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무료 레지스트리 정리 프로그램

CCleaner 프로그램

아래 다운로드 정보

http://chjung77.tistory.com/trackback/1589
반응형
반응형

★[ㄱ]
가든 : 가볍고 단출하다 의 뜻인 가든하다 에서 뿌리(어근)를 따온 이름.
가람 : 강 의 옛말로, 영원히 흘러가는 업적을 남기는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
가람슬기 : 강(가람: 옛말)처럼 푸르게, 그리고 슬기롭게.
가람휘 : 휘(곡식을 되는 그릇의 한 가지로 20말, 혹은 15말 들어가 있다)에 강(가람: 옛말)물을 가득 채울 수있을 만큼 큰 그릇이 되라고.
가림 : (좋은 것을) 가리다 의 이름씨꼴(명사형)을 따서 지은 이름.
가온 : 세상의 중심이 되라는 뜻으로, 가운데 의 옛말 가온대에서 따서 지은 이름.
가온길 :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가온대: 옛말) 길로 살아가라고 지은 이름.
가온누리 : 무슨 일이든 세상(누리: 옛말)의 중심(가온대: 옛말)이 되어라.
가온들찬빛 : 들 한가운데(가온대: 옛말)에 빛이 가득 찬.
가온뫼 : 가운데의 옛말 가온대의 가온 과 산 의 옛말 뫼를 합친 말로, 산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산의 뜻을 담은 이름.
가온해 : 가운데(가온대: 옛말) 해, 곧 세상의 제일이라는 뜻.
가이 : 반 씨 성과 어울려 반갑다는 뜻.
가자 : 높은 이상을 향해 가자는 뜻에서.
가장 : 어는 것보다 뛰어나라는 뜻에서 어찌씨(부사) 가장 을 그냥 따옴.
갈 : 가을 을 줄여 지은 이름.
거늘 : 출세하라는 뜻에서 거느리다 를 줄임.
거울 : 세상의 본보기가 되라는 뜻에서 물체를 되비쳐 주는 거울을 그대로 따옴.
겨라 : 의지적 인간이 되도록 이 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겨레 : 민족
겨루 : 지지 말고 살라는 뜻으로 겨루다 에서 따옴.
겨슬 : 겨울 같은 어려움도 꿋꿋하게 이겨 나가라고 겨울의 옛말 겨슬을 그대로 따옴.
그리 : ①그네 의 옛말을 그대로 따서 지은 이름. ②그리다 에서 따옴.
그린나래 : 그린 듯이 아름다운 날개(나래: 방언).
글고운 : 고운 글처럼 살라고.
글길 : 글로써 삶의 길을 살아가라고.
기쁨해 : 남에게 기쁨을 주는 해처럼 살라는 뜻에서.
길 : ① 잘 살 수 있도록 인생의 앞길을 잘 닦으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② 길이 없는 곳에 길을 만드는 사람이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길가온 : 길 가운데(가온대: 옛말).
꽃가람 : 꽃이 있는 강(가람: 옛말).
꽃내 : 꽃의 내음(향기).
꽃내음 : 꽃의 냄새.
꽃채운 : 꽃으로 가득 채운.
꽃초롱 : 꽃같이 생긴 초롱.
꽃큰 : 꽃처럼 예쁜게 크라는 뜻.

★[ㄴ]
나길 : 나(자신)의 길을 꿋꿋이 걸어가라는 뜻.
나나 : 그냥 부드러운 소리를 그대로 따옴.
나라빛 : 빛나라.
나라우람 : 우람하고 씩씩하게 자라나라.
나라찬 : 참된 마음이 가득 찬 사람으로 자라나라.
나래 : 날개(나래: 방언)가 상징하는 것처럼 자유롭고 창조적인 사람이 되어라.
나래울 : 나래(날개: 방언)가 날아오른 꽃 울타리 를 줄여 다듬음.
나려 : 늘 좋은 일이 하늘에서 내려오길 바라는 마음에서 경기도 방언 나려오다 에서 따온 이름.
나로 : 나로 하여금 이란 말에서 따온 말.
나루해오름 : 강나루에 해가 떠오름.
나봄 : 봄에 태어나다.
나빛 : 빛처럼 밝고 환한 아이가 태어나다.
나샘 : 샘처럼 맑고 깨끗한 아이가 태어나다.
나슬 : 남들보다 더 나을 훌륭한 일을 하라는 뜻에서 나을 의 방언을 삼은 이름.
나예 : 나비처럼 예쁘게 를 줄여 다듬음.
나오 : 안에서 밖으로 나오다 의 나오다 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난길 : 밝고 환한, 앞날을 향해 난 길.
난새 : 한껏 날아오른 새.
난슬 : 빼어난 슬기 를 줄여 다듬은 이름.
날샘 : 언젠가 힘차게 솟아날 샘.
날애 : 날개의 방언 나래를 바꾸어 적은 이름.
남 : 나무처럼. 남은 나무의 제주도 방언.
남은 : 늘 넉넉한(남은) 삶을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내길 : 시냇가로 나 있는 길, 또는 나의 길.
내꽃 : 시냇가에 피어 있는 꽃.
내담 : 힘차게 나아가라는 뜻에서 내닫다 의 이름씨꼴(명사형) 내달음을 줄여 다듬음.
노아 : 놓아가다(배가 빨리 가다) 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노아가다에서 따온 이름.
노을 : 노을처럼 예쁘게 자라라고.
누리보듬 : 세상의 옛말 누리 와 보듬다 의 보듬 을 합쳐 지은 이름으로, 온 세상을 한껏 보듬고 살아가거라라는 뜻을 지닌 말.
누리봄 : 세상(누리: 옛말)을 봄처럼 늘 희망 있게 가꾸라고.
누리알찬 : 세상(누리: 옛말)을 알차게 만드는 사람이 되라고.
누림 : 인생의 참된 즐거움을 모두 누림.
눈꽃 : 눈 속에서도 피어나는 꽃.
눈솔 : 눈이 쌓인 소나마(솔).
뉘 : 뉘 는 평생, 세상 의 옛말.
늘다 : 자라날수록 슬기, 지식 따위가 점점 늘어나라고.
늘봄 : 언제나 봄처럼 활기차고 새롭게 살아가라.
늘빈 : 언제나 빈 마음으로 욕심 없이 살아가라.
늘솔길 :언제나 솔바람이 부는 길.
늘솜 : 언제나 솜씨가 좋다.
늘예솔 :언제나 이쁘고 소나무(솔)와 같은 변함이 없다.
늘찬 : 언제나 옹골찬. top

★[ㄷ]
다가 : 어렵고 험한 일은 모두 다 가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다빈 : 빈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다.
다스리 : 다스리다 의 줄기(어간)를 그대로 삼은 이름.
다슬 : ①모든 일을 다 슬기롭게 헤쳐나갈. ②다스릴 을 줄여 다듬음. ③다사롭다 의 슬겁다 에서 첫 소리마디(음절)을 따옴.
다온 : 좋은 모든 일들이 다 오는.
다올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 올.
다옴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 옴.
다와 : 하는 일마다 모두(다) (복이)와. 특히 정씨 성과 잘 어울리는 이름으로, 정다와.
다은 : 다사롭고 은은한 을 줄여 다듬음.
다이 : 정다이, 즉 정답게. 다이 는 -답게 의 옛말.
다참 : 다 가득 참. 다 진실(참).
다한 : 모든 일에 최선을 다하는.
다흰 : 모두 하얀.
다힘 : 있는 힘을 다하다.
도담 : 건강하게 자라나라는 뜻에서 어린애가 탈 없이 잘 자라는 모양 을 나타내는 도담도담 에서 따온 이름.
도도 : 돋우다 의 옛말 도도다 에서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도란 : 나직한 목소리로 정겹게 의 뜻을 지닌 도란도란 에서 따온 말.
도래 오래오래 잘 살라는 뜻에서 오래오래 의 다른 말인 도래 도래에서 따온 이름.
도손 : 오손도손(→오순도순) 에서 뒷말을 따온 이름.
도움 : 어려울 때 도움이 되는.
동이 : 딸 그만 낳아라 라는 뜻으로 한동이 났다 에서 따온 이름. 동은 : 윷놀이에서 말이 첫 밭에서 끝 밭을 거쳐 나가는 한 차례.
두나 : 둘째로 얻은 아이라는 뜻에서 둘 의 경상남도 방언 두나를 그대로 따온 이름.
두동 : 앞뒤가 엇갈리거나 어긋나다 라는 두둥지다 에서 따온 이름.모순된 삶을 살지 않겠다는 반어적 이름.
두루 : 들처럼 넓고 탁 트인 마음을 가지라고. 두루는 들의 방언. 두루두루 에서 따온이름.
두메꽃 : 깊은 산골에 피어 있는 꽃.
두바다찬솔 : 바다처럼 넓은 마음을 지닌 옹골차고 소나무(솔)처럼 꿋꿋한 아이를 두다.
두빛나래 : 두 개의 빛나는 날개(나래: 방언).
두온 : 두 번째로 온.
두힘 : 힘있는 아이를 두다.
드리 : 드리다 에서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든솔 : 든든함이 든 굳세고 야무진 소나무(솔)처럼 살라고.
든해 : 집안으로 가득 든 햇빛.
든해솔 : 가득히 든 해와 소나무(솔)처럼.
들샘 : 들에서 솟는 샘.
들찬 : 들판 가득 찬.
들찬길 : 들판으로 박차고 나아가는 길. top

★[ㄹ]
라 : 해라, 이겨라 들에서 맺음씨꼴(종결어미)을 따온 이름.
라라 : 흥겨울 때 읊조리는 소리.
라미 : 동그라미 에서 따온 이름.
라별 : 빛나라 별들아 에서 특정 소리마디(음절)를 따서 지은 이름.
라와 : 비교를 나타내는 어찌자리 토씨(부사격조사) 보다 의 옛말.
란새 : 노란새 에서 따온 이름으로 노 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렁찬 : 우 씨 성과 어울려 남자답게 우렁차게, 힘차게.
로다 : 기다리던 아이가 바로 너로다 라는 뜻으로 너로다 에서 따온 이름.
로와 : 슬기로와, 이로와 등에서 따온 이름.
로운 : 슬기로운, 이로운 에서 따온 이름.
로지 : 오 씨 성과 어울려 지어 오로지 , 즉 한 곬로.
루다 : 이 씨 성과 어울려 지어 이루다 , 즉 뜻하는 것이 그대로 되게 하다.
루라 : 뜻한 바를 잘 이루라고 이 시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루리 : 이 씨 성과 어울려 지어 이루리 , 즉 뜻을 펴리.
리네 : 우리네 조상, 우리네 정, 우리네 나라 들의 우리네 에서 따온 이름.
리라 : 하리라, 이리라 들의 씨끝(어미)에서 따온 이름. 특히 이 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
리리 : 소리가 좋다고 생각되는 소리마디(음절)들을 모아 지은 이름. top

★[ㅁ]
마디 : 이 편을 맺고 저 편은 시작하는 마디 같은 사람이 되어라.
마루 : 산의 꼭대기.
마루나 : 꼭대기, 즉 훌륭한 인물이 될 아이를 낳아. 마루에서 태어났다하여 마루+나다 를 줄여 다듬은 말.
마루한 : 으뜸(마루)가는 큰(한) 사람이 되라고.
마리 : 머리, 즉 우두머리. 으뜸가는 사람. 마리는 머리 의 옛말.
마음 : 언제나 마음을 올바르게 건사하여라.
마음새 : 마음 씀씀이.
말근 : 티없이 정의롭게 살라는 뜻에서 맑은 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말글 : 말과 글처럼 중요한 사람이 되어라. 맑을 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맑은 : 마음씨가 맑고 깨끗한 사람이 되라고.
맑은가람 : 맑은 강(가람: 옛말).
맑은누리 : 깨끗한 세상(누리: 옛말).
매디 : 무슨 일을 하든지 마무리를 분명하게 짓는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매듭 의 강원도, 전라남도,경상도 방언을 따온 이름.
모두가람 : 모두가 강(가람: 옛말) 이라는 뜻.
모두다 : 모두 함께.
모드니 : 모든 것을 가진 사람 이란 뜻으로 모든+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모든 : 여러 가지의, 전부의.
모람 : 가끔 가끔 한데 몰아서 띵나 뜻의 모람모람 에서 따온 이름.
모아 : 늘 뜻을 모라 살는 삶을 살라고.
모은 : 값진 것을 모은 사람.
모이 : 작고도 야무지다 는 뜻의 모이다 에서 줄기(어간)만을 따온 이름.
모해 : 모퉁이를 비쳐 주는 해(햇빛).
무들 : 광주 의 옛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무슬 : 섬돌, 우물, 진터에 쌓은 돌 을 뜻하는 옛말 무를 변형시킨 이름.
무지개 : 비가 갠 뒤 하늘에 생기는 일곱가지 색의 아름다운 띠.
물맑 : 맑은 물처럼 맑고 깨끗한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물보라 : 물결이 부서져 안개처럼 흩어지는 잔 물방울처럼 시원스레 살라고.
미나 : 미덥게 나다 에서 가 말마디(어절)의 첫 소리마다(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미나래 : 믿음성이 있다 의 뜻을 지닌 미쁘다, 미덥다 의 "미" 와 날개 의 방언 "나래" 가 합쳐진 말로, 깊은 믿음을 갖고 세 상을 훨훨 날며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미드미 : 믿음이 강한 사람 이라는 뜻에서 믿음+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미라 : 미덥게 자라라 를 줄여 다듬음.
미리별 : 미리내(은하수)의 별. top

★[ㅂ]
바다 : 바다처럼 넓음 마음을 가지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바로찬글 : 바르고 옹골한 글을 쓰라 는 뜻으로 지음.
바름 : 바르다 의 활용형으로, 올바르게 살라는 뜻.
밝은빛누리예 : 밝은 빛이 환하게 비치는 세상(누리: 옛말)에서 예쁘게 살아가라 는 뜻에서 지은 이름. 여기서 예는 예쁘다 의 뜻 이외에 소리의 아름다움을 살려 짓기도 하였다.
밝음이 : 밝음+이 로 마음이 밝은 사람이 되라 는 뜻.
범한 : 범처럼 씩씩하고 큰 인물로 크라.
벼리 :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를 뜻하는 낱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별 : 밤 하늘의 별같이 빛나는 인물이 되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별글 : 별처럼 아름답고 빛을 내는 글.
별솔 : 별처럼 빛나게 소나무(솔)처럼 푸르게.
별하 : 별같이 높이 빛나는 사람이 되라는 뜻. 하는 대상을 높여서 부를 때 붙이는 토씨(조사).
보나 : 보람이 나타나.
보늬 : 보늬 는 밤처럼 겉껍질이 있는 과일 속의 얇은 껍질로, 이 껍질처럼 여리고 약한 사람들 을 감쌀 수 있는 사람이 되라고 지은 이름.
보단 : 어는 누구보다는 더 나은 삶을 살라고 보다는 을 줄여 지은 이름.
보담 : 어느 누구보다 더 나은 삶을 살라는 뜻에서 보다 의 방언을 따온 이름.
보라나 : 보랏빛으로 피어나.
보람 : 무슨 일이나 보람을 느끼며 살라는 뜻에서 지은 이름.
보르미 : 보름 에 태어난 아이.
보미 : 봄에 태어난 아이. 보람차고 미덥게.
보미나 : 보람차고 미덥게 자라나라.
보슬 : 눈이나 비가 가늘고 성기게 조용히 내리는 모양. 보람과 슬기.
보아라 : 나를 보라.
보예 : 보람차고 예쁘게 자라라는 뜻.
봄나 : 봄에 태어난 아이.
봄시내 : 봄철의 시냇물.
봄해 : 봄철의 태양.
부루 : 한꺼번에 없애 버리지 않고 오래 가도록 늘여서 를 뜻하는 우리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불꾼 : 사냥꾼, 지게꾼 과 같은 형식으로 지은 이름으로, 불을 지피는 사람 의 뜻. 넓게 말하면 쌀쌀하고 찬 기운이 도는 사람들 사이에 따뜻한 불을 지펴 서로의 사랑이 도타워지도록하는 사람 무슨 일이든 뜻하는 일이면 불같은 마음으로 꼭 해내는 사람 의 뜻을 지님.
비사벌 : 전주의 옛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비치 : 빛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또는 비치다 에서 따온 이름.
비치나 : 빛이나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빈길 : 비어 있는 길.
빛글 : 세상 사람들의 빛, 곧 길잡이가 되는 글을 쓰라는 뜻.
빛길 : 빛을 밝혀 세상을 이끄는 길.
빛다 : 빛을 다 모은 듯이 밝고 환한 아이.
빛솔 : 빛처럼 밝게 솔처럼 푸르게.
빛초롱 : 빛나는 초롱, 빛을 내는 초롱. top

★[ㅅ]
새길 :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라는 뜻.
새꽃 : 새로 핀 꽃.
새나 : 새가 나는 것처럼 자유롭고 아름다운.
새난 : 새로 난 의 뜻으로, 늘 새로난 것처럼 신선하다는 뜻.
새누 : 새로운 누리(옛말) 의 줄임말로 새 세상 이라는 뜻.
새늘 : 언제나(늘) 새롭게.
새론 : 늘 새로운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새로운 을 줄여 지은 이름.
새밝 : 새롭게 밝아오는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새솔 : 새로 난 소나무(솔)의 푸르름처럼 살라는 뜻에서.
새얀 : 새롭고 하얀.
세련 : 굳세게 살으련 에서 특정 음절을 따온 이름.
세리 : 큰 뜻을 세우고 살아가리에서 특정 음절을 따온 이름.
세움 : 뜻을 똑바로 자리잡게 함.
세이 : 세 번째 태어난 아이.
세찬 : 힘있고 억센.
소리 : 소리(목소리)를 잘 하는 사람이 되라는 뜻에서 소리 를 삼은 이름.
소미 : 솜과 같이 부드러운 여자가 되라는 뜻에서 솜+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르.링
소아 : 소담스럽고 아름답다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소예 : 소답스럽고 예쁘다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솔관 : 천으로 된 과녁 의 뜻을 지닌 옛말을 그대로 따온 이름.
솔길 : 소나무(솔)가 늘어서 있는 길.
솔빛길 : 네 앞에 펼쳐질 길이 솔빛처럼 희망차거라.
솔잎 : 소나무(솔) 잎과 같은 날카로움과 향기를 지닌.
솔찬 : 소나무(솔)처럼 푸르고 옹골찬.
수련 : 몸가짐과 마음씨가 맑고 곱다는 뜻의 수련하다 에서 따온 이름.
수리 : 하는 일에서 우두머리(꼭대기)가 되라는 뜻에서 독수리 , 정수리 에서 따온 이름.
슬기 : 언제나 슬기로움을 잃지 말라고.
슬아 : 슬기로움과 아름다움을 지니라는 뜻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아라 : 슬기롭고 아름다워라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예 : 슬기롭고 예쁘게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슬옹 : 슬기롭고 옹골차다(실속 있다).
슬우 : 슬기로움고 우람한 씩씩함을 지니라고.
슬찬 : 슬기로움으로 가득 찬.
승아 : 마디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이름을 삼은 이름.
시내 : 시내(시냇물)처럼 시원하고 맑은 삶을 살라고.
시원 : 막힘없이 시원한 성격을 지니라고 시원하다 에서 뿌리(어근)을 따온 이름.

★[ㅇ]
아라 : 조 씨 성과 어울려 좋아의 뜻. 무엇이든 알아 에서 "알아"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아란 : 아름답게 자란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아련나래 : 예쁘고 아름다운(아련: 옛말) 날개(나래: 방언).
아롱별 : 아롱다롱 빛나는 별처럼 아름다우라고.
아름나 : 아름다운 아이를 낳아. 아름다운 나라.
아리솔 : 아리땁고 소나무(솔)처럼 늘 마음이 푸른 사람이 되라고.
아리알찬 : 아리땁고 알찬 사람이 되라고.
안찬 : 속 안치 꽉 찬.
알 : 어디에서나 알맹이와 같은 사람이 되라는 뜻.
알찬마루 : 알찬 꼭대기(마루)처럼 실제 높은 사람이 되라고.
알찬바로 : 알차게 바로 살라고.
알찬해 : 알찬 해처럼 더욱 남을 밝게 해주라고.
얀 : 하씨 성과 어울려 하얗다 의 뜻을 지닌 이름.
얀별 : 하얀별 에서 따온 이름.
얀새 : 하얀새 에서 따온 이름.
얼 : 정신(얼)이 곧은 사람이 되라고.
엄지 : 엄지 손가락 에서 따온 이름.
에가득 : 가슴에 가득 사랑을 지니라고 토씨(조사) 에 에 어찌씨(부사) 가득 를 붙여 지은 이름.
에다 : 안에다 에서 따온 이름.
여름 : 열심히 살아 좋은 결과를 얻으라고 열매 를 뜻하는 옛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영글 : 영글다 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예님 : 예쁘고 고운 임(님).
예다움 : 예쁨과 정다움을 지니라고.
외솔 : 한 그루의 소나무와 같은 고고함과 푸르름을 지니라는 뜻.
우람늘 : 우람하다(크고 위엄 있다) 의 우람 에 언제나 를 뜻하는 "늘"을 붙여 지은 이름.
우솔 : 우람한 소나무(솔) 처럼 바르고 크게 자라라고.
움찬 : 돋아 오르는 싹(움)이 힘찬.
으뜸 : 이 세상에서 이 아이가 최고(으뜸)라는 뜻.
은새 : 고은(←고운) 새, 조(좋)은 새 에서 따온 이름.
은소라 : 고은 소라, 조(좋)은 소라 에서 따온 이름.
은?: 고은(←고운) 소나무(솔), 조(좋)은 솔 에서 따온 이름.
은솜 : 고은 솜 에서 따온 이름.
은송이 : 고은(←고운) 송이 , 조(좋)은 송이 등에서 따온 이름.
이든샘 : 착하고 어진(이든: 옛말) 마음이 샘처럼 솟으라고.
이루리 : 하고자 하는 바를 이룰 것이다.
이루리라 : 무엇인가를 꼭 이루는 사람이 되라고.
이룩 : (원하는 바를) 이룩하다 에서 이룩 을 따서 지은 이름.
이솔 : 소나무(솔)의 기상과 품위를 이루다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이송이 : 송이송이 에서 따온 이름.
이플 : 청순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는 소리의 장점을 살려 지은 이름.
잎새 : 나뭇잎처럼 푸르름과 시원함으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라고. top

★[ㅈ]
자랑 : 남들에게 자랑할 만한 아이.
자올 : 모든 사람과 친하게 지내는 원만한 성져을 지니라고 친하다 의 뜻인 옛말 압다 에서 따온 이름.
잔디 : 잔디처럼 어려움을 이기고 끈기를 지니라고.
재마루 : 고개(재) 마루.
재미 : 세상을 재미 있고 즐겁게 살라고.
재바우 : 고개(재)의 바위처럼 듬직하고 믿음직스러운. 바우는 바위 의 방언.
재찬 : 고개(대)가 찬.
제나 : 기다리던 아이를 이제 낳아 .
제철 : 적적한 때에 잘 태어나.
조롱목 : 조롱박 모양으로 생긴 물건의 잘록한 부분.
조은 : 좋은 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조히 : 깨끗하고 맑은 마음을 잃지 말라고 깨끗이 를 뜻하는 옛말을 삼은 이름.
종달 : 종달새처럼 하늘 높이 나는 인물이 되라는 뜻.
주나 : 이웃에게 사랑과 기쁨을 주라고.
주리 : 주위 사람들에게 기쁜과 즐거움을 주리.
주미 : 주는 사람이라는 뜻에서 줌+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지나 : 나쁘고 궂은 일들은 빨리 지나 라고.
지니 : 많은 복을 지니 라고 지니다 에서 줄기(어간)을 따온 이름.
지은 : 세상을 바르게 하는 좋은 글을 지은 .
지음 :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지음 .
진나 : 진달래와 개나리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진달래 : 이름 봄의 진달래 처럼 예쁘고 고으라고.
진샘 : 값진 샘 에서 따온 이름.
진솔 : 한 번도 빨지 않은 새 옷 을 뜻하는 우리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진이 : 진달래처럼 곱고 예쁜 아이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top

★[ㅊ]
차나 : 옹골찬 아이라는 뜻에서 찬+아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차미 : 옹골차고 미더운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차분 : 성격이 찬찬하고 침착하라고.
차분나래 : 차분한 심성에 날개(나래: 방언) 단 선녀와 같은 아름다움을 지닌.
차오름 : 박차고 힘껏 날아오르는 기상을 지니라고.
착히 : 모든 일을 착하고 바른 마음으로 풀어가라고.
찬 : 속이 꽉 차 흐트러짐이 없는.
찬내 : 물이 가득 찬 시내.
찬놀 : 하늘 가득 찬 놀.
찬누리 : 복이 가득 찬 세상(누리: 옛말)을 누리다.
찬늘 : 늘 가득 찬.
찬늘봄 : 늘 봄 기운으로 가득 찬.
찬들 : 곡식이 가득 찬 풍성한 들판.
찬솔 : 알차게 잘 자란 소나무(솔).
찬솔나라 : 알찬 소나무(솔)처럼 자라나라.
찬솔큰 : 알찬 소나무(솔)처럼 큰 사람.
찬슬 : 슬기로움으로 가득 찬
찬슬기 : 옹골차고 슬리롭게 살라고
참 : 언제나 거짓 없는 참된 마음을 지니라고
참이 : 참되고 바르게 살아갈 이
참이삭 : 참된 이삭
채움늘 : 늘 부족한 점이 없도록 채워나가라
초고리 : 작은 매(초고리)와 같이 재빠르고 날카로우라고
초롬 : 함초롬하다(차분하다) 에서 초롬 을 따 이 를 덧붙여 지은 이름
초롱 : 맑고 영롱하게 빛나다 라는 뜻의 초롱초롱하다 에서 따온 이름
초롱꽃 : 초롱꽃처럼 예쁘고 생기발랄하다는 뜻에서
치리 : 모든 악한 것들을 물리치리 top

★[ㅋ]
크나 : 크고 훌륭하게 자라나.
크심 : 마음과 덕이 큰 사람이 되라고.
큰가람 : 큰 강(가람: 옛말).
큰길 : 크고 넓은 길로 바르게 나아가라고.
큰깃 : 큰 새 날개의 털.
큰꽃 : 커다란 꽃.
큰꽃늘 : 큰 꽃이 늘.
큰꽃들 : 큰 꽃이 가득 핀 들.
큰나라 : 큰 인물로 자라나라.
큰나래 : 커다란 날개(나래: 방언)를 단듯이 품은 뜻을 마음껏 펼쳐라.
큰돌찬 : 바위처럼 꽉 찬 사람.
큰돛 : 커다란 돛을 단 배처럼 쑥쑥 앞으로 나아가라고.
큰마루 : 커다란 산처럼 넓은 마음을 지니라고. 마루는 산의 꼭대기 .
큰말 : 커다란 마을(말)에서 널리 이름을 떨칠.
큰맘 : 크고 넓은 마음으로 사람들에게 베풀면서 살라고.
큰모듬 : 큰 모음.
큰모음 : 큰 모음.
큰뫼 : 큰 산(뫼: 옛말).
큰솔 : 크고 우람하게 잘 자란 소나무(솔).
큰아 : 큰 인물이 될 아이 라는 뜻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큰애 : 크고 훌륭한 일을 할 아이. 큰아 참조.
큰재 : 커다랗고 높다란 고개(재)처럼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인물이 되라고.
큰힘 : 큰 힘을 지녀서 올바르게 쓰라고.
클 : 앞으로 큰 인물로 자랄.
키움 : 예쁘고 바르게 키우겠다는 뜻.
키클 : 키와 마음이 클 사람. top

★[ㅌ]
타고나 : 훌륭한 자질을 갖고 타고나.
터전 : 삶의 기틀을 단단히 다지라고.
터큰 : 앞으로 살아가기 위한 그 기틀(터)이 큰.
텃골 : 터 잡힌 골짜기처럼 든든하게.
텃골돌샘터 : 충청북도의 땅이름을 그대로 삼은 이름.
토리 : 도토리처럼 작지만 야무지고 옹골차라고 도토리에서 따온이름.
통꽃 : 통꽃의 꽃잎처럼 서로 도우며 조화롭게 사는.
튼동 : 이 아이를 낳아 동쪽 하늘이 훤히 개인듯이 시원하고 기쁜.
튼싹 : 이제 막 자라기 시작하는 새싹.
튼트나 : 튼튼하고 건강하게 자랄 아이 의 뜻인 튼튼+이 를 소리나는대로 지은 이름.
튼튼 : 몸과 마음이 모두 튼튼하라고.
틀큰 : 사람의 됨됨이나 여러 가지 틀이 큰.
티나 : 어디에서나 예쁘고 고운 티가 나타나. top

★[ㅍ]
파라 : 노 씨 성과 어울려 지은 이름으로 높아라 의 일부분을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파라나 : 마음이 푸르러서 언제나 싱싱한 기운을 느끼게 하는 아이.
파라미 : 파란 기운이 나는 이라는 뜻에서 파람+이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파란 : 파란 하늘처럼 맑고 깨끗하게 살아라.
파랑 : 파란빛처럼 시원하고 강인한 성격을 지니라고.
파랑새 : 언제나 파랑새와 같은 꿈과 희망을 잃지 말라고.
퍼리 : 넓고 큰 벌판을 누비라는 뜻에서 벌판의 옛말을 그대로 삼은 이름.
펴라 : 온 힘을 기울여 꿈을 펼쳐라.
푸르 : 삶을 늘 푸르게 살라는 뜻에서 푸르다의 줄기(어간)를 따온 이름.
푸르나 : 푸른아이라는 뜻에서 푸른+아 를 소리나는 대로 지은 이름.
푸르내 : 푸른 물이 가득 흐르는 맑은 시내.
푸르니 : 마음이 늘 푸르니.
푸른나래 : 푸르고 싱그러운 날개(나래: 방언).
푸른나무 : 알차게 잘 자라서 푸른 기운이 넘쳐나는 나무.
푸른들 : 앞으로 곡식이 익을 풍성함을 준비하는 들판.
푸른마을 : 나무들이 푸르게 우거진 아름다운 마을.
풀잎 : 풀잎처럼 부드러우면서도 강인하게 자라라고.
풀큰 : 가꾸지 않아도 잘 자라는 풀처럼 큰.
풋내 : 새로 나온 푸성귀, 풋나물 들에서 나는 풀 냄새 로 언제난 신선함을 지니라는 뜻.
피네 : 꽃이 피네.
피라 : 꽃처럼 곱고 예쁘게 피어라.
피리 : 피리와 같이 맑고 고운 소리로 사람들에게 감동과 즐거움을 주라고.
피어나 : 예쁘고 바르게 피어나.
핀아 : 오랜 정성과 사랑으로 꽃처럼 핀(태어난) 아이. top

★[ㅎ]
하나 :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소중한 아이.
하늬 ; 하늬바람처럼 시원한 성격을 지니라고.
하람 : 하늘이 내리신 소중한 사람 에서 특정 음절을 따서 지은 이름.
하랑 : 하 는 높다라는 뜻(하늘) 랑 은 함께 라는 뜻(∼랑∼). 함께 사는 세상에서 높은(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뜻.
하련솔 : 하려무나(하련), 소나무(솔) 처럼 지조 높은 일을.
하예라 : 예쁘게 하늘을 닮으며 자라라.
하예진 : 하늘처럼 높은 뜻과 예쁜 마음을 지닌.
한 : 크고(한) 대범한 마음을 지니라고.
한가람 : 몹시 넓고(한) 물이 풍족하게 흐르는 강(가람: 옛말).
한결 : 한결같은 지조를 지니는 사람이 되라고.
한길찬 : 큰(한)길에 가득 찬.
한내 : 큰 시내처럼 물이 풍족해서 사람들을 이롭게 하는.
한누리 : 큰(한) 세상(누리: 옛말)을 두루 경험하며 크게 살라고.
한별나라 : 큰(한) 별처럼 차고 오른.
한봄찬 : 깊은 봄에 차고 나온.
한빛 : 세상을 이끄는 환한 큰(한) 빛이 되라는 뜻에서.
한샘가온 : 큰(한) 샘 가운데(가온대: 옛말)처럼 깊고 깨끗한.
한울 : 큰(한) 울타리와 같이 사람들에게 포근함을 주라고.
해가빛 : 해가 빛나는.
해긴 : 매우(많이) 긴. 즉 오래 행복하게 살아라. 해 는 많이의 옛말.
해길 : 해가 비추는 길 을 가듯 평탄하게 살아라.
해나 : 해가 나다.
해늘 : 늘 해처럼 밝게 살아라.
해님꽃 : 해처럼 밝고 꽃처럼 예쁘게 자라라.
해련 : 밝다 는 뜻의 해 에다 마음이 순하고 곱다는 뜻의 수련하다에서 련 을 따와 지은 이름.
해비치 : 해 비치다 에서 따온 이름.
해사랑해 : 해를 사랑해.
해샘찬 : 샘에 가득 찬 햇빛.
해솔 : 해처럼 밝고 소나무(솔)처럼 바르게.
해찬나래 : 햇빛(해)이 차서 더욱 높이 날 수 있는 날개(나래: 방언).
해찬솔 : 햇빛이 가득 차 더욱 푸른 소나무(솔).
환찬 : 환한 것이 찬.
환히찬 : 빛이 환하게 차 있는.
횃불 : 세상을 이끄는 횃불이 되라고.
희라 : 깨끗하게 살아라.
흰가람 : 하얗고 깨끗한 강(가람: 옛말).
흰꽃 : 하얀꽃처럼 깨끗하고 순결하게 자라라.
힘차 : 힘차고 굳세게 살라는 뜻.
힘찬 : 힘차게 날아오르라고.

출처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105&docId=22397121&qb=7J207IGcIOyXrOyekOyVhOydtCDsnbTrpoQ=&enc=utf8&section=kin&rank=3&sort=0&spq=0&pid=gZRQJg331xGssake54Kssv--522909&sid=TEUf7W8TRUwAAFbRDUY

반응형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르는 한자 찾기  (0) 2010.11.02
아동 전집 할인 사이트  (0) 2010.10.27
보안과 네트워크...  (0) 2010.06.28
임차권 등기 명령 해제  (0) 2010.06.14
좋은 인맥을 만들지 못하는 5가지 이유  (0) 2010.02.19
반응형

참조 사이트 : http://www.ibm.com/developerworks/linux/library/l-awk1.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linux/library/l-awk2.html
http://www.ibm.com/developerworks/linux/library/l-awk3.html


AWK(오크) 시작하기

아래의 두개의 명령은 동일한 일을 합니다.

$ cat 명령을 통해 /etc/passwd 파일을 본뒤 실행해 보세요

 $ awk '{ print }' /etc/passwd

 $ awk '{ print $0 }' /etc/passwd

print 와 print $0 의 명령은 전체 라인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다음 명령은 입력과 상관없이 출력을 할 때 사용한다.

$ awk '{ print "" }' /etc/passwd

이 명령은 빈공간을 출력한다. (입력되는 /etc/passwd 파일의 내용과는 상관없이)

$ awk '{ print "hiya" }' /etc/passwd

위 명령 또한 입력되는 /etc/passwd 파일과는 상관없이 hiya 내용만 출력될 것이다. (전체 /etc/passwd파일의 라인수 만큼 )




- 여러 필드들

awk는 텍스트들을 여러개의 논리적 필드로 문자열들을 조작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당신의 awk script 안에서 부터 각각의 필드들을 손쉬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스크립드는 당신의 시스템으로부터 유터들의 정보를 출력합니다.

 $ awk -F":" '{ print $1 }' /etc/passwd

-F 옵션은 : 문자열로 구분하여 필드를 분리합니다.  /etc/passwd 파일에서 : 구분자로 구분된 $1 (첫번째) 값을 출력합니다.

즉, root:x:0:0:root:/root:/bin/bash 와 같은 첫번째 입력값으로 부터 : 구분자로 분리한 첫번째 값 root 가 출력됩니다.

또다른 예제를 보자

 $ awk -F":" '{ print $1 $3 }' /etc/passwd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halt7
operator11
root0
shutdown6
sync5
bin1
....etc.

/etc/passwd의 첫번째와 세번째 필드값(사용자 이름 필드와 uid 필드값을 )을 AWK가 출력하는것을 볼수 있다.

스크립트 작업결과 두 개의 필드값 사이에 공백이 없어 완벽하지 않다.

다음의 명령은 두개의 필드 사이에 공백을 넣는다.

 $ awk -F":" '{ print $1 " " $3 }' /etc/passwd

" " 공백 두개로 print를 사용해 문자를 연결 할 수 있고, 만약 필요하다면 다음과 같이 어떤 문자를 넣을 수도 있다.

 $ awk -F":" '{ print "username: " $1 "\t\tuid:" $3" }' /etc/passwd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t 는 탭 명령이다.)

username: halt          uid:7
username: operator   uid:11
username: root         uid:0
username: shutdown uid:6
username: sync        uid:5
username: bin           uid:1
....etc.




- 예제 스크립트들

간단한 명령은 awk 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복잡하거나 규모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script 파일로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그 파일로 script를 실행하려면 -f 옵션을 사용한다.

 $ awk -f myscript.awk myfile.in

myscript.awk 파일
- : 으로 구분된 첫번째 필드값을 myfile.in (입력파일에서 라인별로 구분하여)으로 부터 출력한다.

 BEGIN {
        FS=":"
}
{ print $1 }

필드구분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 파일에서는 FS 변수를 선언함으로서 필드를 구분하였다.

이전 방법은 명령줄 옵션에서 -F ":" 를 사용했었다.




- BEGIN 과 END 블럭

일반적으로 각각의 입력 라인으로부터 당신의 scripts는 코드는 각각의 블럭으로 실행된다.

그렇지만, 입력 파일로 부터 awk 프로세싱이 시작하기 전에 실행해야할 초기 코드들이 필요한 많은 프로그래밍 상황이 있다.

그런 상황에서 awk는 BEGIN 블럭을 정의함으로서 허용할 수 있다.

우리는 이전 예제에서 BEGIN 블럭을 사용했었다. 

FS 변수를 초기화 하거나, 머리글을 출력하거나, 다른 전체 변수를 초기화하거나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언급하겠지만 초기화하기에 우수하다.

또한 AWK는 다른 block를 제공하며 END 블럭이라 한다.

입력된 모든 파일의 라인들이 처리되고 나서 AWK는 이 블럭을 실행한다.

전형적으로 END 블럭은 마지막 계산수행 또는 마지막 출력을 나타내야 할때 사용된다.




- 정규 표현과 블럭들

작성중...
반응형
반응형

어디서(사람, p/g) 서 잘못된 비밀번호로 로긴을 여러번 시도하면...락이 걸립니다.

 

예로 아래 scott이 DEFAULT profile 을 사용합니다.

 

SQL> select username, account_status, lock_date,PROFILE   from dba_users where username ='SCOTT';

USERNAME             ACCOUNT_STATUS       LOCK_DAT PROFILE
-------------------- -------------------- -------- --------------------
SCOTT                EXPIRED & LOCKED     10/06/24 DEFAULT  <---


아래 보시면...암호가 연속3회 실패하면 계정이 락이 걸리게 되어 있습니다.

 

  1* select * from dba_profiles
SQL> /

PROFILE              RESOURCE_NAME                  RESOURCE_TYPE    LIMIT
-------------------- ------------------------------ ---------------- --------------------
DEFAULT              COMPOSITE_LIMIT                KERNEL           UNLIMITED
DEFAULT              SESSIONS_PER_USER              KERNEL           UNLIMITED
DEFAULT              CPU_PER_SESSION                KERNEL           UNLIMITED
DEFAULT              CPU_PER_CALL                   KERNEL           UNLIMITED
DEFAULT              LOGICAL_READS_PER_SESSION      KERNEL           UNLIMITED
DEFAULT              LOGICAL_READS_PER_CALL         KERNEL           UNLIMITED
DEFAULT              IDLE_TIME                      KERNEL           UNLIMITED
DEFAULT              CONNECT_TIME                   KERNEL           UNLIMITED
DEFAULT              PRIVATE_SGA                    KERNEL           UNLIMITED
DEFAULT              FAILED_LOGIN_ATTEMPTS          PASSWORD         3 <-----
DEFAULT              PASSWORD_LIFE_TIME             PASSWORD         UNLIMITED
DEFAULT              PASSWORD_REUSE_TIME            PASSWORD         UNLIMITED
DEFAULT              PASSWORD_REUSE_MAX             PASSWORD         UNLIMITED
DEFAULT              PASSWORD_VERIFY_FUNCTION       PASSWORD         NULL
DEFAULT              PASSWORD_LOCK_TIME             PASSWORD         UNLIMITED
DEFAULT              PASSWORD_GRACE_TIME            PASSWORD         UNLIMITED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어디서 잘못된 암호로 로긴을 시도하는지 찾거나 안될 경우 3을 unlimited로 바꿉니다

반응형

'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BMS_METADATA  (0) 2010.08.05
tnsnames.ora 등록 없이 Database Link 만들기  (0) 2010.08.03
오라클 클론 디비로 복구 하기  (0) 2010.07.13
PL/SQL Exception  (0) 2010.07.06
RMAN 사용법  (0) 2010.07.06
반응형

이클립스를 사용하던중 FTP 나 ssh 로그인 기능을 조금더 쉽게 쓸수 없을까라는 고민을 하던중

그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RSE라는 기능의 Plug-in을 알게되었다...

RSE 기능 관련 동영상

출처 : http://mytory.co.kr/412


이 동영상을 보고 설치를 시작하였다...

나의 이클립스 버젼 : 3.4.1

1. 이클립스 update 기능을 사용하여 RSE Client 설치...

이클립스 실행 -> Help -> Software Updates... -> Available Software 탭 -> Ganymede Update Site ->
Remote Access and Device Development -> Remote System Explorer End-User Runtime & Target Management Terminal 설치

이것을 이용하여 이클립스상에 설치를 하고 재시작을 하면

open Perspective -> Other -> Remote System Explorer perspective 가 선택가능함.

Local -> New을 선택해 연결한 서버 정보를 등록하는 것은 쉽다...(동영상 참조)

그러나... 반드시 먼저 해야할 것은 서버를 설치하는 것이였다... ㄷㄷㄷ;

서버 버젼 및 최신의 다운로드 정보를 제공해주는 이클립스 사이트 주소

http://download.eclipse.org/dsdp/tm/downloads/drops/L20100616-0300/index.php

에 들어가면 DStore Server Runtime 에서 플랫폼에 맞춰서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다운받은 tar 파일을 /opt/rseserver/(경로는 자기 맘대로 정보에 풀고


root 권한으로 /opt/rseserver/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daemon.pl을 실행하면

이클립스에서 연결이 가능함. (Remote daemon -> 4075 포트로...)

필수 사항 : root 권한에 java와 perl이 실행 가능하여야 함.

확인방법 : java -version
               perl -V
반응형
반응형

nvidia 그래픽 카드 사용 컴퓨터에 일반적으로 발생함.

1. 제어판 -> 국가 및 언어 옵션 -> 키보드 및 언어 탭 -> 키보드 변경 -> Microsoft 한글 입력기를 선택 (msoffice 2007 IME를 선택하지 않음!)

1번 항목으로 해결되지 않을때는

2. ms-office 2007 sp2로 업데이트 함.

반응형
반응형


I. RECOVERY ON A TEST MACHINE:
이 부분이 다른 서버에서 복구하는 것이구요.

II. RECOVERY ON A PRODUCTION MACHINE:
이 부분이 동일 서버에서 인스턴스 하나 띄워서 복구하는 것입니다.
문서 보시고 하면 됩니다.



PURPOSE
-------

This bulletin outlines the steps to perform recovery to restore
a dropped table without recovering the entire database.  The bulletin
assumes the reader is familiar with Oracle's recovery procedures which
are documented in the Oracle documentation set.

SCOPE & APPLICATION
----------------------

This bulletin discusses dropped table recovery using traditional (Oracle7)
backup and recovery procedures. These can equally be applied to Oracle8. It
does NOT discuss tablespace point in time recovery (TSPITR) or the Recovery
Manager (RMAN) duplicate database feature.

The examples in this bulletin are UNIX-based, but can be easily applied to
other platforms with little modification.


RECOVERING A DROPPED TABLE FROM A FULL DATABASE BACKUP
------------------------------------------------------

TERMINOLOGY
-----------

PROD machine - Host computer on which the production database runs. Also
               denotes the ORACLE_SID of the production instance.
TEST machine - Host computer, physically distinct from the machine on which the
               production database runs.
TEMP         - The ORACLE_SID of the instance used to access the restored
               database.
The backup   - The set of backed up database structures (see REQUIREMENTS) used
               as the basis for recovering the dropped table. Once restored,
               this set of structures is referred to as the partially restored
               database.

REQUIREMENTS
------------

The following data structures must be available from the backup:
- All system tablespace datafiles
- All rollback segment datafiles
- All datafiles in which the table to recovered is stored
- Archive logs - see Note (a)
Notes:
 (a) If the restored datafiles are part of a hot backup, or you wish to
     roll them forward, the required archivelogs must be available.

In an ideal world the partially restored database will be made available for
recovery on a TEST machine. However this may not always be possible, and
it may be necessary to restore to the same machine on which the 'source'
(PROD) database resides. The latter is NOT RECOMMENDED as a user error in the
recovery process can corrupt the production database.

If the datafiles comprising the partially restored database were in hot
backup mode at the time the table was dropped, it is necessary to restore
a previous backup.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hot backup must be rolled
forward past the 'end backup' markers (the time that the tablespaces were taken
out of hot backup mode) before the database can be opened. Failure to recover
the restored datafiles past their end backup markers will result in the
following error when an attempt is made to open the database:

  ORA-1195 "online backup of file %s needs more recovery to be consistent"

I. RECOVERY ON A TEST MACHINE:
------------------------------

The following steps are to be used when performing recovery on a TEST machine,
the assumption being that there is no instance with the ORACLE_SID "PROD"
or "TEMP" already running on the TEST machine.

 1. On the PROD database, connect as a privileged user and create an ASCII
    dump of the controlfile. For example:

      SVRMGR> connect / as sysdba
      SVRMGR> alter database backup controlfile to trace resetlogs;

    A trace file will be generated in the user_dump_dest destination. Rename
    this trace file to ccf.sql and save it.

 2. Create a directory on the TEST machine. The restored database will be
    located in this directory. In this example the directory is called
    /RESTORE. The only stipulation is that there is enough space to easily
    accomodate the restored database and any archivelogs required for recovery.
    If filesystem space is at a premium, the archivelogs may be optionally
    restored to /RESTORE as required by recovery, and removed after they have
    been applied.

 3. Restore the backup to the /RESTORE directory.

 4. Optionally, restore all archivelogs required for recovery to the /RESTORE
    directory.

 5. Copy the init.ora file (initPROD.ora) from the PROD database to the /RESTORE
    directory on the TEST machine. This assumes that all database parameters are
    specified in only the init.ora file. If an include files (ifile) is
    referenced, also copy this file to /RESTORE.

 6. Rename the initPROD.ora to initTEMP.ora on the TEST machine.

 7. Edit the initTEMP.ora and make the following modifications:
    a. control_files = /RESTORE/cntrlTEMP.dbf
    b. if applicable, change any ifile references to point to the copied
       include file
    c. log_archive% parameters should be changed to reflect the restored
       archivelogs:
         log_archive_destination
         log_archive_format
       For example:
         log_archive_destination=/RESTORE
         log_archive_format=arch_%s.dbf
    d. %dump_dest parameters should be changed to point to suitable directories

    e. If audit is on, turn it off.

 8. Ensure that the shell environment is set correctly. At the very least, the
    following environment variables must be defined:
    a. ORACLE_HOME
    b. ORACLE_SID (should be set to TEMP)

 9. Connect as a privileged user. For example:

      SVRMGR> connect / as sysdba

10. Start the instance, specifying TEMP's init.ora:

     SVRMGR> startup nomount pfile=/RESTORE/initTEMP.ora

11. The ccf.sql file (created in Step 1) contains the syntax necessary to
    create a new controlfile. Copy this script to the TEST machine and edit
    it to save only the text between (and including) 'CREATE CONTROLFILE'
    and it's terminating semi-colon. Modify the following sections:

    a. LOGFILE. Edit this section to reflect the names of the online logs to
       be created for the TEMP instance. If the PROD instance has a large
       number of large online log members, it is advisable to specify a
       reduced number of smaller log members. You MUST however specify at
       least two online log groups.
    b. DATAFILE. Edit this section to reflect the names of the restored
       datafiles only.
    c. Miscellaneous:
       - Remove the REUSE keyword
       - Optionally change the ARCHIVELOG keyword to NOARCHIVELOG (so the
         TEMP database will not operate in archivelog mode)

    An example of the completed ccf.sql script might be:

      CREATE CONTROLFILE DATABASE "PROD" RESETLOGS NOARCHIVELOG
          MAXLOGFILES 16
          MAXLOGMEMBERS 2
          MAXDATAFILES 20
          MAXINSTANCES 1
          MAXLOGHISTORY 337
      LOGFILE
        GROUP 1 '/RESTORE/log1PROD.dbf'  SIZE 1M,
        GROUP 2 '/RESTORE/log2PROD.dbf'  SIZE 1M
      DATAFILE
        '/RESTORE/sys1PROD.dbf',
        '/RESTORE/rbs1RBS.dbf',
        '/RESTORE/users1PROD.dbf'
      ;

    Then execute ccf.sql script to create control file(s).

12. Recover the database. The database is to be recovered to a time before
    the table was dropped. There are two options here:
    a. Time-based incomplete recovery. Database recovery is stopped at the
       specified date and time.
    b. Cancel-based incomplete recovery. Database recovery is stopped on
       an archivelog boundary i.e. the granularity of cance-based recovery
       is the archivelog.

    Example of time-based recovery:

      SVRMGR> recover database until time '2000-01-10:12:00:00' using backup controlfile

    In the above example, apply archivelogs as requested. Recovery will stop
    automatically at 12:00 on Januaru 10th, 2000.

    Example of cancel-based recovery:

      SVRMGR> recover database until cancel using backup controlfile

    As soon as you have applied the last desired archivelog, type CANCEL
    to stop recovery.

13. Open the database with the RESETLOGS option:

      SVRMGR> alter database open resetlogs;

14. Export the table(s).

15. Import the table(s) into the PROD database.

16. Once the necessary tables have been imported, the TEMP instance can be
    shutdown and all associated files removed. It is worthwhile verifying that
    the import has completed successfully before removing the TEMP instance.

II. RECOVERY ON A PRODUCTION MACHINE:
-------------------------------------

If a TEST machine is not available for performing recovery, the PROD machine
can be used. It is important to exercise extreme caution when doing this. The
restored database will be operate under the TEST instance as before. During
this procedure the restored database's name is changed in order to avoid
problems in acquisition of the mount lock.

 1. Take a FULL backup of the database running against the PROD instance
    before performing any recovery.

 2. While connected to the PROD instance, create an ASCII dump of the
    controlfile:

      SVRMGR> connect / as sysdba
      SVRMGR> alter database backup controlfile to trace resetlogs;

 3. Create a /RESTORE directory as before (Step 2 above).

 4. Restore the backup (and optionally the archivelogs) to the /RESTORE
    directory (Steps 3 and 4 above).

 5. Create the initTEMP.ora file (Steps 5, 6, 7 above). In addition to the
    changes already made, modify the db_name parameter, for example:
      db_name=TEMP

 6. Ensure that the shell environment is set correctly (Step 8 above):
    a. ORACLE_HOME
    b. ORACLE_SID (should be set to TEMP)

 7. Start the TEMP instance (Steps 9, 10 above). It is critical to ensure
    that the correct pfile is used to start the instance.

 8. Modify the ccf.sql file (Step 11 above). It is critical to ensure that
    the DATAFILE and LOGFILE names reference the backup location and NOT the
    PROD instance database's files. In addition to the changes already made,
    modify the first line to set the new database name, for example:
      from: CREATE CONTROLFILE DATABASE "PROD" RESETLOGS NOARCHIVELOG
        to: CREATE CONTROLFILE SET DATABASE "TEMP" RESETLOGS NOARCHIVELOG

 9. Recover the database (Step 12 above).

10. Open the database (Step 13 above).

11. Export the table(s).

12. Import the tables(s).

13. Cleanup the TEMP instance (Step 16 above).

반응형

'Database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nsnames.ora 등록 없이 Database Link 만들기  (0) 2010.08.03
System Account Lock (System 계정 락 걸림)  (0) 2010.07.15
PL/SQL Exception  (0) 2010.07.06
RMAN 사용법  (0) 2010.07.06
오라클 암호화 기능  (0) 2010.07.02
반응형

레지스트리 변경을 통해 해결

1. 시작 -> 실행 -> regedit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Attachments\ScanWidthAntiVirus

의 값을 1로 변경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될경우 3으로 되어있음)

2. 시작 -> 실행 -> regedit (1번의 경우 대부분 해결되지만 혹 안될경우)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Policies\Attachments\ScanWithAntiVirus

값을 1로 변경함

※ office 제품군의 경우 다운로드는 되나 파일이 열리지 않는 경우에는(2007 기준)

excel 실행 -> 왼쪽 상단의 윈도우 마크의 동그라미 클릭 -> Excel 옵션 -> 고급탭 -> 일반 -> DDE(동적 데이터 교환)를 사용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무시(O) >>> 체크 해제함. -> 확인



반응형
반응형

다운로드 주소 : http://www.foundstone.com/us/resources/proddesc/fport.htm



Pid Process Port Proto Path
392 svchost -> 135 TCP C:\WINNT\system32\svchost.exe
8 System -> 139 TCP
8 System -> 445 TCP
508 MSTask -> 1025 TCP C:\WINNT\system32\MSTask.exe
392 svchost -> 135 UDP C:\WINNT\system32\svchost.exe
8 System -> 137 UDP
8 System -> 138 UDP
8 System -> 445 UDP
224 lsass -> 500 UDP C:\WINNT\system32\lsass.exe
212 services -> 1026 UDP C:\WINNT\system32\services.exe

The program contains five (5) switches. The switches may be utilized using either a '/'
or a '-' preceding the switch. The switches are;

Usage:
/? usage help
/p sort by port
/a sort by application
/i sort by pid
/ap sort by application path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