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상 : 로컬에서
sqlplus tiger/scott  정상적으로 접속되나
sqlplus tiger/scott@orcl 으로 접속하면 안되는 현상 발생...

이유는 SID가 대소문자를 가리기 때문 !

확인 파일(check file)
로그인 파일 : .profile (ORACLE_SID 변수값)
리스터 파일 : listener.ora (SID 변수값)

[hiway:/home/user] sqlplus test8/test8

SQL*Plus: Release 9.2.0.4.0 - Production on Wed Jul 6 16:13:27 2005

Copyright (c) 1982, 2002, Oracle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ERROR:
ORA-01034: ORACLE not available
ORA-27101: shared memory realm does not exist
Linux Error: 2: No such file or directory

답변 : >>>>>>>>> tnsname.ora 에 SID 에 대소문자 구분을 확인해서
환경변수와 똑같이 설정해야한다
.....
export ORACLE_SID=ORA9
.....


출처 : http://myweb.bcpark.net/~hosuck/gnu3/?doc=bbs/gnuboard.php&bo_table=PG_ORACLE&page=8&wr_id=6
반응형
반응형


아래의 글 참고

How to install/start/restart the X11 server under AIX

기본적으로

lssrc -s dtsrc 명령(root로 실행)을 실행 했을 때 actvie 상태여야만 한다.

1. hosts 파일 세팅
   서버 PC의 /etc/hosts 파일에 접속할 IP정보를 추가한다.
   예) 접속할 IP : 100.1.1.10 
   100.1.1.10       client_pc
  

2. ping TEST 수행
   #> ping client_pc 했을 때 정상적으로 조회된다면 문제가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이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함...
       즉 실제로는 100.1.1.10 IP가 조회되어야 하나 이상한 IP로 조회되는 경우가 있음.
        문제는 DNS 정보를 서버의 hosts 파일보다 먼저 찾기 때문에 발생
        아래와 같이 수정 가능
       /etc/netsvc.conf 파일을 수정
       제일 아래줄에 
       hosts=local,bind 로 추가
반응형
반응형

하앍...

시리얼루...





반응형
반응형

드로잉을 강의하는 분... 좋다 -_-;



http://blog.naver.com/worldfdsj/50079966509
반응형

'유용한 링크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QR 코드 생성 사이트  (0) 2020.02.07
공인인증서 관련 개발사이트  (0) 2011.09.01
해킹 관련 랭킹 사이트  (0) 2011.08.23
할인 쿠폰 사이트  (0) 2010.08.27
반응형

Now, this one was pretty frustrating, especially with a DBA demanding X11 access to an AIX server so that he could install on it...

Here is how to do it:

1. Check that the X11 server is installed

This can be done with the following command:

# lslpp -l | grep -i X11.Dt

If X11 is installed on an AIX machine, the above command should return (more or less):

andre@galactus$ lslpp -l | grep -i x11.dt
  X11.Dt.ToolTalk           5.3.0.60  COMMITTED     AIX CDE ToolTalk Support
  X11.Dt.bitmaps             5.3.0.0  COMMITTED     AIX CDE Bitmaps
  X11.Dt.helpmin             5.3.0.0  COMMITTED     AIX CDE Minimum Help Files
  X11.Dt.helprun             5.3.0.0  COMMITTED     AIX CDE Runtime Help
  X11.Dt.lib                5.3.0.60  COMMITTED     AIX CDE Runtime Libraries
  X11.Dt.rte                5.3.0.60  COMMITTED     AIX Common Desktop Environment
  X11.Dt.ToolTalk           5.3.0.60  COMMITTED     AIX CDE ToolTalk Support
  X11.Dt.bitmaps             5.3.0.0  COMMITTED     AIX CDE Bitmaps
  X11.Dt.helpmin             5.3.0.0  COMMITTED     AIX CDE Minimum Help Files
  X11.Dt.rte                5.3.0.60  COMMITTED     AIX Common Desktop Environment

If not, you need to install the X11 server. See below.

2. Installing the X11 server on an AIX machine

The X11 packages are on the #2 AIX installation CD, in the /installp/ppc/ directory.

To search for the proper package, once the CD has been installed in the CD-ROM drive of your AIX machine, you can issue the following commands:

# find /cdrom1 -name *dt* /cdrom1/installp/ppc/X11.adt /cdrom1/usr/sys/inst.images/X11.adt

Here, of course, the CD-ROM drive is mounted under /cdrom1.

If we list this directory, here is the content:

# cd /cdrom1/installp/ppc/
# ls
.toc                     X11.help.en_US           csm.gui.dcem_1.6.0.10
Java14.license           X11.loc.en_US            invscout.websm
Java14.sdk               X11.man.en_US            sysmgt.help.en_US
Java5.sdk                X11.motif                sysmgt.help.msg.en_US
X11.Dt                   X11.msg.en_US            sysmgt.msg.en_US.sguide
X11.Dt.other             X11.samples              sysmgt.msg.en_US.websm
X11.adt                  X11.vfb                  sysmgt.sguide
X11.apps                 X11.vsm                  sysmgt.websm
X11.base                 bos.aixpert              sysmgt.websm.diskarray
X11.compat.X11R5         bos.ecc_client           sysmgtlib.framework
X11.compat.other         bos.installers           sysmgtlib.libraries
X11.fnt                  csm.gui.dcem

Now, to install with smitty, type smitty as root, and go to "Software installation > Install software".

Next, select your CD-ROM device, and check the following configuration is correct:

                                Install Software

Type or select values in entry fields.       
Press Enter AFTER making all desired changes.

                                                        [Entry Fields]
* INPUT device / directory for software               /dev/cd1
* SOFTWARE to install                                [+ 5.3.0.60  AIX CDE A> +
  PREVIEW only? (install operation will NOT occur)    no                     +
  COMMIT software updates?                            yes                    +
  SAVE replaced files?                                no                     +
  AUTOMATICALLY install requisite software?           yes                    +
  EXTEND file systems if space needed?                yes                    +
  OVERWRITE same or newer versions?                   no                     +
  VERIFY install and check file sizes?                yes                    +
  Include corresponding LANGUAGE filesets?            yes                    +
  DETAILED output?                                    yes                    +
  Process multiple volumes?                           yes                    +
  ACCEPT new license agreements?                      yes                    + 
  PREVIEW new LICENSE agreements?                     no                     +

F1=Help             F2=Refresh          F3=Cancel           F4=List
F5=Reset            F6=Command          F7=Edit             F8=Image
F9=Shell            F10=Exit            Enter=Do                    

In the SOFTWARE to install, press "F4" (=List) and select all the CDE packages, using the list of packages above as a guide.

Next, press ENTER and the installation should proceed correctly.

3. How to start the X11 server

There are several possibilities here. Please keep in mind that I was trying to have a minimal X11 server, to allow one user to connect. I was not so much interested in correctness...

Two possibilities:

  • Use the dtlogin command as shown below:
# /usr/dt/bin/dtlogin -daemon
  • Use the /etc/rc.dt script as shown below:
# /etc/rc.dt

This script has the advantage of launching a full X11 environment, including a login prompt on the console.

In both cases, you can check the X11 server is running correctly with the following command:

andre@galactus$ ps -fe | grep -i dtlogin | grep -v grep root 94310 1 0 26 sep - 0:00 /usr/dt/bin/dtlogin -daemon root 147544 94310 0 26 sep - 0:00 dtlogin <:0> -daemon

4. Restart X11 in case of a crash or a misbehaving server

Please make sure you go through the entire list. This is a bit tedious, but it works very well, so make sure you go through all the steps and don't try to skip one...

  • Stop all "rc.bootx" processes:
# ps -fe | grep -i rc.bootx # kill -9 <rc.bootx PIDs>

WARNING: If there are ANY "rc.bootx" processes, they MUST be stopped before anything else!

  • Stop all "dtlogin" processes:
# ps -fe | grep -i dtlogin # kill -9 <dtlogin PIDs>

WARNING: Make sure there are no processes attached to the "dtlogin" processes...

  • Delete all temporary files:
cd /var/dt rm Xerrors rm Xpid

Sometimes, it could be interesting to keep a copy of the Xerrors file...

  • Check available space under /var and /tmp:

For instance:

-bash-3.00$ df -g /var /tmp Filesystem GB blocks Free %Used Iused %Iused Mounted on /dev/hd9var 1.02 0.29 72% 556 1% /var /dev/hd3 3.05 2.28 26% 1726 1% /tmp

This space-checking stage is optional, but you never know... :-)

  • Check that the "dtsrc" service is inoperative:

Do this with the following command:

$ lssrc -s dtsrc Subsystem Group PID Status dtsrc inoperative
  • Restart the service with "/etc/rc.dt" :
# /etc/rc.dt
  • Check that the "dtlogin" service is running:
bash-2.05b$ ps -fe | grep -i dtlogin | grep -v grep root 65704 1 0 Sep 09 - 0:00 /usr/dt/bin/dtlogin -daemon root 74118 65704 0 Sep 09 - 0:00 dtlogin <:0> -daemon
  • Check that the service is marked as "active":
bash-2.05b$ lssrc -s dtsrc Subsystem Group PID Status dtsrc active

See Also:


 출처 : http://www.gilandre.net/cgi-bin/wiki.cgi/AIXServerX11

반응형
반응형

#echo $ODMDIR /etc/objrepos에 있어야 함

# odmget -q attribute=route CuAt  <- 여기에 route 정보들을 가진 ODM stanza가 나열됨.

## 아래 예 ##
CuAt:
        name = "inet0"
        attribute = "route"
        value = "net,-hopcount,0,,0,165.244.227.1"
        type = "R"
        generic = "DU"
        rep = "s"
        nls_index = 0

CuAt:
        name = "inet0"
        attribute = "route"
        value = "net,-hopcount,0,,0,165.244.226.1"
        type = "R"
        generic = "DU"
        rep = "s"
        nls_index = 0

해당하는 default gateway를 반드시 확인하고 잘못된 route 정보들을 ODM에서 지우기 위해서는

#  odmget -q attribute=route CuAt  에서 나온 정보 중 value 값을 copy 해서 지웁니다.

value 부분을 쓸때는 따옴표를 주의

#  odmdelete -q "value=net,-hopcount,0,,0,165.244.226.1" -o CuAt

0518-307 odmdelete: 1 objects deleted.


정확히 확인을 위해서 다시 odmget을 통하여 default value 확인

# odmget -q attribute=route CuAt 

CuAt:
        name = "inet0"
        attribute = "route"
        value = "net,-hopcount,0,,0,165.244.227.1"
        type = "R"
        generic = "DU"
        rep = "s"
        nls_index = 0
#

마지막으로 netstat -nr을 통하여 route 정보 확인
여기서는 route delete option을 통하여 삭제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삽질Day 라도 되나? 온통 고난(?)의 연속이다.

비스타 서비스팩1 을 느지막하게 설치를 해봤다.
그런데, 설치도중에 이런 에러를 만나면서 중지. ㅜㅜ

정말 오늘 무슨 날인가?
저 링크를 따라가봤다. http://support.microsoft.com/kb/947366
뭐야 저 많은 해결방법?
해결방법이 많다는 것은 원인도 많다는 것?

# 혹시 얼마전 IE8 깔았는데, 그것과 충돌이 날까?  지우고 다시 시도.
실패.

# 비스타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안한거 있는데, 설치하고 다시 시도.
실패.

# 서비스팩 1 다운로드도 다시 다운받아서 시도.
실패.

# 프로그램 충돌나는거 있나. 띄워져 있는 프로그램 종료하고 다시 시도.
실패.

# 보안프로그램 제거하고 다시 시도.
실패.

# 하드디스크 오류 검사는 안했다.

지쳤다. 정말 지쳤다.

# 시스템 파일 검사기 도구 실행.
cmd (관리자 권한)  ->  sfc /scannow
sfc 라 system file check 의 약자 인가?
검사를 한다.  종료하니 손상된 파일을 복구했다고 한다.

# 그냥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다시 시도.
헐! 되네.  저 문제인가? 아니면 다른 것과 같이 해결?


이렇게 해서 서비스팩1 의 설치를 성공했다.
왜! 이런 고생(?)을 해야 하지?  서비스팩1 -> 너 엄청 좋아져야 한다.

삽질은 그만!

출처 : http://blog.1day1.org/76
반응형
반응형

 

 

이번 강좌는 스캔한 사진을 최대한 원본 사진처럼 보정하기 인데요...
보통 스캔을 하면 화질이 떨어지고 노이즈 현상이 마니 생기는데요...
스캔한 사진을 최대한 원본사진 이미지로 복구 시키고 보정하는 강좌를 하겠습니다...
조금 시간이 많이 필요 하고 노가다 작업이긴 하지만 알아두면 유용합니다^^
첨부파일에 샘플사진 추가 시켜 놨습니다...

 

 

-------------------------------------------------------------------------------------------------------------------

 

1.우선 리하나 사진을 불러오셔서...
Image>>Adjustments>>Auto Levels을 한번 줍니다...

 

 

2.Ctrl+J를 눌러 카피레이어 만들어주시고요,
Filter>>Blur>>Gaussian Blur를 4정도 줍니다...

 

 

3.지우개툴을 이용해서 배경빼구 나머지부분을 지워 줍니다.

 

 

4.백그라운드를 선택하고 "Blur"툴로 피부와 발판등등 노이즈가 보이는 부분을 문질러 자연스럽게 만들어 줍니다...
옷은 노이즈 효과가 잘안보여서 안해주셔도 됩니다...
여기서 주의 할점은 부러쉬 크기 선택을 잘하셔서 경계선은 최대한 살려서 뭉개지지 않게 해주는 것입니다...

 

 

5.Ctrl+E를 눌러 한장으로 만들어 주시고요,
새레이어 하나 만들어 주시고 힐링브러쉬나 스포이드로 배경부분을 색을 찍어 브러쉬로 더 디테일하게 잡티들을 지워 줍니다...

 

 

6.Ctrl+E를 눌러 한장으로 만들어 주시고요,
"Sharpen"툴로 경계선이 더 선명해 보이도록 살짝 살짝 문질러 줍니다...

 

 

7.이번에는 하이라이트를 줄건데요...
펜툴로 하이라이트 들어 갈부분을 따주시고 영역을 선택하시고 새레이어를 만들어서 부러쉬로 살짝 칠해줍니다...
경계선이 더 선면해 졋죠?

 

 

8.위와 같은 방법으로 이번에는 어두색깔로 경계선을 칠해주세요..

 

 

9.새레이어 추가해주시고요,
옆에 글자는 같은색으로 칠해서 지워주시고요, 그림자선도 선명하게 칠해주세요...

 

                                                                         http://cafe.naver.com/pstutorial 

 출처 : http://cafe.naver.com/pstutoria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86081

 

 

 

반응형
반응형

그라데이션 효과 활용해보는 강의구요.  초급 수준 의 강의 입니다.

( 사실 너무 쉬워서 민망하기까지;;;;;ㅠㅠㅠㅠㅠ )

이해가 안가시는 부분이나 잘 모르겠다는 점은 덧글로 질문해주세요 

저와 똑같은 이미지로 따라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원본은 첨부파일로 첨부해두었습니다.

 

덧글다는 사람 예쁜 사람 퍼갈때는 스크랩을 이용해주세요

 

 

 

 <원본과 완성작 >

 

 
 

 

 <완성작. 오른쪽은 이미지를 다른걸로 해봤어요~ >

 
 


 

 

< 응용작;;;; > (이걸 응용작이라고;;;ㅠㅠㅠㅠㅠㅠㅠㅠ)

 

 

     http://cafe.naver.com/pstutorial  

덧글다는 사람 예쁜 사람 퍼갈때는 스크랩을 이용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빛, 채도 - 이미지 보정 

 

* 제목을 '빛, 채도...'라고 붙였지만, 사실 적당한 것이 생각이 안나서구요. 아마도 읽다보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시리라 믿습니다.

 

** 아래에서 사용한 Blend If 옵션은 '구름을 통과하는 번개(http://cafe.naver.com/pstutorial/4310 )' 편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니, 그 원리나 더 자세한 사용법을 알고 싶으신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Layer Style(http://cafe.naver.com/pstutorial/12056 )'편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네요.

 

*** 이미지 내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할 때, 대게 Magic Wand Tool(마술봉 도구)을 사용하거나, 또는 Channel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Color Range' 명령은 두 가지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각기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최선이겠지만, 제 개인적으론 다른 두 방법에 비해 보다 정밀하고 사용자의 의도대로 선택이 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 여러 옵션을 조정할 때 예제에서 사용한 수치에 너무 연연하지 마시구요, 이미지에 따라서 또는 의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사용해 주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Step 1. File > Open 명령을 이용하여 'chamnamu_02.jpg'파일을 연다

 

  Tip: 'chamnamu_02.jpg'파일은 상단 우측 링크를 클릭하시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타 적절한 이미지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Step 2. Select > Color Range 명령을 클릭하여 Color Range 창을 연 다음 다음의 순서대로 선택을 한다.

  1. 'Select' 옵션에서 'Sampled Colors'를 선택한다.
  2. 'Eyedropper Tool'이 맨 왼쪽의 것이 선택되어 있음을 확인한 다음, 이미지 내에서 가장 밝은 부분을 클릭한다.
  3. 'Fuzziness' 옵션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Tip: Color Range 명령은 선택도구중 하나입니다. 언뜻 보면, Magic Wand Tool과 비슷해 보이지만, Color Range Tool은 그 단계(255)에 따른 선택이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Channels를 이용하는 것보다도 보다 세밀하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Select 옵션은 Channel 별, 또는 명도별 옵션으로 나뉘어져 있어, 보다 세밀한 선택이 가능하며, 이중 Sampled Colors 옵션은 이미지 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Fuzziness 옵션은 그 수치를 입력(0~200)하거나, 조절점을 조정하여 선택영역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 미리보기 아래쪽의 Selection, Image 옵션은 선택영역을 보거나, 또는 원본 이미지를 보거나 할 수 있습니다.
  • 맨 아래쪽의 Selection Preview 옵션은 미리보기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읍니다.
  • 오른쪽 아래의 스포이드 모양의 도구는 'Sampled Colors' 옵션을 사용할 때, 이미지 내에서 원하는 부분을 선택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맨 왼쪽의 것은 기본선택, 두번째는 현재 영역에서 선택영역을 더할 때, 세번째는 선택영역을 제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ep 3. 아래 그림처럼 선택이 되었음을 확인한 후 Layer > New > Layer via Copy(단축키 Ctrl + J) 명령을 사용하여 선택영역을 새 Layer로 복사한다.

 

  Tip: Layer via Copy 명령은 선택영역을 복사하여 새로운 Layer로 만들어 주는 명령입니다. Layer via Cut 명령을 사용하면 기존의 Layer에서 선택영역을 잘라내어 새로운 Layer로 만들어 줍니다.

 

 

 

 

 

 

 

 

Step 4. Image > Adjustments > Curves(단축키 Ctrl + M) 명령을 사용한 다음 아래의 그림을 참고로 적당히 조절한다.

 

  Tip: Curves 명령은 이전에도 여러번 소개해 드렸습니다. Levels 명령과 그 원리는 같지만 보다 정밀한 조절이 가능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Curves편(http://cafe.naver.com/pstutorial/11576)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경우 하이라이트 부분의 밝기가 약하다고 판단이 되어 좀더 밝게 조절을 하였습니다.

 

 

 

 

 

 

 

Step 5. Filter > Blur > Gaussian Blur 명령을 사용한 다음 아래의 그림을 참고로 적당히 조절한다.

 

  Tip: 이런 종류의 효과는 많이 보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효과의 적절한 이름은 떠오르지 않습니다만, 좀더 은은하거나, 신비로운 또는 환상적인 표현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기법이죠. 여러분들이 주로 표현하시는 '뽀샤시' 효과와도 비슷한 부분이 있다고도 볼 수 있겠네요. 

 

 

 

 

 

 

 

 

 

 

Step 6. Layer > Layer Style > Bleding Option 명령을 사용한 다음, 아래 그림을 참고로 Blend If 옵션을 조절한다.

 

  Tip: Layer Style 옵션은 해당 Layer의 이름 옆 빈 공간을 더블 클릭해도 열 수 있습니다. Blend If 옵션은 선택된 Layer와 아래쪽 Layer의 합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하는데 사용이 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구름을 통과하는 번개(http://cafe.naver.com/pstutorial/4310) 편에서 설명하고 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tep 7. 키보드 Alt키를 누른채로 아래 그림을 참고하여 조절한다.

 

  Tip: Blend If 조절점은 두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마우스로 드래그 하게 되면, 같이 움직이지만, Alt키를 누른 채로 조절하면 따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좀더 자연스러운 효과를 주기 위한 방법입니다.

 

 

 

 

 

 

 

Step 8. Adjustment Layer중 Hue/Saturation 명령을 사용한다.

 

  Tip: Adjustment Layer 명령은 이전에도 여러번 설명을 드렸죠. 별도의 Layer로 생성이 되기때문에 언제든지 재조정이 가능하며, 자체로도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전 강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tep 9. 아래의 그림을 참고로 조절한다.

 

  Tip: Hue/Saturation 명령은 색의 3속성을 조절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이미지 보정-Adjustment Layer 활용 (http://cafe.naver.com/pstutorial/23618 )' 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tep 9. 아래의 그림을 참고로 Blending Mode를 'Saturation'으로 변경한다.

 

  Tip: 이미지의 채도(Saturation)을 변경하면 채도뿐만 아니라, 기타 속성(색, 명도 등)까지 변하게 됩니다. 때문에 이미지가 뜨는 듯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Bleding Mode 중 Saturation은 선택된 Layer의 채도를 사용하고 나머지 속성은 아래쪽 Layer를 사용하게 됩니다. 중요한 Tip이니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원본과 최종본의 비교>

 

 

 

 

 

http://cafe.naver.com/pstutorial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