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필요한 정보

- URL:Port

- RequestMapping 정보

 

ex) http://127.0.0.1:8080/getData

- URL:PORT => http://127.0.0.1:8080

- RequestMapping => getData

  > 자바 문장   

@RequestMapping(value = "/getData", method = RequestMethod.POST)

 

2. 보낼 데이터

- 일반적인 Parameter인 경우가 아닌 param 으로 Hashmap 데이터 전송시 예제

xmin:-111.11111

ymin:20.40121

xmax:-95.1231231

ymax:26.99383

 

3. POSTMAN 설정하기

 

- 주소창에 POST 타입(Java에서 POST 타입으로 받기로 되어 있음)과 RequestMapping값을 맞춰줍니다.

 

- Header 설정 값들을 맞춰줍니다.

  > Key 값 : Content-Type / Value 값 : application/json

  > Key 값 : Accept / Value 값 : application/json

 

  > Body에 raw로 선택후 입력 창에 다음과 같은 형태로 값을 입력합니다.

     

{
"xmin":-111.11111,
"ymin":20.40121,
"xmax":-95.1231231,
"ymax":26.99383
}

 

Send를 눌러 전송하면 정상적으로 값을 보내고 받아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반응형

'UTIL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outer Batch 설정 옵션  (1) 2020.06.15
ghost 옵션  (0) 2019.11.27
정규식 방법  (0) 2014.06.17
Process Hacker  (0) 2014.03.26
SSH System Administration Tool  (0) 2014.03.01
반응형

요즘은 거의 크롬 확장 프로그램이 막혀있더군요

 

아래의 프로그램 설치 후 주소만 복사해서 붙이면

 

보기 좋은 크기로 자동 다운로드 됩니다.

 

http://www.clipdown.co.kr/

 

유튜브 mp3 음원추출 사이트 - 클립다운(clip down)

유튜브 mp3 음원추출 사이트 - 클립다운에서 무료로 유튜브, 데일리모션, 페이스북 등에서 mp3 음원추출이 가능합니다.

www.clipdown.co.kr

 

사용법

 

1. Clip Down 실행합니다.

 

2. 유튜브에 들어가 재생되는 동영상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

   → 동영상 URL 복사

 

3. 다음과 같은 팝업 창이 뜹니다.

   

   붉은 색 다운로드 글자를 누릅니다.

 

 

4. 진행중인 아래 화면이 뜹니다.

 

5.  아래와 같은 로딩된 화면이 뜹니다.

 

 

우측 아래에  해상도 자동> 을 눌러 해상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해상도 자동> 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해상도를 지정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화면 왼쪽(Audio)은 해상도 상관없이 오디오만 추출, Video는 위 정한 해상도에 맞춘 동영상 다운로드 됩니다.

 

 

 

모든 파일이 다운로드 완료되면 우측위에 폴더를 눌러 다운받은 폴더를 열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WAR 배포 단위가 많아진것 같다.

 

회사에서도 홈페이지 개발해서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WAR를 배포하는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

 

1. 환경 : tomcat

2. server.xml 환경 설정을 사용하여 자동 unpack

 

몇주간 잘 사용하다가

 

STS(Spring Tool Suite) 기능 때문에 파일 업로드 살펴볼까 하고 보다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했다.

 

1. 요즘은 보안상의 이유로 상위 디렉토리 자체를 접근하면 안됨

2. Tomcat의 자동 WAR unpack 기능을 쓰면 기존 폴더를 어디론가(?) 사라지고

   똑같은 이름의 폴더가 생성됨

 

해결 방안

1. Tomcat 자동 WAR unpack 기능 중지

2. 수동으로 기존 folder delete

3. 수동으로 WAR unpack 작업

 


 

1. Tomcat 자동 WAR unpack 기능 중지

- 파일 위치 : Tomcat 설치 위치/conf/server.xml 

- 변경 내용

  WAR 자동 deploy 설정 끄기 (unpackWARs 옵션 false)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false" autoDeploy="true">

 

※ 위 설정 적용을 위해 tomcat은 재기동 합니다. (그 이후에는 자동 WAR unpack 중지 / autoDeploy는 적용)

 

2.  수동으로 기존 Folder 삭제 및 3. 수동으로 WAR unpack 작업

unzip 을 사용하여 위치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적용

다음과 같은 deploy 반영하는 쉘을 적용

 

WAR_DIR : tomcat 폴더 홈 디렉토리 + webapps 폴더 까지 경로

ex) /www/tomcat 에 tomcat이 설치됐다면

     WAR_DIR="/www/tomcat/webapps"

 

아래 예제는 unzip이 설치된 것으로 설정하였으니

 

반드시 unzip 명령어를 쳤을때 정상인 것을 확인하고 적용해야 함.

# delete old deploy folder
rm -rf ${WAR_DIR}/homepage/META-INF
rm -rf ${WAR_DIR}/homepage/org
rm -rf ${WAR_DIR}/homepage/WEB-INF

# WAR unpack
unzip ${WAR_DIR}/homepage.war -d ${WAR_DIR}/homepage/

 

반응형
반응형

 

1. hangout

 

구글 메신저

 

2. Google 번역

 

영한 번역 등 번역기능

 

3. uBlock Origin

 

팝업 차단 기능

 

4. Get CRX

 

Offline 환경에 크롬 extension 설치용 버전 만들기 위한 기능

 

5. MeddleMonkey

 

유투브 고화질 다운로드 기능

 

6. Selenium IDE

 

UI 테스트 자동화 녹화 및 재생 기능

 

7. Window Resizer

 

다양한 화면 크기로 브라우저를 맞춰 세팅해 줌

 

8. JSONView

 

JSON 타입의 데이터를 Grouping 하여 이쁘게 조회하여 줌

 

9. CSSViewer

 

화면에 특정 위치에 적용된 CSS의 정보를 클릭하여 볼수 있게 해줌

 

10. spider a website

 

특정 사이트 내부에 link가 깨지거나 잘못된 화면을 조회하여 줌

 

11. EditThisCookie

 

사이트의 쿠키를 수정할 수 있는 기능

 

12. Web Developer

 

개발에 필요한 요소들로 구성

 

화면, CSS, Validate 등 다양한 서비스 존재

 

화면에서 사용하는 JS, CSS, Cookie, Image 등 다양한 것들을 로딩하지 않은것과 같은 상태로 변경

 

13. WAVE

 

 CSS 등 오류 검색 (Web Developer에도 있긴 한데 offline 등 환경에서는 부적합)

 

화면 UI에 오류 내역에 표시됨으로 Web Developer보다는 직관적!

반응형
반응형

1. svn 백업

아래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가질 때 예

svn root : /var/svn

저장소명 : gov

백업 파일명 : gov_backup.dump

#> svnadmin dump /var/svn/gov > gov_backup.dump

 

2. svn 복구

svn root 위치에 해당 파일(gov_backup.dump)

복사후 수행

 

a. 저장소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gov

 

b. 생성된 저장소에 내용 로드

#> svnadmin load gov < gov_backup.dump

반응형

'Priv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페이지 성능분석 및 로딩 속도 최적화  (0) 2019.09.03
D3  (0) 2019.05.31
node-red oracledb  (0) 2018.06.25
서버 용량 산정 / 성능 측정 / tpmc / bops / tpc / tpc-h  (0) 2013.05.10
오라클 접속 ORA-12505 에러 관련  (0) 2013.05.02
반응형

systemctl 명령어를 통한 시작 방식은

 

root로만 접근해야 하는 것이라

 

WAS(tomcat)의 기동 및 중지 권한을 넘겨주고

 

재부팅시에도 자동으로 시작될수 있도록(tomcat 계정)

 

할려면 다음과 같다.

 

1. 퍼미션 부여

chmod 755 /etc/rc.d/rc.local

 

2. rc.local 실행 명령어 추가

아래는 tomcat 계정으로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명령어

nohup su - tomcat -c /home/tomcat/apache-tomcat-8.5.40/bin/startup.sh &

 

3. rc.local 서비스 등록

위와 같이 해도 rc.local이 시작시에 시작되려고 하려면

아래와 같이 rc-local 서비스가 시작상태여야 함 (한번만 시작하면 계속 시작되어 있음)

#> systemctl start rc-local

 

 

반응형
반응형

1. vi command 상에서

:colorscheme

-> 기본 적용되어 있는 컬럼 스킨 확인 가능

 

2. colorscheme 적용가능한 테마 확인

:colorscheme 'Ctrl+D'

-> colorscheme 명령어 한칸 띄우고 Ctrl +D 키를 입력하면 목록이 조회됩니다.

 

3. 다른 컬럼 스킨 적용

개인적으로 식별하기 좋은 형태로 ron을 추천하면

:colorscheme ron

-> ron 형태의 스킨을 적용가능합니다.

 

4. 항상 ron 설정으로 vi 적용하기

$> vi ~/.exrc

-> 계정의 home 디렉토리에 .exrc 파일에

colorscheme ron

-> :wq를 입력하여 저장후 쉘로 나옵니다.

 

$>cat ~/.exrc

colorscheme ron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mrc 공통 환경 설정  (1) 2019.12.03
Centos 7 SAMBA 설정  (1) 2019.09.05
CENTOS 7에 XRDP 설치하기  (0) 2017.08.26
리눅스 백업 및 복구  (0) 2013.01.25
삼성 컴퓨터 유분투 설치기.  (0) 2012.02.06
반응형

방화벽상태확인
firewall-cmd --list-all

포트허용 추가 sample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8140/tcp
# firewall-cmd --reload


포트허용 제거 sample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remove-port=8140/tcp
# firewall-cmd --reload


포트 포워딩 sample
# firewall-cmd --zone=public --add-forward-port=port=80:proto=tcp:toport=8080 --permanent
# firewall-cmd --reload


[CentOS] 7으로 버전업되면서 달라진 것 Admin
출처: https://www.certdepot.net/rhel7-rc-local-service/

1. 기본설정상태에서 rc.local이 자동 실행되지 않는다.
-- 해결법
# chmod u+x /etc/rc.d/rc.local
# systemctl start rc-local


2. 'ifconfig'가 없다T_T
--해결법(설치해도 되지만...)
'ip addr'로 대체

3. 'netstat'이 없다T_T
--해결법(설치해도 되지만...)
'ss'로 대체


firewalld 각종 명령어 Admin
출처: 
https://www.digitalocean.com/community/tutorials/how-to-set-up-a-firewall-using-firewalld-on-centos-7
https://access.redhat.com/documentation/en-US/Red_Hat_Enterprise_Linux/7/html/Security_Guide/sec-Using_Firewalls.html

* 설정하고 나면 리로드해야 변경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firewall-cmd --reload

* firewalld 데몬 시작하기
systemctl start firewalld.service

* firewalld 실행여부 확인하기
firewall-cmd --state

* 디펄트 존 확인하기
firewall-cmd --get-default-zone

* 활성화된 존과 연결된 인터페이스 확인하기
firewall-cmd --get-active-zones

* 디펄트 존의 환경설정 보기 
firewall-cmd --list-all

* 사용가능한 존 목록 확인하기
firewall-cmd --get-zones

* home존의 환경설정 보기
firewall-cmd --zone=home --list-all

* 인터페이스의 존을 변경하기
firewall-cmd --zone=home --change-interface=eth0
or "/etc/sysconfig/network-scripts/"에 있는 ifcfg-eth0와 같은  파일에 ZONE=home과 같이 설정을 추가하면 해당 존으로 인터페이스가 잡힌다.

* 디펄트 존 변경하기
firewall-cmd --set-default-zone=home

* 미리 정의된 서비스 포트 목록 확인하기(정의된 위치: /usr/lib/firewalld/services/) [해당 서비스정의 파일을 복사하여 내용수정하면 다른 정의 파일 생성가능]
firewall-cmd --get-services

* 사용자 존 생성하기
firewall-cmd --permanent --new-zone=publicweb

* 사용자 존 삭제하기
firewall-cmd --permanent --delete-zone=publicweb

***************************************************
Configuring IP Address Masquerading
***************************************************
* external존을 Masquerading 가능상태인지 확인하기
firewall-cmd --zone=external --query-masquerade

* external존을 Masquerading 가능상태로 만들기
firewall-cmd --zone=external --add-masquerade

* external존을 Masquerading 불가능상태로 만들기
firewall-cmd --zone=external --remove-masquerade

* 설정된 포워딩 포트(22)로 들어온 패킷을 특정 IP(192.0.2.55)의 같은 포트로 포워딩하기
firewall-cmd --zone=external --add-forward-port=port=22:proto=tcp:toaddr=192.0.2.55

* 설정된 포워딩 포트(22)로 들어온 패킷을 특정 IP(192.0.2.55)의 다른 포트(2055)로 포워딩하기
firewall-cmd --zone=external --add-forward-port=port=22:proto=tcp:toport=2055:toaddr=192.0.2.55



특정 IP만 접근가능하게 하기 Admin
[상단 글의 특정 존 확인 기능을 먼저 알아둘 것]

firewall-cmd는 zone별로 구분하여 정책설정을 할 수 있음을 기억할 것

internal존에 해당 IP를 추가하고 public존의 ssh 서비스는 제거해보는 예제

# firewall-cmd --zone=internal --add-service=ssh --permanent

# firewall-cmd --zone=internal --add-source=192.168.1.2/32 --permanent

# firewall-cmd --zone=public --remove-service=ssh --permanent

# firewall-cmd --reload

확인해보기
#firewall-cmd --get-active-zones
#firewall-cmd --info-zone=internal

반응형
반응형

https://aws.amazon.com/ko/solutions/?nc2=h_m2

 

클라우드 솔루션 | 검증됨, 기술 참조 아키텍처 | AWS

AWS 솔루션은 AWS의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되었으며, AWS 플랫폼을 사용하여 공통된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모든 AWS 솔루션은 AWS 아키텍트가 검증했으며, 운영 효율성, 성능, 안정성, 보안, 비용 효율성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모든 AWS 솔루션에는 자세한 아키텍처, 배포 안내서 및 수동 및 자동 배포용 지침이 함께 제공됩니다.

aws.amazon.com

여긴 자격증을 따야 하나....

반응형
반응형

 

관련 URL : 

 

https://azure.microsoft.com/ko-kr/solutions/architecture/?

 

Azure 솔루션 아키텍처 센터 | Microsoft Azure

다양한 솔루션 아키텍처를 탐색하여 Azure에서 보안, 가용성 및 복원력이 뛰어난 솔루션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지침을 찾으세요.

azure.microsoft.com

 

사전 알면 좋은것

 

데브옵스(DevOps), CI, CD, MSA, 저장소(git), 개발언어 등...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