 OK
Length: 121,292 [image/jpeg]

100%[====================================>] 121,292       44.08K/s    ETA 00:00

15:08:55 (44.08 KB/s) - `good.jpg' saved [121292/121292]

출처 : http://youngsam.kr/entry/wget-%ED%99%9C%EC%9A%A9-%ED%97%A4%EB%8D%94%EC%A0%95%EB%B3%B4-%EB%B3%B4%EA%B8%B0-%ED%8C%8C%EC%9D%BC%EC%9D%84-%EB%8B%A4%EC%9A%B4%EB%A1%9C%EB%93%9C-%ED%95%98%EC%97%AC-%ED%8A%B9%EC%A0%95%EC%9D%B4%EB%A6%84%EC%9C%BC%EB%A1%9C-%EC%A0%80%EC%9E%A5?category=0













출처 : http://blog.naver.com/clotho95?Redirect=Log&logNo=140047568960

 

FireFox용

* LiveHTTPHeaders
  - 무료
  - http://livehttpheaders.mozdev.org/
  - 실행: 도구 --> Live HTTP headers

 

IE용

* ieHTTPHeaders
  - 무료
  - http://www.blunck.se/iehttpheaders/iehttpheaders.html
  - 실행: 보기 --> 탐색창 --> ieHTTPheaders

 

* DebugBar
  - 무료/상용
  - http://www.debugbar.com/
  - 실행: 보기 --> 도구모음 --> DebugBar

 

* Fiddler
  - 무료, NET 2.0 설치 필요
  - http://www.fiddlertool.com/fiddler/
  - 실행: 도구 --> Fiddler2
          또는 시작 --> 모든 프로그램 --> Fiddler2

 

* HttpWatch
  - 상용, 실제 사이트에서 많이 사용 중

  - http://www.httpwatch.com/

 

 

 

======================================================================================================================

======================================================================================================================

 

출처 : http://underclub.tistory.com/189

 

 

익스플로러 용 헤더보기 기능입니다.

프리버전 다운로드 URL : http://www.blunck.se/iehttpheaders.html


폰트가 굉장히 작습니다.
아래 그림에 있는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




다운로드가 끝나면 설치해주세요.


설치가 끝났는데 그 어디에도 헤더정보는 없다구요?
에이~ 그렇다면 우선 IE 7버전 이상에서 헤더정보보기 입니다.

■  IE 7 버전에서 헤더정보 보기.

1. 우선 IE를 재 시작 하세요.
2. 오른쪽 상단에 있는 도구를 클릭하세요.
    그런 다음 ieHTTPHeaders를 실행하세요!




 


네이버의 헤더정보가 나타나는군요!



■  IE 6 버전에서 헤더정보 보기.

[ 개인적으로는 IE 6버전을 권하지 않습니다. 
  이미 장례식까지 치른 브라우저이며, 웹표준을 지키지 않는 대표사례입니다. ]

하지만 특별한 경우엔 또 6버전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6버전은
위의 경우와 거의 비슷합니다.

제 PC엔,
6버전이 없어서 공식 사이트 도큐먼트 문서에서 그림을 찾아왔습니다.





 

파이어폭스 용 HTTP 헤더보기 - Live HTTP Headers



이번엔 파이어폭스용 부가기능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파이어폭스는 제 주력 브라우저 입니다.



파이어폭스 부가기능에서 검색해 주세요.



설치가 끝나면 파이어폭스를 재시작 하세요.



도구탭에 있습니다 ^^



이상입니다.

헤더정보 보기는 디버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 물론 전 헤더정보 까지 디버깅해야될 정돈 아니구요 ^^;; )

반응형
반응형

확인

시작 -> 실행 -> cmd -> 도스화면

# 라이센스 초기화 횟수등 기본 정보
slmgr -dlv

# 영구 인증 확인
slmgr -xpr

# 기타 사용법
slmgr [컴퓨터이름[사용자암호]][<옵션>]

전역옵션
/ipk <제품 키>
   제품 키 설치(기존 키 바꾸기)
/ato [Activation ID]
   윈도우 정품 인증
/dli [Activation ID | All]
   라이센스 정보 표시(기본값 : 현재 라이선스)
/dlv [Activation ID | All]
   자세한 라이선스 정보 표시(기본값 : 현재 라이선스)
/xpr [Activation ID]
   현재 라이선스 상태의 만료 날짜

고급 옵션:
/cpky
   레지스트리에서 제품 키 지우기(공개 공격 방지)
/ilc <라이선스 파일>
   라이선스 설치
/rearm
   컴퓨터의 라이선스 상태 다시 설정
/upk [Activation ID]
   제품 키 제거

/dti [Activation ID]
   오프라인 정품 인증을 위한 설치 ID 표시
/atp <확인 ID> [Activation ID]
   사용자 제공 확인 ID로 제품 정품 인증

볼륨 라이선스 : KMS(키 관리 서비스) 클라이언트 옵션:
/skms <이름[:포트]|:포트> [Activation ID] [Activation ID]
  이 컴퓨터에서 사용될 KMS 컴퓨터의 이름 및 /또는 포트를 설정하십시오. IPv6
주소는 [호스트 이름]: 포트 형식으로 지정해야 합니다.
/ckms [Activation ID]
   사용된 KMS 컴퓨터의 이름 지우기(포트를 기본값으로 설정)
/skhc
   KMS 호스트 캐싱 사용
/ckhc
   KMS 호스트 캐싱 사용 안함

볼륨 라이선스 : 토큰 기반 인증 옵션:
/lil
   설치된 토큰 기반 인증 발급 라이선스 표시
/ril <ILID> <ILvID>
   설치된 토큰 기반 인증 발급 라이선스 제거
/ctao
   토큰 기반 인증 전용 플래그 지우기(기본값)
/stao
   토큰 기반 인증 전용 플래그 설정
/ltc
   토큰 기반 인증 인증서 표시
/fta <인증서 지문> [<PIN>]
   토큰 기반 인증 적용

등.. 많음 -_-ㅋ



반응형
반응형

프로폐셔널 : proplus.ww
엔터프라이즈 : enterprise.ww

폴더안에 있는 config.xml 파일을 연다


<!-- <Display Level="none" CompletionNotice="no" SuppressModal="yes" AcceptEula="yes" /> -->
디스플레이 레벨을 NONE 으로  -  설치유형 선택 : 지금설치, 사용자 설치 버튼이 안나옴.

<!-- <PIDKEY Value="이곳이 시디키 넣는곳" /> -->

회사명과 이름을 적당히 넣는다.



메뉴 화면이 익숙치 않고 리소스를 많이 차지하는 느낌이 들어서 오피스 2007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보니 자동설치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오피스2007 파일을 구한 다음 적당한 폴더에 푼 후 command prompt 에서 아래그림처럼 "setup /admin"하고 엔터를 칩니다.

2.잠시기다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3. 그냥확인을 누른 후 아래화면에서 좌측부분의 "라이선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클릭합니다.
4. 제품키를 입력합니다. (여기서는 저작권법에 따라 보이지 않게 처리했습니다)
5. 동의함에 체크 클릭하고 수준표시는 기본으로 정합니다.
6. 아래그림처럼 모달 표시안함에 체크하고 좌측편에 있는 "기능 설치 상태 설정"을 클릭합니다.
7.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 표시를 눌러 기능을 펼칩니다.
8. 아래그림처럼 클릭한 후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모두 "사용할 수 없음"으로 바꿔 줍니다.
9. 보통은 아래 그림과 같이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정도만 사용합니다.
10.추가기능으로 바탕화면에 필요한 엑셀 아이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른 아이콘도 이 방법을 응용하시면 됩니다. 관리화면 왼편의 "바로가기 구성"을 클릭 -> 엑셀을 선택 -> 추가를 클릭합니다.
11. 아래그림처럼 대상은 "Microsoft Office Excel 2007" 로 위치는 "DesktopFolder"로 지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12. 이제 지정도구는 마무리 하겠습니다. 저장을 클릭합니다.
13. 저장할 파일이름은 임의로 저장하면 되겠으나, 여기서는 추후에 적용할 자동설치를 위해 "set2007" 로 정하겠습니다.
14. 마지막으로 창을 닫으려고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확인을 클릭하세요.
15. 폴더를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set2007.MSP 파일이 보이면 자동설치를 위한 관리파일이 제대로 만들어진 것 입니다.
16. 설치시에 서비스팩2를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하려면 Updates 폴더에 msp 파일을 넣어주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설치가 됩니다.
여기서는 서비스팩2와 관련 핫픽스를 다운받을 수 있는 파일을 첨부합니다. 적당한 폴더에 o2k7up2.exe  파일을 풀고 배치파일을 실행하면 updates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msp 파일들이 생깁니다. 생성된 updates 폴더를 오피스 폴더로 복사하면 됩니다.

17. 마지막 문제는 이렇게 해도 자동설치가 안되고 아래그림과 같은 화면에서 "지금 설치"를 눌러줘야 진행이 된다는 것입니다.
편의상 자동으로 지금설치를 눌러주도록 오토잇으로 만든 autoset.exe  파일을 첨부합니다. 오피스 원본이 있는 폴더에 압축을 풀어주면 되겠습니다. 이 파일 때문에 위에서 관리파일 이름을 set2007.msp 로 정한 것입니다.

설명은 길지만 간단한 작업입니다. 성공하시길^^*

출처 : http://pd007.egloos.com/2959477
반응형
반응형

portnumber 값을 10진수의 변경하고자 하는 포트로 변경 필요

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ds\rdpwd\Tds\tcp    PortNumber값을 10진수로 변경후 수정.

 

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PortNumber값을 10진수로 변경후 수정.

수정후 시스템 리부팅.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1. Quick Batch File Compiler (Quick BFC)


1.png
Quick Batch File Compiler (Quick BFC) 는 BAT 파일을 EXE 파일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입니다.
특히 프로그램 작업 하다 보면 BAT 파일을 자주 만지게 되는데 BAT 파일의 내용을 감추고 싶을때, 또는 lnk(바로가기) 파일에서 지원 되 지 않는 상대경로를 이용한 프로그램 실행 (Launcher) 을 만들때 유용합니다.





2. 프로그램 구하기


1359DB144B85303A18ED7A
Quick Batch File Compiler 3.2.4.0 (Portable, Registered)




18741C054B8549E55422B7
1. http://rapidshare.com 에서 미등록 사용자는 다운 받기위해 30초를 대기 하셔야 되요. ㅠ_ㅠ
 
2. 무설치 버전은 Windows7 에서 정상 동작 함을 확인 하였습니다.
3. 해당 파일은 저와는 무관한 파일 입니다. (구글링 했어요.)







3. 간단한 사용


<test.bat>

".\..\..\..\..\Program Files\7-Zip\7zFM.exe"

위 내용의 배치 파일을 만듭니다.
해당 내용은 7zFM.exe 파일을 실행하며 이때 7zFM.exe 파일을 test.bat 파일이 위치한 경로로부터 상대경로로 접근합니다.



2.png
Quick BFC 에서 해당 bat 파일을 Open 하고 Build 하는 것 만으로 원하는 exe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어때요, 참 쉽죠잉~?)

헌데 만들어진 exe 파일을 실행시켜뜨니 이상합니다.

3.png
에레? cmd 창도 같이 떠버리네요?!!!



4.png
Option 에서 Output EXE type 을 Ghost Application 으로 변경해주고 다시 Build 합니다.
그러면 cmd 창은 뜨지 않을거에요.





4. 생성되는 exe 파일의 icon을 정하고 싶어요


5.png
Embedded Files 탭에서 Application Icon 을 선택하여 줍니다. (Icon 이미지 파일은 ico 파일만을 지원합니다.)
그러고 다시 Build를 하면 아래와 같이 exe 파일의 아이콘이 등록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