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ctfree 

 

 a) 수정 시 늘어나는 데이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b) 디풀트는 10이나 빈번히 수정이 되면서 null 이었다가 데이타가 채워지는 경우는 

   이 값을 약 20 혹은 30 까지 크게 설정한다.  

PCTFREE(20%) : 블록은 80% 찰때까지 행을 삽입할수 있고 20%는 기존 행 갱신할경우를 위해
빈영역으로 남겨둔다. default 10%

 

pctused 

 

재사용되기 위해 필요한 블럭의 사용량을 설정한다.디폴트는 60이나 입력,

삭제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90 정도로 큰 값을 설정하고,

수정작업이 자주 발생하면서 로우 사이즈가 증가할 때에는 40 정도로 낮은 값을 설정한다.

PCTUSED(60%) : 사용된 영역이 40%보다 작아져야 새로운 행을 삽입할수 있다.

 

freelist 

 

 a) insert 작업 시 미리 사용 가능한 블럭을 리스트하고 있다가 할당하는 곳이다.     

 b) insert 작업이 많이 발생하는 테이블이나 인덱스에서는 이 값을 증가시켜 빈 블럭을 

   할당 받기 위해 대기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freelists 와 Free List Group(OPS에서만 사용됨)은

주로 OPS에서 쓰여집니다.

늘리는 것은 결과치가 1%이하나 적당한 값이 나올때까지 허용하는 한도내에서 조금씩 늘립니다.

 

그럼 이제부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PCTUSED, PCTFREE 모두 Block에 대해서 지정하는 옵션 파라미터입니다.
오라클 데이타 입출력의 최소 단위는 Block인 것은 알고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PCTFREE는 update로 인해 기존 row가 커질 경우를 대비해서 예약해두는 공간입니다.
주로 varchar2 같이 가변 길이 자료형의 경우 업데이트를 통해서 row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update로 인해 자료 사이즈가 커질 수 있는 경우에는 pctfree를 크게 주라고 이야기합니다. 너무 크게 주면 한 블록에 들어갈 수 있는 row 수가 적어지므로 비효율적이겠지요.

비유를 해볼까요? 우리가 술잔에 술을 따를 때 넘치게 따르지 않습니다. 어느 정도 여유를 두고 따르죠.
그리고 애기들 옷살 때도 몸에 꼭맞는걸 사는게 아니라 약간 큰걸 사죠. 그래야... 애기가 커서도 입을 수 있으니까요. 

PCTUSED는 데이타를 삭제했을 경우에 필요한 파라미터입니다.
PCTFREE가 10%인 블록에 row를 계속해서 insert 해서 90%까지 차게되면 이 블록은 더 이상 insert를 하지 않고 다음 블록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렇다면 다시 블록에 row를 delete로 삭제하면, 이 블록이 바로 재활용이 될까요? 아닙니다. 언제 다시 Freelist로 등록되어서 다음 insert 시 사용될 수 있을지를 지정하는 것이 pctused입니다.

말이 어려운 것 같아도 비유를 해봅시다.
앞서 비유와 같이 술잔을 10% 남겨두고 90%까지 채웠습니다. 
(PCTFREE 10%)
그런데 같이 술마시던 친구가 40%를 남겨두고 한모금에 마셨습니다.
그럼 한잔을 더 따라줘야 해야할까요? 말아야할까요?
어느 시점에서 술을 더 따라줘야할지 정해주는게 PCTUSED입니다.
PCTUSED가 40%라면 40% 이하로 친구가 술잔을 비우면 더 따라줘야합니다. (즉, Block을 delete 해서 사용량이 40% 이하로 내려갔을 때...)
한국 사람은 이 수위가 더 낮지요. 첨잔을 금기시하는 음주 문화라... ^^;
한국 사람의 경우 PCTUSED가 10%쯤 될까요? 거의 바닥이 보이게 되면 그제서야 "친구 한잔 더 받게"하면서 따라주죠.

그럼 Freelist는 뭘까요?
위에선 2명이서 마셨지만... 이제 동창회 모임이라서 20명이 한꺼번에 마십니다. 기억력이 나쁜 저는 어느 친구의 잔이 비었는지 목록이 필요해집니다. 즉, insert 의후보로 쓰일 수 있는 가용한 Block의 목록을 가지고 있는게 freelist입니다. 
pctused 이하로 술잔이 비워진 친구들의 목록을 기록해두는 장부라고 해두죠.
마지막으로 freelist에 가용한 블록이 전혀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extents를 추가로 더 할당받아야하겠죠. 그리고 다른 새로운 블록을 할당받아야합니다. HWM(High Water Mark)도 올라가겠지요.

그럼 PCTUSED와 PCTFREE 설정의 기준을 간략히 말하자면..


1. 오로지 insert만 되는 테이블 :  이 경우에는 PCTFREE를 아주 낮게 설정하는게 한 블록을 꽉꽉 채울 수 있으므로 더 효율적이겠지요.
전혀 업데이트가 없다면 PCTFREE 0%도 가능합니다.

2. insert와 delete가 반복되는 테이블 : 위에서는 insert만 이루어졌지만 이번에는 delete 가 됩니다. 그러면 pctfree  도 낮게 설정되어야하겠지만 pctused도 낮게 설정하는게 좋습니다.
pctused가 높다는 이야기는 블록의 데이타가 조금만 delete되어도 바로 freelist에 등록되어서 다음 insert의 후보로 사용된다는 이야기고...
왔다갔다하는 빈도수가 잦아지므로 좋지 않습니다. 

3. update 로 인해 row가 커질 수 있는 경우 :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pctfree를 Row migration이 안생기는 수준까지 키워주는게 좋습니다.

PCTUSED가 Delete로 인해서 40% 이하로 떨어지면 Freelist에 등록이 됩니다. 즉, 이 블록은 이제 재사용해도 좋다라는 허가가 떨어집니다.
이제 insert를 하면 다시 PCTFREE 10%를 남겨놓고 90%까지는 insert가 가능해집니다.

9i부터는 ASSM(Automatic Segment Space Management) 기능을 통해서 PCTUSED와 FREELIST를 없앴습니다.
(물론 이전처럼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만...)
어쨌거나 ASSM에서는 빈블록의 목록을 Freelist가 가지고 있는게 아니라... 세그먼트의 처음 3블록이 bitmap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즉, freelist를 일일이 뒤져보지 않아도 bitmap만 보면 그 블록이 얼마나  찼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ASSM기능을 사용할 경우 PCTUSED와 Freelist는 사용하실 수가 없으며 PCTFREE만 DBA가 지정해주면 됩니다.
freelist를 뒤지는건 순차적인 작업이므로 동시에 DML 되는게 많다면 상당한 오버헤드였거든요.
특히 다수의 노드가 하나의 스토리지를 바라다보는 RAC 클러스터 같은 환경에선 ASSM이 Manual 에 비해서 35% 정도 빠르다는 오라클 내부 벤치마크 결과가 있습니다.
저는 ASSM을 권장하는 편입니다. Freelist, pctused를 제대로 설정한다는건 경험많은 DBA에게도 쉽지 않은 일이고... freelist를 뒤지는 오버헤드도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ASSM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9iR2 버젼에 9.2.0.4 이상의 패치셋을 반드시 적용하신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LOB Type 의 경우 corruption 문제가 있고 bitmap index관련해서도 버그가 리포트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 PENDING OFFLINE 걸린 SEGMENT 조회
  select name, xacts ACTIVE_TRANSACTIONS FROM
  v$rollname, v$rollstat where status = 'PENDING OFFLINE' and v$rollname.usn = v$rollstat.usn;
 
  -- 특정 ROLLBANK 네임으로 검색
  SELECT S.SID
       , S.USERNAME
    FROM V$ROLLNAME R
       , V$TRANSACTION T
       , V$SESSION S
   WHERE R.NAME = '_SYSSMU26_3785803917$'
     AND T.XIDUSN = R.USN
     AND S.SADDR  = T.SES_ADDR;
    
    
  -- 전체 ROLLBACK 검색 (나온 SID를 KILL 해주면 정상 복구)
  SELECT S.SID
       , S.USERNAME
    FROM V$ROLLNAME R
       , V$TRANSACTION T
       , V$SESSION S
   WHERE R.NAME IN
         (
            select name FROM
                v$rollname, v$rollstat where status = 'PENDING OFFLINE' and v$rollname.usn = v$rollstat.usn
         )
     AND T.XIDUSN = R.USN
     AND S.SADDR  = T.SES_ADDR
     ;
    
  -- ROLLBACNK 상태 검색 
  select * from v$rollstat;    
 
  -- 특정 ROLLBACK 세그먼트 ONLINE
  alter rollback segment "_SYSSMU16_678252039$" online;
 
  -- 롤백 세그먼트 rbs 테이블 스페이스 크기 확인
  SELECT FILE_NAME, BYTES
    FROM DBA_DATA_FILES
   WHERE TABLESPACE_NAME = 'RBS';
  
 
 
  SELECT * FROM DBA_ROLLBACK_SEGS;
 
  -- 언두를 1G 추가 
  alter tablespace UNDOTBS1 add datafile '/u02/data/undotbs2.dbf' size 1000M;

반응형
반응형


내부적으로 호출 시작은
dbms_stats.gather_database_stats_job_proc()


-- 11g의 기본 자동 수집 테스트는 아래로 조회 가능
select * from dba_autotask_client;

-- 내용 조회
select * from DBA_SCHEDULER_WINDOWS;

-- 각 요일별 윈도우 확인하고
WINDOW_NAME => MONDAY_WINDOW는 월요일

지금 문제가 되는 토,일의 byhour가 6으로 (기본)

업무시간중에 수행되면 안됨

-- 특정 테이블 통계 정보 수집 이력 조회
select * from dba_tab_stats_history
        where table_name = '테이블명'
          and to_char(stats_update_time, 'yyyymmdd') = '20171230'
;

 

/*
    -- 기본 토요일 repeat_interval 값
    freq=daily;byday=SAT;byhour=6;byminute=0; bysecond=0
*/
-- 토요일의 시간을 6 => 22시로 변경
-- 아래의 명령어는 Active 상태를 TRUE => FALSE 로 만듬
-- /as sysdba 로 접속
exec dbms_scheduler.close_window('SATURDAY_WINDOW');


-- 비활성화
exec dbms_scheduler.disable('SATURDAY_WINDOW');

-- 반복되는 시간 속성 설정
exec dbms_scheduler.set_attribute(name => 'SATURDAY_WINDOW', attribute => 'REPEAT_INTERVAL', value => 'freq=daily;byday=SAT;byhour=22;byminute=0; bysecond=0');

-- 지속되는 속성 설정
exec dbms_scheduler.set_attribute(name => 'SATURDAY_WINDOW', attribute => 'DURATION', value => '+000 04:00:00.000000000');

-- 활성화
exec dbms_scheduler.enable('SATURDAY_WINDOW');


-- 일요일 변경
-- 6 => 22시로 변경
-- 비활성화
exec dbms_scheduler.disable('SUNDAY_WINDOW');

-- 반복되는 시간 속성 설정
exec dbms_scheduler.set_attribute(name => 'SUNDAY_WINDOW', attribute => 'REPEAT_INTERVAL', value => 'freq=daily;byday=SUN;byhour=22;byminute=0; bysecond=0');

-- 지속되는 속성 설정
exec dbms_scheduler.set_attribute(name => 'SUNDAY_WINDOW', attribute => 'DURATION', value => '+000 04:00:00.000000000');

-- 활성화
exec dbms_scheduler.enable('SUNDAY_WINDOW');


-- 최종 내용 조회
select * from DBA_SCHEDULER_WINDOWS;

반응형
반응형

# INSTANCE NAME/ DB NAME을 확인하고 싶은데 권한이 없는 일반 유저가 확인하고 싶을때 가능
 - SYS_CONTEXT 함수는 세션정보를 얻어오는 함수 입니다.
 - USERENV : 현재 세션의 환경정보를 반환는 네임스페이스 입니다.
   SYS_CONTEXT ('namespace', 'parameter')

Oracle Docs : http://docs.oracle.com/cd/E11882_01/olap.112/e23381/row_functions079.htm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DB 이름
SELECT SYS_CONTEXT('userenv', 'db_name') db_name FROM DUAL;
DB_NAME
------------
oracle3
 
-- Instance 이름
SELECT SYS_CONTEXT('userenv', 'instance_name') instance_name FROM DUAL;
INSTANCE_NAME
------------------
oraSub3
 
-- 접속자 IP 주소
SELECT SYS_CONTEXT('USERENV','IP_ADDRESS') "My IP Address"  FROM DUAL;
 
-- DBA 여부
SELECT SYS_CONTEXT('USERENV','ISDBA') isdba FROM DUAL;
ISDBA
-------
TRUE
 
 
SELECT SYS_CONTEXT('USERENV','TERMINAL') terminal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LANGUAGE') language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SESSIONID') session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INSTANCE') instance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ENTRYID') entry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ISDBA') isdba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TERRITORY') nls_territory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CURRENCY') nls_currency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CALENDAR') nls_calendar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DATE_FORMAT') nls_date_format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DATE_LANGUAGE') nls_date_language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LS_SORT') nls_sort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CURRENT_USER') current_user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CURRENT_USERID') current_user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SESSION_USER') session_user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SESSION_USERID') session_user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PROXY_USER') proxy_user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PROXY_USERID') proxy_user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DB_DOMAIN') db_domain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DB_NAME') db_name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HOST') host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OS_USER') os_user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EXTERNAL_NAME') external_name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IP_ADDRESS') ip_address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NETWORK_PROTOCOL') network_protocol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BG_JOB_ID') bg_job_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FG_JOB_ID') fg_job_id FROM DUAL;
SELECT SYS_CONTEXT('USERENV','AUTHENTICATION_TYPE') FROM DUAL;


출처 : http://develop.sunshiny.co.kr/681


반응형
반응형

SELECT b.username "Oracle User", a.spid "Unix PID", b.SID "Oracle Sid",

       b.serial# "Oracle Serial", b.osuser "OS User", b.machine "Computer",

       b.program "Program",

       TO_CHAR (logon_time, 'HH24:MI:SS,yyyy/mm/dd') "Login Time",

       b.action "Session Action", c.action "SQL Action", lockwait "LockWait",

       status "Status", optimizer_cost "Optimizer_cost",

       c.sql_text "SQL Text"

  FROM v$process a, v$session b, v$sql c

 WHERE

       --spid=&PID and

       a.addr = b.paddr

   AND b.sql_address = c.address

   AND b.sql_hash_value = c.hash_value;


-----------------

SELECT b.username "Oracle User", b.SID "Oracle Sid",

       b.serial# "Oracle Serial", b.osuser "OS User", b.machine "Computer",

       b.program "Program",

       TO_CHAR (logon_time, 'HH24:MI:SS,yyyy/mm/dd') "Login Time",

       b.action "Session Action", c.action "SQL Action", lockwait "LockWait",

       status "Status", optimizer_cost "Optimizer_cost",

       c.sql_text "SQL Text"

  FROM v$session b, v$sql c

 WHERE b.sql_address = c.address AND b.sql_hash_value = c.hash_value;



 ----------------


 SELECT BS.USERNAME "Blocking User",

 

BS.USERNAME "DB User",

 

WS.USERNAME "Waiting User",

 

BS.SID "SID",

 

WS.SID "WSID",

 

BS.SERIAL# "Serial#",

 

BS.SQL_ADDRESS "address",

 

BS.SQL_HASH_VALUE "Sql hash",

 

BS.PROGRAM "Blocking App",

 

WS.PROGRAM "Waiting App",

 

BS.MACHINE "Blocking Machine",

 

WS.MACHINE "Waiting Machine",

 

BS.OSUSER "Blocking OS User",

 

WS.OSUSER "Waiting OS User",

 

BS.SERIAL# "Serial#",

 

WS.SERIAL# "WSerial#",

 

DECODE(WK.TYPE,'MR','Media Recovery',

 

'RT','Redo Thread',

 

'UN','USER Name',

 

'TX','Transaction',

 

'TM','DML',

 

'UL','PL/SQL USER LOCK',

 

'DX','Distributed Xaction',

 

'CF','Control FILE',

 

'IS','Instance State',

 

'FS','FILE SET',

 

'IR','Instance Recovery',

 

'ST','Disk SPACE Transaction',

 

'TS','Temp Segment',

 

'IV','Library Cache Invalidation',

 

'LS','LOG START OR Switch',

 

'RW','ROW Wait',

 

'SQ','Sequence Number',

 

'TE','Extend TABLE',

 

'TT','Temp TABLE',

 

WK.TYPE) LOCK_TYPE,

 

DECODE(HK.LMODE,0,'None',

 

1,'NULL',

 

2,'ROW-S (SS)',

 

3,'ROW-X (SX)',

 

4,'SHARE',

 

5,'S/ROW-X (SSX)',

 

6,'EXCLUSIVE',

 

TO_CHAR(HK.LMODE)) MODE_HELD,

 

DECODE(WK.REQUEST,0,'None',

 

1,'NULL',

 

2,'ROW-S (SS)',

 

3,'ROW-X (SX)',

 

4,'SHARE',

 

5,'S/ROW-X (SSX)',

 

6,'EXCLUSIVE',

 

TO_CHAR(WK.REQUEST)) MODE_REQUESTED,

 

TO_CHAR(HK.ID1) LOCK_ID1,

 

TO_CHAR(HK.ID2) LOCK_ID2,

 

DECODE(HK.BLOCK,0,'NOT Blocking', /* Not blocking any other processes */

 

1,'Blocking', /* This lock blocks other processes */

 

2,'Global', /* This lock is global, so we can't tell */

 

TO_CHAR(HK.BLOCK)) BLOCKING_OTHERS

 

FROM V$LOCK HK,

 

V$SESSION BS,

 

V$LOCK WK,

 

V$SESSION WS

 

WHERE HK.BLOCK = 1

 

AND HK.LMODE != 0

 

AND HK.LMODE != 1

 

AND WK.REQUEST != 0

 

AND WK.TYPE (+) = HK.TYPE

 

AND WK.ID1 (+) = HK.ID1

 

AND WK.ID2 (+) = HK.ID2

 

AND HK.SID = BS.SID (+)

 

AND WK.SID = WS.SID (+)

 

AND (BS.USERNAME IS NOT NULL)

 

AND (BS.USERNAME <> 'SYSTEM')

 

AND (BS.USERNAME <> 'SYS')

 

ORDER BY 1;




------------



SELECT c.owner, c.object_name, c.object_type,

       fu.user_name locking_fnd_user_name,

       fl.start_time locking_fnd_user_login_time, vs.module, vs.machine,

       vs.osuser, vlocked.oracle_username, vs.SID, vp.pid,

       vp.spid AS os_process, vs.serial#, vs.status, vs.saddr, vs.audsid,

       vs.process

  FROM fnd_logins fl,

       fnd_user fu,

       v$locked_object vlocked,

       v$process vp,

       v$session vs,

       dba_objects c

 WHERE vs.SID = vlocked.session_id

   AND vlocked.object_id = c.object_id

   AND vs.paddr = vp.addr

   AND vp.spid = fl.process_spid(+)

   AND vp.pid = fl.pid(+)

   AND fl.user_id = fu.user_id(+)

   AND c.object_name LIKE '%' || UPPER ('&tab_name_leaveblank4all') || '%'

   AND NVL (vs.status, 'XX') != 'KILLED'; --<-change it 

반응형
반응형

http://www.ex-em.com/web/research/research_pub.php

출처: http://exem.tistory.com/891 [엑셈 이야기]

출처: http://exem.tistory.com/891 [엑셈 이야기]



SQL튜닝의 시작 사용_SQL.zip


반응형
반응형

 

XRDP란 오픈소스인 Remote Desktop Protocol Server를 말합니다.

 

즉, 윈도우즈 머신로부터 당신의 리눅스 서버까지 RDP를 통해 접속가능합니다.

=> MSTSC를 통한 접속이 가능합니다.

 

 

CENTOS 7로 XRDP를 통한 접속을 위한 설치 방식을 설명합니다.

 

사전 준비 :

 

1. 사전에 CENTOS 7에 GNOME를 설치하세요

 

(관련 URL : http://www.itzgeek.com/how-tos/linux/centos-how-tos/install-gnome-gui-on-centos-7-rhel-7.html)

 

 

설정:

 

1. 저장소를 신규로 설정합니다.

 

# vi /etc/yum.repos.d/xrdp.repo 

 

위의 파일 안에 다음의 내용을 입력합니다.

[xrdp]
name=xrdp
baseurl=http://li.nux.ro/download/nux/dextop/el7/x86_64/
enabled=1
gpgcheck=0 

 

 

설치:

1. 다음의 명령을 실행하여 위의 선언한 xrdp 저장소로부터 읽어들여 설치합니다.

 

# yum -y install xrdp tigervnc-server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오면서 새로 생성된 저장소로 부터 패키지를 가지고 오고 있는지 확인하십시오

 

 --> Running transaction check
---> Package xrdp.x86_64 0:0.6.1-2.el7.nux will be installed
--> Finished Dependency Resolution
 
Dependencies Resolved
 
================================================================================
Package        Arch             Version                   Repository      Size
================================================================================
Installing:
xrdp           x86_64           0.6.1-2.el7.nux           xrdp           271 k
 
Transaction Summary
================================================================================
Install  1 Package
 
Total download size: 271 k
Installed size: 1.5 M
Is this ok [y/d/N]
Downloading packages:
xrdp-0.6.1-2.el7.nux.x86_64.rpm                            | 271 kB   00:05
Running transaction check
Running transaction test
Transaction test succeeded
Running transaction
Installing : xrdp-0.6.1-2.el7.nux.x86_64                                  1/1
Verifying  : xrdp-0.6.1-2.el7.nux.x86_64                                  1/1
 
Installed:
xrdp.x86_64 0:0.6.1-2.el7.nux

 

 

설치가 완료되면 XRDP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systemctl start xrdp.service 

 

 

xrdp는 기본 3389 포트를 사용합니다.

※ 만약 변경하고자 할때는 /etc/xrdp/xrdp.ini의 port의 값을 변경하면 됩니다.

 

서비스가 동작중인지 확인합니다.(아래는 3389로 동작하고 있음)

 

 # netstat -antup | grep xrdp
tcp 0 0 0.0.0.0:3389 0.0.0.0:* LISTEN 1508 / xrdp
tcp 0 0 127.0.0.1:3350 0.0.0.0:* LISTEN 1507 / xrdp-sesman

 

CENTOS 7에서는 기본적으로 재부팅후에 자동으로 서비스가 시작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명령을 통해 자동 시작기능을 설정합니다.

# systemctl enable xrdp.service 

 

외부 기기에서 rdp 연결을 허용하는 iptables 규칙을 작성하는 것입니다. (tcp 3389 포트를 예외로 설정함)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3389/tcp
# firewall-cmd --reload 

 

SELinux 구성

# chcon --type=bin_t /usr/sbin/xrdp
# chcon --type=bin_t /usr/sbin/xrdp-sesman 

 

 

테스트 :

 

아래와 같이 mstsc를 통한 대상 서버 접속을 합니다.

 

CentOS 7 - xrdp MSTSC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root 또는 시스템에있는 사용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esman-Xvnc"모듈을 사용해야합니다.

 

CentOS 7 - xrdp 로그인 페이지

 

확인을 클릭하면 처리가 표시됩니다. 30 분 안에 데스크 탑을 연결을 얻게 됩니다.

 

CentOS 7 - xrdp 데스크탑

 

 

 

 

출처 : http://www.itzgeek.com/how-tos/linux/centos-how-tos/install-xrdp-on-centos-7-rhel-7.html

반응형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SAMBA 설정  (1) 2019.09.05
vi 색상 표기  (0) 2019.05.08
리눅스 백업 및 복구  (0) 2013.01.25
삼성 컴퓨터 유분투 설치기.  (0) 2012.02.06
rkhunter (리눅스 침입 탐지 사용하기)  (1) 2010.10.14
반응형

DAMO.SECURE_COLUMN_INFO


테이블의 KEY 값이 동일해야 동일한 데이터가 조회된다.


발생하는 에러

ORA-20900 : (테이블명.컬럼명) 복호화 도중에 에러가 발생하였습니다.

ORA-06512 : "DAMO.SECURE_ACCESS", 줄 4498에서

ORA-06512 : "DAMO.SECURE_EXTCALL", 줄 443에서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DB 접근 툴  (0) 2019.08.19
무료 ERD 툴 ERMASTER  (0) 2019.08.08
Sybase IQ Administrator 사용 Script  (0) 2012.10.18
JNDI Log4SQL 적용 예...  (0) 2011.04.21
SQL LITE 사용 프로그램  (0) 2010.04.14
반응형


:PNT


echo "test print"


rem 백그라운드로 putty의 60 인 저장된 세션 실행

start /b putty -load 60

start /b putty -load 61


rem 600초 대기

timeout /t 600


rem 프로세스 강제 종료

taskkill /F /IM putty.exe


cls

goto PNT


반응형
반응형


ORA-27086: unable to lock file - already in use

In Alert log :

Thu Feb 14 09:34:57 EST 2013
Errors in file /u01/app/oracle/admin/rdmetdev/udump/rdmetdev_ora_6321.trc:
ORA-27050: function called with invalid FIB/IOV structure
Additional information: 2
ORA-27086: unable to lock file - already in use
Linux-x86_64 Error: 37: No locks available
Additional information: 10

usually this problem occurred because NFS is Hanged,and can check OS logs to find "statd: server localhost not responding, timed out".

1- Check rpc.stat is working and you can restart again , and you have to Restart NFS Services also 

Stop : 

# service nfslock stop
# service nfs stop
# service portmap stop
# umount /proc/fs/nfsd
 Start :
# service portmap start
# service nfs start
# service nfslock start
# mount -t nfsd nfsd /proc/fs/nfsd

Please follow the order, also note that when you restart the NFS service the server could hang at most for 1 minute.

Finally you should Reboot your server.


Thank you
Osama Mustafa


출처 : http://osamamustafa.blogspot.kr/2013/02/ora-27086-unable-to-lock-file-already.htm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