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FLASH 10 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

1. 인터넷 검색시 자주 충돌나며 인터넷 익스플로어가  닫혀 버린다.

2. 다음, 엠엔 캐스트 사이트에서 동영상 재생이 원활하지 않거나 되지 않는다.


* FLASH 9로 다운 그레이드 하는 방법

반드시 !!! 파일들을 한꺼번에 받는것이 좋습니다...

Uninstall(삭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인터넷 브라우져를 종료 시켜야 합니다.

아래 2번부터 3번까지 파일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기



1. 자신의 FLASH 버젼을 조회한다.

http://www.macromedia.com/software/flash/about
  
    --> 자신의 버젼이 9라면 이 작업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래 첨부된 그림은 9버젼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 플래쉬 삭제 프로그램을 받는다.

http://download.macromedia.com/pub/flashplayer/current/uninstall_flash_player.exe

3, 플래쉬 9 버젼을 받습니다.



4. 지우고 설치하는 법

   ① 2번 파일을 받아 삭제를 한 뒤 (모든 브라우져가 종료됩니다.. 반드시 모든 파일 다운로드 받으세요)

   ② 플래쉬 9파일의 압축을 풀어 (2개 파일이 존재합니다.)
 
       flashplayer9r124_win.exe  설치 후 -> flashplayer9r124_winax.exe 설치합니다.

   ③ 설치된 버전 정보 조회 페이지로 가 위의 첨부된 그림과 같은 버젼이 조회 되는지 확인합니다.

      http://www.macromedia.com/software/flash/about

   ④  다시 브라우져를 통해 안보이는 영상이나 화면을 탐색합니다.

       만약 조회가 안된다면 시스템 리부팅을 해보길 권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보는방법 : 지문을 종이에 찍었을 경우를 생각하고 좌, 우를 바꿔서 봐야한다. 지문을 그냥 보았을때 좌, 우가 바뀐 모양으로 보면 된다.

 

1. 지문 유형에 따른 성향별 특징 및 적합한 직업

 

호형문

 

기본적으로 온화하고 안정적이지만 도전정신은 크지 않다. 따라서 체계적인 지도와 규범으로 이끌어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호형문의 기본적인 특징은 온화하고 안정적이며 인정이 많고, 보수적이며 엄격한 편이면서도 융합을 잘하는 성향이다. 정해진 계획이 갑작스럽게 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개인의 사생활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몇몇 절친한 사람들과의 깊이 있는 교유를 선호한다. 충성심이 뛰어나지만 도전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지도자적 자질 역시 약한 편이다. 어떤 일이든지 지시와 규칙에 의해 실행하길 원하며, 조건이 명확한 상황에서 집행 능력을 발휘한다. 학습에 대한 반응은 매우 양호하지만, 자극의 여부에 의해 상대적인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성격상의 장점 : 안정감이 높고 학식이 풍부하며 깊게 생각하는 편이다. 위기에 직면했을 때 차분히 대응하며, 예의 바르고 독립심이 강하며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삶을 선호한다.

 

성격상의 단점 : 어떤 강렬한 느낌을 두려워하고 갑자기 일어난 돌발상황에 두려움을 느낀다. 사생활이 침해당하는 것을 꺼려하며, 만족스럽지 못한 환경 혹은 공허한 느낌에 대해 불안해한다. 창조력과 열정을 발휘하는 능력이 비교적 풍부하지 못하다.

 

성장시키는 방법 : 스스로 내린 결정이 성취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본인의 감정을 마음에만 담아두지 말고 밖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대해 알고자 하는 것을 스트레스나 사생활 침해 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배려해야 한다. 이런 아이에게는 ‘너는 충분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일도 해낼 수 있다’고 인정해 주고, 봉사활동 내지는 자원봉사에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또 단체활동에 참여해 자신의 의사를 발표하고, 자신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한다.

 

대화 요령 : 명확한 지시 내지는 정확한 내용을 표명해야 한다. 과장된 표현이나 사실이 아닌 것을 말했을 경우 쉽게 역효과를 낼 수 있으므로, 안정감과 공정함과 진실성을 강조해야 한다. 분명하지 않거나 사전에 계획된 일이 아닐 경우에는 쉽게 내면의 저항을 일으킬 수 있다. 친절하게, 규범적·규칙적으로 이끌어가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화 요령이다.

 

안정형. 공무원 등 안정적인 직업

 

정확한 지시 및 정해진 규범대로 일하는 보수적인 타입이므로 실무적인 일에 적합하다. 새로운 도전보다는 기존의 안정적인 분야를 선호하며, 낯선 사람에게 자기의 생각이나 가치를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않다. 안정성을 추구하고 자기주장을 관철시키기보다 주어진 규범에따라 일하기를 좋아하므로, 사무적이고 정확한 관리 능력을 필요로 하는 직장에서 자신의 특기를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재무관리나 조직관리 및 사무 진행에 적합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 새로운 업무나 사람에 대해서는 한 걸음 뒤로 물러서며 부끄러움을 잘 타고 소극적이지만, 일단 시작하면 매우 안정적인 집행 능력을 발휘한다. 새로운 업무라도 일단 경험해 보고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 기존의 사람들과 적절히 협력하여 공정하고 정확한 집행자가 된다.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몹시 싫어하며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도전을 기피하는 편이다. 일반적으로 보면 정열을 표출하는 일이 드물지만, 일단 선택한 일에 대해서는 쉽게 변하지 않는 태도를 견지한다. 외적으로 볼 때는 경쟁을 싫어하고 매사에 사무적이며 엄숙하고 안정된 정서를 가지고 있다. 내성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사무 능력을 요하는 분야, 안정적인 기술 분야

_ 전원에서 일할 수 있는 직업

_ 경리, 자료관리, 환경 관련 사업, 전문적인 농부, 운전기사

_ 공무원, 교사, 의사, 전문기술직, 회계사, 세무사


 

정기문

 

감수성이 풍부하고 창의적이지만 충동적이다. 따라서 끊임없는 존중과 관심을 쏟아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감성적이며 감수성이 풍부하고 정서적 반응이 비교적 직선적이다. 자유스러운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며 매우 민감하다. 단체활동과 융화를 중시하지만, 어떤 일을 결정할 때 충동적으로 하는 성향이 있다. 성격이 급하고 잘 기다리지 못하는 편이다.

 

성격상의 장점 : 감수성이 강하고 매우 열정적인 사람으로서, 창조력이 뛰어나고 다른 사람의 아픔을 민감하게 느끼며 연민이 많다. 감정 반응이 강렬하고 낭만적인 것을 추구한다. 신뢰와 온화함으로 대인관계를 맺는다.

 

성격상의 단점 : 상대방의 거절을 두려워하는데, 이는 소외당하는 느낌을 매우 힘들어하기 때문이다. 누군가에게 자신이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거나 의미 없게 받아들여지는 것을 매우 싫어한다. 스스로 정한 기준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뭔가 틀렸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또한 인내심과 감정 조절 능력이 부족하며, 습관적으로 상대방이나 사물을 비교하고 비판하기도 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안정감을 키워주고 일관된 행동 모델을 제시해 심한 감정의 기복에 시달리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단체활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자기만의 세계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도와주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도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감정의 기복이 심할 때는 먼저 스스로 평정을 찾을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그런 다음 어떤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일상생활을 즐기고 광범위한 영역에 걸쳐 있는 자신의 흥미를 채울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진실한 성취감을 맛볼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대화 요령 : 다른 사람으로부터 존중과 관심을 받기 원하므로 친절하게 대해주고,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거나 비평하지 말고, 도전적인 면을 피하라. 단체의 목표를 향해 함께 노력하자고 권하고 명확한 목표를 정해서 실행하도록 해야 한다.

 

감성형. 교사나 고객관리자 등 친절과 성실성이 필요한 직업

 

감수성이 풍부하며 매우 친절하지만 일처리나 대인관계에서 감정적일 때가 많다. 자유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하며 무리한 요구나 엄숙한 환경을 피한다. 단체생활 자체를 좋아할 뿐 아니라 열정적이고 적극적으로 봉사한다.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 표현하기를 좋아하고, 남을 적극적으로 이해하려고 하며, 직장에서의 친화력도 뛰어나다.

자신을 지지해 주는 환경일 때 일의 능률이 오르고 신나하지만, 반대의 경우 능률이 많이 떨어진다. 남의 말에 귀를 잘 기울이며,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고, 미래에 대한 대비보다는 현실을 주로 바라보는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매우 창의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력이 약하고 경쟁이 치열한 환경에서는 견디기 힘들어하며 구속을 싫어하는 면은 직장생활에서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한다.정해진 삶을 좋아하며, 감정 표현이 적극적이어서 좋고 싫음이 얼굴에 분명히 드러난다. 때에 따라서는 약간 안일하고 피동적인 경우도 있으며, 스트레스를 극복해 내는 힘이 부족하고 분위기에 따라 쉽게 변하며 추진력이 약하다. 특히 장기적인 계획과 목표 수립을 어려워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서비스업, 교육, 기술

_ 인사관리 및 고객관리

_ 교사, 엔지니어, 예술가, 가수

_ 사회사업, 간호사, 특수교육

_ 컨설턴트, 서비스관리, 마케팅 매니저

 

반기문

 

신뢰와 책임감이 크지만 자기주장이 강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방적으로 주문을 하기보다는 개성을 충분히 살려주어야 한다.

 

기본 특질 : 자유스러운 가운데 자기주장이 강하고, 낭만적이지만 자의식이 분명하며, 충성심과 강인함이 있다. 말 바꾸는 것을 싫어하고, 유머러스한 대화와 재치로 일을 처리하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성실하게 반응하고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반면 자신의 정서조절 능력은 약한 편이다.

 

성격상의 장점 : 신뢰를 중시하고 책임감이 있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에게 충성을 다하고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우회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며 실험정신이 강하다. 인정이 많고 다른 사람의 능력을 보호하고자 한다. 관찰력이 뛰어나며 매사에 의문이 많고 기지와 위트가 뛰어나며 민감하다.

 

성격상의 단점 : 상대방이 도움을 요청했을 때 적극적으로 돕고자 하는 성향이다. 그러나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거나 상처를 받았을 경우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불안해한다. 또 이러한 상황에 대해 스스로 굴복했다고 여길 경우 심한 무력감에 빠지기도 한다. 자신이 의지하고 따르는 사람으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지 못하면 아예 그들과의 교유를 단절해 버리기도 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자기 자신이 인생의 주인공이라는 생각이 들도록 배려해야 한다. 자신감을 갖고 상대방과 외부세계에 대해 믿음을 갖도록 유도한다.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나 불안감 역시 생활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고 진심으로 받아들이도록 교육해야 한다. 상대방에 대한 의심이나 두려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바쁘게 움직이는 것이 근심과 걱정을 줄이는 방법임을 알려준다. 대항하거나 도피하는 것은 두려움의 표현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정면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대화 요령 : 자기만의 스타일과 창의적인 표현을 인정하고 존중해 주어야 한다. 풍부한 상상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내면의 상태를 중시하고 평형을 유지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진심으로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고 받아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창의형. 작가나 감독 등 창의적이고 개성이 강한 직업

 

일반인들과는 많이 다른 사고방식의 소유자다. 일처리와 대인관계에서도 창의적인 성향이 매우 강하다. 일반적인 규범과는 다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긴장하게 만들기도 한다. 독특한 자기만의 스타일을 발산하고 색다른 아이디어로 신선함을 주며 창의적이고 개성이 강하다. 연구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연구개발 분야에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한다. 흥미 있는 일에 몰두하여 연구하고 질문하기를 좋아하고, 그에 따라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한다.

창의적이며 선택 능력이 탁월하고 민감한 관찰력의 소유자다. 특히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중시하며 자기주장이 확실하고 의지력이 강하다. 일반인들과는 다른 독특한 주장을 많이 하기 때문에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하며, 그런 사람들과 대화하기를 힘들어한다. 자기 내면의 세계를 적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편이다.

외적으로는 의문이 많고 관찰력이 세밀하며 도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으며, 뛰어난 유머감각으로 좌중을 압도하기도 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창의적인 시장 개발, 일반적인 개념에서 벗어난 독특한 기술개발 분야

_ 연구단체 및 개발부

_ 작가, 예술가, 영화감독

 

두형문

 

용감하고 용의주도하지만 자신의 약점을 두려워한다. 따라서 온유한 방식으로 대화를 풀어나가야 한다.

 

기본 특질 : 매사에 엄격하고 합리적이며 공평하다. 인격을 중시하고 노력을 많이 하지만, 간혹 극단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용감하며 목표 주도형이다.

 

성격상의 장점 : 용감하고 과감하며 공정하고 다른 사람들의 능력을 보호해 주는 타입으로, 사람을 끄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우정을 중시하며 생각이 깊다.

 

성격상의 단점 : 고집이 세고, 비평적이기도 하며, 유약함을 싫어한다. 자신의 약점이 드러나는 것을 극히 두려워하고 부정확한 것을 싫어한다. 남에게 의지하거나 도움받는 것에 대한 심리적 거부감이 강하며, 이를 몹시 꺼려한다. 다른 사람에게 존중받지 못하거나 무시당하는 것을 못 견뎌한다. 단체생활에 화합하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이 강하며 과도하게 존엄성을 중시한다.

 

성장시키는 방법 : 다른 사람에게 도움받기를 꺼려하는 것은 자기 내면이 약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인지시키고, 상대의 호의에 대한 과도한 거절은 상대에게 압박감이나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자신의 연약함은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도구이므로, 자신의 약점에 대해 너그러운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행동하기 전에 먼저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본인의 의사와 다른 경우 적당한 방법을 찾아내 대처하고 내면의 평정을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대방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들이고 대화하는 데 적당한 방법을 모색하도록 격려한다. 자신을 보다 가볍고 유연한 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적당한 기회를 제공한다.

 

대화 요령 : 매사에 목표를 분명히 하고 결과를 명시해야 하며 개성을 존중해 주어야 한다. 지도자적인 성향을 활용해 자신에게 주어진 권한의 범위를 최대한 분명하게 명시해 주는 것이 좋다. 온유한 방식의 질의문답 형태의 대화법이 효과적이다. 내성적이기 때문에 외형보다는 내면의 세계를 중시한다. 따라서 칭찬은 공개적으로 하되 지적은 개별적으로 해서 자존심을 지켜줘야 한다.

 

전략형. 장군이나 CEO 등 주도성과 담판 능력이 필요한 직업

 

두형문은 넓은 시야에서 사고하고 자기주관이 분명하며, 일이나 대인관계에서 명확한 결과를 요구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독립 창업하는 경우가 많고 회사의 CEO, 마케팅 매니저, 국가 지도자 등으로 일하는 경우가 많다. 도전적인 목표를 좋아하고 지도력이 특출하며 관리 능력이 탁월하다는 얘기다. 특히 내면이 강하고 독립적이며 경쟁이 치열한 직장 환경에서 더욱 확실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거의 습관적으로

많은 일을 리드해 나간다. 목표 지향적이며 개척정신이 투철하고 한번 설정한 목표는 철저한 계획과 관리로 반드시 이뤄낸다. 실질적인 물건을 좋아하며 복잡한 문제에 도전해 해결하기를 즐긴다. 목표를 향해 불도저처럼 나아가는 사람을 연상하면 두형문의 직업적인 특질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정서적으로는 매우 침착하며 객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일을 판단하고 관리하며 효율을 중시한다.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지만, 한번 신뢰를 맺으면 의리가 강하다. 자기 내면의 세계를 표현하는 데는 적극적이지 못하지만, 한번 일을 추진하기 시작하면 대단히 열정적이며 패기가 넘친다. 강하고 활기차고 성과를 창출해 내며 사실적인 것을 추구한다. 깨끗하고 엄격하며 세밀하다. 감정 조절을 잘하며 깊고 멀리 볼

줄 알고, 용감하고 담대하다. 하지만 때로 극단적인 성향을 드러내기도 한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주도성과 담판 능력을 필요로 하는 일

_ 기획 혹은 관리부_ 연설가, 엔지니어, 지휘자, 군 장성, CEO

_ 독립 창업 경영인


쌍기문

 

적응 능력이 강하고 긍정적이지만 효율성이 떨어지는 면도 있다. 따라서 지시는 명확하게, 계획은 엄격하게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 

 

기본 특질 : 다른 사람을 언제나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며, 안정적인 인생을 선호하고 중용의 도를 추구한다. 남을 도와주는 것을 즐기고, 직접적으로 거절하는 것을 힘들어하며, 완벽주의적인 경향이 있고 매사에 생각이 많다.

 

성격상의 장점 : 자신이 주도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몸으로 실천한다. 책임감이 강하고 조정 능력이 탁월하며, 환경이나 상황에 따른 적응 능력이 뛰어나 새로운 것을 쉽게 받아들이며 사랑이 많다.

 

성격상의 단점 :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충돌과 대립을 두려워하는데, 이는 본인의 입장이 곤란해지는 상황이나 불편한 감정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스스로의 에너지를 낭비하는 일 혹은 정신적으로 상처를 입는 일을 꺼려하며, 어떤 중대한 결정을 할 때 생각이 너무 많아 때를 놓치거나 효율이 떨어지기도 한다. 거절하기를 어려워하고 잡다한 일이 너무 많아 시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다.

 

성장시키는 방법 :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 즐거워하는 것에 관심을 갖고, 힘들거나 화가 났을 때 자신의 불만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자신이 정말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일깨워줘야 한다. 스스로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행동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도록 주의를 환기해 준다. 정말로 먼저 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도 되는 일에 대한 우선순위와 시간 안배를 정확히 하고 있는지 점검해 준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듯 자신을 사랑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일깨워야 한다.

 

대화 요령 :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결정하도록 하라. 지시는 명확하게 하고 계획은 엄격하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평소 은연중에 자신의 생각이나 내면의 느낌이 표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평소에 하는 말을 경청하고 적당한 시기에 결정하도록 유도하라.

 

조정형. 기획자나 컨설턴트 등의 정보 수집과 경쟁이 강한 직업

 

생각이 많은 쌍기문은 정보를 수집하는 일에 능하다. 일처리나 대인관계에서도 가장 원만한 방법을 찾아 해결한다. 충돌과 대립을 피하면서 다방면으로 생각하고 결정하는 합리적인 성향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우수한 정신력을 바탕으로 자기의 주장을 내세우기보다는 전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편이며, 경쟁이 치열한 직장 환경에서 더욱 탁월한 기질을 발휘한다.

조정 능력과 협조성이 좋으며, 평소에도 생각을 많이 하고 일에 있어서 늘 공평을 기한다. 적응 능력이 좋고 변화에 도전하기를 즐기며, 환경에 따라 목표와 입장을 쉽게 바꾼다. 오랜 생각 끝에 내린 결론이라고 하더라도 상황에 일치하지 않으면 비교적 쉽게 바꾸는데, 이는 유연성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변덕으로 보이기도 한다. 생각이 많아서 최종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지만, 전체를 조합하고 새롭

고 독특한 아이디어를 내는 능력이 탁월하다. 관찰을 잘하고, 평가와 질문이 많다. 감정 조절을 잘하고 다방면으로 생각하며 직접적인 입장 표명을 피한다. 동시에 여러 가지 목표를 세우지만, 그에 비해 목표 달성 능력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적합한 직업 부류

_ 기술 분석 및 컨설턴트, 전문 평론가

_ 기획자, 공무원, 비서 및 조력자 역할_ 중개인(무역·사무), 외교관, 전문 가이드

_ 독립 창업 경영인


출처 : http://ask.nate.com/qna/view.html?n=8884786

반응형
반응형

 cut 이랑 uniq 사용법

예) 현재 접속된 ip만 확인(포트번호 제외)하여 중복된 것을 제거한 갯수

# netstat-an | grep ESTABLISHED | awk '{print ($2)}' |cut -f "1 2 3 4" -d .| sort | uniq -c

 

 

- date 관련

1. date 0없애기

# date '+%h %-d'
Aug 04
# date '+%h %0d'
Aug 4

 

2. date 전달 구하기

# TZ=KST+700 date +'%m'

 

3. data 전일 구하기

# TZ=KST+15 date +'%d'

 

 

- du 관련

1. 현재 디렉토리 내의 모든 파일의 용량을 보여줌

# du -sk * (du -sm * 및 du -sg * 가능)

 

2. 같은 파일시스템 내의 디렉토리 사이즈만 보여줌

# du -x

 

 

 

- awk 사용예제

# df -m | awk '{print$7}'

# df -m | awk '{print$1,$7}'

# lsvg -l rootvg | awk '{print"lslv -l "$1}' | sh

# df | awk '{print"lsfs "$7}'|sh

# lsdev -Cc adapter | grep ent | awk '{print"lsattr -El "$1}' | sh

# ps -ef | grep nmon |awk '{print"kill -9 "$2}' |sh 

# ls -l /etc/*.conf| awk '{print "grep pmtu " $9}' | sh

 

(디렉토리의 사용량 보기)
# ls -l|grep ^d | awk '{print"du -sk "$9}' | sh

 

(파일시스템 90% 이상 찾기)
# df -Pk|awk 'int($2) != 0'|grep -v Mounted|grep -v 가능|awk 'int($3*100/$2) > 89 {print $5, $6}'


(메모리 사용량 보기)
# vmstat 1 3 |tail -1 |awk '{used=$3*4096/1024/1024}{free=$4*4096/1024/1024}END{printf " used memory : %.0f MB\n free memory : %.0f MB\n",used,free}'


(CPU사용량보기)
# sar 1 2|tail -1|awk '{use=int($2+$3)}END{printf "%.0f\n",use}'


(HP에서 disk용량 보기)
# ioscan -fnC disk|grep rdsk|awk '{print "diskinfo "$2}'|sh|grep size|grep -v '0 Kbytes'|awk '{print int($2/1024/1024)}'

 

 

 

- 일일점검 shell(AIX 기준)

 

export LANG=C
DATE=`date '+%y%m%d'`
MONTH=`date '+%y%m'`
TIME=`date '+%H%M%S'`
HOST=`hostname`

SCRIPT_HOME=/CHECK
TEMP_HOME=$SCRIPT_HOME/TEMP
LOG_HOME=$SCRIPT_HOME/LOG
OUTPUT=$LOG_HOME/systemcheck_$HOST'_'$DATE.out
NET_INFO=$SCRIPT_HOME/TEMP/ifconfig.info
NET_TEMP=$SCRIPT_HOME/TEMP/ifconfig.count

 

####### MEMORY CHECK ########
MEMINUSE=`svmon -G  | grep "in use" | awk '{print ($3)}'`
MEMTOTAL=`svmon -G  | grep "memory" | awk '{print ($3/$2)*100}'`
MEMCOMP=`svmon -G  | grep "memory" | awk '{print ('$MEMINUSE'/$2*100)}'`
MEMNONCOMP=`echo "scale=3; $MEMTOTAL - $MEMCOMP"|bc`

 

####### NETWORK CHECK ########
> $NET_INFO < /dev/null
> $NET_TEMP < /dev/null

ifconfig -a | grep en | grep -v tcp | awk '{print $1}' | cut -c 1-3 > $NET_INFO
for NET_EN in $(<$NET_INFO)
  do
       netstat -v $NET_EN | grep Link | grep -iv Up | wc -l >> $NET_TEMP
  done

 

echo "CPU = `sar 1 2|tail -1|awk '{use=int($2+$3)}END{printf "%.0f\n",use}'`" > $OUTPUT
echo "MEM/COMP = $MEMCOMP" >> $OUTPUT
echo "MEM/NONCOMP = $MEMNONCOMP" >> $OUTPUT
echo "MEM/SWAP = `lsps -a | grep hd6 | awk '{ print $5 }'`" >> $OUTPUT
echo "DISK = `df -Pk|awk 'int($2) != 0'|awk 'int($3*100/$2) > 95 {print $5, $6}' | wc -l`" >> $OUTPUT
echo "NETWORK = `cat $NET_TEMP | grep -v 0 | wc -l`" >> $OUTPUT

CHECK=`lssrc -a | grep topsvcs | grep active | wc -l`
if [ $CHECK = 1 ] ; then
        echo "CLUSTER/DEMON = 0" >> $OUTPUT
        echo "CLUSTER/LOG = `cat /tmp/hacmp.out | wc -l`" >> $OUTPUT
else
        echo "CLUSTER/DEMON = 1" >> $OUTPUT
fi

echo "ERRORLOG = `errpt | grep -v ID | grep -v SOFTWARE | wc -l`" >> $OUTPUT

 

 

 

 

- 벤더별 메모리 사용량 체크

[IBM]

export LANG=C

SCRIPT_HOME=/수정하세요


####### MEMORY CHECK ########
MEMINUSE=`svmon -G  | grep "in use" | awk '{print ($3)}'`
MEMTOTAL=`svmon -G  | grep "memory" | awk '{print ($3/$2)*100}'`
MEMCOMP=`svmon -G  | grep "memory" | awk '{print ('$MEMINUSE'/$2*100)}'`
MEMNONCOMP=`echo "scale=3; $MEMTOTAL - $MEMCOMP"|bc`

echo "CPU = `sar 1 2|tail -1|awk '{use=int($2+$3)}END{printf "%.0f\n",use}'`"
echo "MEM/COMP = $MEMCOMP"
echo "MEM/NONCOMP = $MEMNONCOMP"
echo "SWAP = `lsps -a | grep hd6 | awk '{ print $5 }'`"


[HP]

export LANG=C

SCRIPT_HOME=/수정하세요

####### MEMORY CHECK ########
MEMFREE=`vmstat 1 2 | tail -1 | awk '{ printf "%-d\n", $5*4}'`
MEMTOTAL=`echo "phys_mem_pages/D" | adb /stand/vmunix /dev/kmem|tail -1|awk '{ printf "%-d\n", $2*4}'`
MEMUSE=`echo "scale=3; 100-($MEMFREE*100/$MEMTOTAL)"|bc`

echo "CPU = `sar 1 2|tail -1|awk '{use=int($2+$3)}END{printf "%.0f\n",use}'`"
echo "MEM = $MEMUSE"
echo "SWAP = `/usr/sbin/swapinfo -tm|tail -1|awk '{use=int($3*100/$2)}END{printf "%.0f\n",use}'`"

 

[SUN]

export LANG=C
SCRIPT_HOME=/수정하세요

####### MEMORY CHECK ########
MEMTOTAL=`prtconf|grep Mem|awk '{print $3}'`
MEMFREE=`sar -r 1 2|tail -1|awk '{use=int($2*8/1024)}END{printf "%.0f\n",use}'`
MEMUSE=`echo "scale=3; 100-($MEMFREE*100/$MEMTOTAL)"|bc`

echo "CPU = `sar 1 2|tail -1|awk '{use=int($2+$3)}END{printf "%s\n",use}'`"
echo "MEM = $MEMUSE"
echo "SWAP = `swap -l|tail -1|awk '{use=int(100-($5*100/$4))}END{printf "%s\n",use}'`"

 

 

 

- system 정보 저장하는 shell

 

#!/bin/sh

IdChk=`id | grep root | wc -l`

if [ $IdChk -eq 0 ]; then
  echo
  echo "You must login root... Try again..."
  echo
  exit
fi

OutFile=`hostname`"_"`date +%y%m%d`.out"


echo "-------------------------------------------"| tee -a $OutFile
echo "             시스템 정기 점검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1. 점검 일자 : ' `date` | tee -a $OutFile
echo '2. 장비 이름 : ' `hostname` | tee -a $OutFile
echo '3. 모 델 명 : ' `uname -M` | tee -a $OutFile
echo '4. 시리얼번호 : ' `uname -u` | tee -a $OutFile
echo '5. OS 버젼 : ' `oslevel -r` | tee -a $OutFile
echo '6. 커널 비트 : ' `bootinfo -K`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CPU / MEMORY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dev -Cc processor" | tee -a $OutFile
lsdev -Cc processor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bootinfo -r"  | tee -a $OutFile
bootinfo -r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cfg -vp |grep Size"  | tee -a $OutFile
lscfg -vp |grep Size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ps -a"  | tee -a $OutFile
lsps -a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DISKS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lscfg -vp | grep disk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ADAPTERS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dev -Cc adapter"  | tee -a $OutFile
lsdev -Cc adapter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SLOT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slot -c pci"  | tee -a $OutFile
lsslot -c pci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CDROM 장치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dev -Cc cdrom"  | tee -a $OutFile
lsdev -Cc cdrom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APE 장치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dev -Cc tape"  | tee -a $OutFile
lsdev -Cc tape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File Systems 사용량"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df -Pk"  | tee -a $OutFile
df -Pk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LVM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vg "  | tee -a $OutFile
lsvg|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vg -o"  | tee -a $OutFile
lsvg -o|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pv "  | tee -a $OutFile
lspv|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vg |awk '{print "lsvg -l "$1}'|sh"  | tee -a $OutFile
lsvg |awk '{print "lsvg -l "$1}'|sh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NETWORK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ifconfig -a "  | tee -a $OutFile
ifconfig -a|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netstat -rn "  | tee -a $OutFile
netstat -rn|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EtherChannel "  | tee -a $OutFile
for ENT in `lsdev -Cc adapter|grep EtherChannel|awk '{print $1}'`
  do
  echo ""
  echo "== $ENT =="
        lsattr -El $ENT | tee -a $OutFile
  done
echo "# Duplex"  | tee -a $OutFile
for ENT in `lsdev -Cc adapter|grep ent|grep -v EtherChannel|awk '{print $1}'`
  do
  echo ""
  echo "== $ENT =="
        lsattr -El $ENT | grep speed | tee -a $OutFile
  don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ENVIRONMENT 정보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rontab -l "  | tee -a $OutFile
crontab -l|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at /etc/passwd "  | tee -a $OutFile
cat /etc/passwd|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at /etc/group "  | tee -a $OutFile
cat /etc/group|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at /.profile "  | tee -a $OutFile
cat /.profile|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at /etc/filesystems "  | tee -a $OutFile
cat /etc/filesystems|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cat /etc/environment "  | tee -a $OutFile
cat /etc/environment|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ulimit -a "  | tee -a $OutFile
ulimit -a|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attr -El sys0 "  | tee -a $OutFile
lsattr -El sys0|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attr -El aio0 "  | tee -a $OutFile
lsattr -El aio0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vmo -a|egrep 'perm|repage' "  | tee -a $OutFile
vmo -a|egrep "perm|repage"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Error Log 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errpt"  | tee -a $OutFile
errpt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LPP 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ppchk -v"  | tee -a $OutFile
lppchk -v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lpp -l"  | tee -a $OutFile
lslpp -l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ETC 확인" | tee -a $OutFile
echo "  ========"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conf"  | tee -a $OutFile
lsconf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lscfg -vp "  | tee -a $OutFile
lscfg -vp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ps -ef "  | tee -a $OutFile
ps -ef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 bootlist -m normal -o "  | tee -a $OutFile
bootlist -m normal -o | tee -a $OutFile
echo | tee -a $OutFile

echo 'Ending Date : ' `date` | tee -a $OutFile

 

 

 

 

- 사용자 자동 생성 shell

 * 인자값 입력형(예: user.sh 아이디 비번)

 

OID=`cat /etc/passwd|tail -1|cut -f 3 -d :`
NID=`echo "scale=0; $OID + 1"|bc`
UID=$1
x() {                                         
LIST=                                         
SET_A=                                        
for i in "$@"                                 
do                                            
        if [ "$i" = "admin=true" ]            
        then                                  
                SET_A="-a"                    
                continue                      
        fi                                    
        LIST="$LIST \"$i\""                   
done                                          
eval mkuser $SET_A $LIST                      
}                                             
x id='$NID' home='/u/$UID' rlogin='false' $UID

PW=$2
echo "$UID:$PW"|chpasswd
pwdadm -c $UID
echo "$UID 생성 완료"

 

 

 * 대화형(예:user.sh)

 

OID=`cat /etc/passwd|tail -1|cut -f 3 -d :`
NID=`echo "scale=0; $OID + 1"|bc`
read UID?'사번을 입력하세요 => '

x() {                                         
LIST=                                         
SET_A=                                        
for i in "$@"                                 
do                                            
        if [ "$i" = "admin=true" ]            
        then                                  
                SET_A="-a"                    
                continue                      
        fi                                    
        LIST="$LIST \"$i\""                   
done                                          
eval mkuser $SET_A $LIST                      
}                                             
x id='$NID' home='/u/$UID' rlogin='false' $UID

read PW?'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 '

echo "$UID:$PW"|chpasswd

pwdadm -c $UID

echo "$UID 생성 완료"

 

 

- DD 사용(원격)

 

블럭 디바이스
# dd if=/dev/hd3| rsh localhost "dd of=/dev/lv00 bs=1920000"


캐릭터 디바이스
# dd if=/dev/rlv01 ibs=64k obs=512 | rsh hostname dd ibs=512 obs=64k of=/dev/rlv01

 

 

 

- tar 사용

1. Compress(압축)명령
 . tar(create tape archives, and add or extract files)
:파일들을 묶어주는 명령들이다.(압축하지는 않습니다.)

ex) tar -cvf [만들 filename.tar] *    ==> 묶을 때 보통 tar이라는 확장자를 씁니 다.
그러면 filename.tar이라는 파일이 생성 됩니다.

tar -xvf [풀 filename]    ==> 묶였던 파일들이 다시 풀립니다.

compress, uncompress
: 파일을 압축하는 명령입니다. compress는 압축 uncompress는 풀어주는 명령입 니다.

ex) compress [filename]    ==> filename.Z 가 생성됩니다.

# compress temp.tar     ==> temp.tar.Z 가 생성됩니다.

-v 는 압축률을 보여줍니다.

# compress -v temp.tar

 compress는 tar처럼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원본파일을 압축하기만 합니다.

# uncompress [압축한 filename]     ==> 원래의 파일이 됩니다.

. gzip, gunzip
: 역시 파일을 압축하고 푸는 명령입니다. 보통 compress보다 성능이 좋습니다. 역시 -v option이 있습니다.

ex) gzip [fileanme]     ==> filename.gz 가 생성

#  gzip -v temp.tar     ==> temp.tar.gz 가 생성됨

gunzip [filename]

#  gunzip temp.tar.gz    ==> 원본인 temp.tar가 됨

 

 

2. tar백업(파이프 이용)

# tar -cvf - .|(cd /logdata_recover/ && tar -xvf -)

 

# tar -cvf- <path> | rsh <t_mach> "cd <path> && tar -xvf-"

 

 

 

 

 

- AIO관련 (aio활성화 후 재부팅 해야 적용되는 줄 알았는데...)

# mkdev -l aio0

이렇게 하거나

# smitty aio  -> Configure Defined Asynchronous I/O

 

- AIX(ksh)에서 파일명 자동완성(리눅스에서 일부만 입력후 tab키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

[ESC] + [=] 실행가능 list up

[ESC] + [\] 파일명 자동완성

 

 

- AIX에서 최대 생성가능 스레드 개수(확인 방법)

기본값은 process당 32767 개

# vi /usr/include/pthread.h 파일을 열어서  PTHREAD_THREADS_MAX  값을 확인 함

 

 

- process top10구현

# ps gu |head -n 1; ps gu | egrep -v "CPU|kproc"|sort +2b -3 -n -r | head -n 10

 

- svmon 상위 15개 용량

# svmon -Pt15|perl -e 'while(<>){print if($.==2||$&&&!$s++);$.=0 if(/^-+$/)}'

 

 

- 터미널(secure CRT등) 글자 깨질때(예: 바이너리파일을 열때  cat /usr/bin/ls)

# echo <ctrl+V><Ctrl+O><Enter>

 

 

- 미들웨어 버전 확인

# su - jeus -c 'jeusadmin -fullversion'

# su - webtob -c 'wsadmin -v'

# su - anylink -c 'tmadmin -v'

# su - tmax -c 'tmadmin -v'

반응형
반응형

기존에는 테이블을 새로 작성(reorg)  작업을 통해

커진 테이블 스페이스 크기를 복구 가능하였으나

10g 부터는 shrink 기능을 이용하여 손쉽게 테이블을 줄일수 있게 되었다.

Shrink 기능은 HWM(High Water Mark)를 줄일수 있는 기능이다.


- 사전 확인 사항

init.ora 파일내에 compatible = 10.2 이상인것을 확인

ASSM (Automatic Segment Space Management) 테이블 스페이스여만 가능

각 테이블 조회 방법은

SELECT obj.owner
,obj.table_name
,(CASE WHEN NVL(idx.cnt, 0) < 1 THEN 'YES' ELSE 'NO' END) shrinkable
FROM dba_tables obj,
(SELECT table_name, COUNT(rownum) cnt
FROM dba_indexes
WHERE index_type LIKE 'FUN%'
GROUP BY table_name) idx
WHERE obj.table_name = idx.table_name(+)
AND obj.tablespace_name = upper('&1')

쿼리를 통해 (테이블 스페이스 명을 인자값으로)

확인 가능하다.

1. 테이블 검색 방법

SELECT * FROM TABLE(DBMS_SPACE.ASA_RECOMMENDATIONS());

아래와 같이 테이블의 DBA_SEGMENTS에서 볼수 있는 크기와

축소 가능 크기가 조회된다.

SEGMENT_OWNER SEGMENT_NAME SEGMENT_TYPE PARTITION_NAME ALLOCATED_SPACE USED_SPACE RECLAIMABLE_SPACE
MAX_TI SMR_IF_LOG TABLE 6761793074 5910149080 851643994
MAX_TI SMR_IF_LOG_I01 INDEX 478455081 420139142 58315939
MAX_TI SMR_IF_LOG_I02 INDEX 411921243 398204079 13717164


2. 축소하기

가장 먼저 행들을 이동 가능하도록 변경한다.

위의 SMR_IF_LOG 테이블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ALTER TABLE SMR_IF_LOG ENABLE ROW MOVEMENT;

--> 반대로는 ALTER TABLE SMR_IF_LOG DISABLE ROW MOVEMENT; 이다..

이제 SHRINK 기능을 수행할수 있으며

다음 3가지 형태로 가능하다

① ALTER TABLE SMR_IF_LOG SHRINK SPACE; 
    -- SMR_IF_LOG 테이블의 공간만 TABLESPACE로 환원

② ALTER TABLE SMR_IF_LOG SHRINK SPACE CASCADE;
    -- 모든 관련 OBJECT까지 TABLESPACE으로 공간 환원

③ ALTER TABLE SMR_IF_LOG SHRINK SPACE COMPACT;
   -- 행들만 이동시킴.



※ SHRINK 를 적용 시킬  없는 테이블
UNDO segments
temporary segments
clustered tables
tables with a column of datatype LONG
LOB indexes
IOT mapping tables and IOT overflow segmnets
tables with MVIEWS with ON COMMIT
tables with MVIEWS which are based on ROWIDs.
반응형
반응형


회사 다운로드 주소 : http://gmdata.co.kr/


1. 지엠데이터를 실행하면 아래 화면과 같다



2. 위의 화면에서 다음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검사할수 있는 기능중 유용한 기능은
전체/부분 디스크 배드섹터 검사
이다

혹 검색중 배드섹트가 발생하다면 바로 A/S를 하러 가자


전문가가 아니라면 아래 화면에서 전체영역 검사하기(기본값)으로 검사를 선택한다.
    


검사 디스크 모양의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바로 시작하지 않는다.

난 이화면을 켜놓고 한참 기다렸다 -_-;

누르면 제일 아래의 화면과 같이 검사를 시작하고

이상이 있으면 알려준다...


만약 이상이 있다면

1년 이내에는 대부분 무상 A/S가 된다...

또한 삼성 하드라면 1년 이상된 하드는 약간의 유상 비용만 지불하면 교체해 주는 것으로 알고있다..(확실치 않음 -_-;;)
반응형
반응형

<SCRIPT>
<!--
function reload() {
var timeleft = time.left;
 timeleft.value = timeleft.value - 1;
 if (timeleft.value < 1) window.Location="monitoring.html" ;
//this would point to this page if you wanted to reload.
//Here I'm using it to keep people from just sitting on this page.
 {setTimeout('reload()',1000);}
}

setTimeout('reload()',1000)
//-->
</SCRIPT>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모니터링</title>
</head>

<body>
<FORM NAME="time">
 auto reload time : <INPUT TYPE=TEXT NAME="left" VALUE=60> seconds left</FORM>
<iframe name="portal" src="http://www.socialservice.or.kr/" height="1024" width="1280" ></iframe>
</body>
</html>

반응형
반응형

DBA_USERS                      : 데이터베이스 USER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ROLES                      : ROLE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TAB_PRIVS                  : 테이블에 대한 권한이 설정된 정보를 보여 준다
DBA_SYS_PRIVS                  : SYSTEM 권한이 설정된 정보를 보여준다
DBA_ROLE_PRIVS                 : ROLE에 대한 권한이 설정된 정보를 보여 준다.
DBA_COL_PRIVS                  : 컬럼 단위로 권한이 설정된 정보를 보여준다.
DBA_SEGMENTS                   : 세그먼트(저장공간이 있는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OBJECTS                    :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TABLESPACES                : 테이블 스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DATA_FILES                 : 테이블스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 파일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FREE_SPACE                 : 아직 사용되지 않은 영역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EXTENTS                    : 할당된? EXTENT의 정보를 보여준다.
DBA_TS_QUOTAS                  : QUOTA가 설정된 정보를 보여준다
DBA_TABLES                     :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TAB_COLUMNS                :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TAB_COMMENTS               : 테이블의 설명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PART_TABLES                : 파티션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PART_KEY_COLUMNS           : 파티션을 구성하는 기준 컬럼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COL_COMMENTS               : 컬럼에 대한 설명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준다
DBA_INDEXES                    :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PART_INDEXES               : 파티션된 인덱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IND_COLUMNS                : 인덱스를 구성하는 컬럼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CONSTRAINTS                : 테이블에 걸려있는 제약조건을 보여준다.
DBA_CONS_COLUMNS               : 제약조건을 구성하는 컬럼에 대한 조건을 보여준다.
DBA_VIEWS                      : VIEW를 정의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SYNONYMS                   : 시노님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SEQUENCES                  :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DBA_DB_LINKS                   : DB 링크에 대한 정의를 보여준다
DBA_TRIGGERS                   : 트리거에 대한 정의를 보여준다.
DBA_TRIGGER_COLS               : 컬럼 단위로 작성된 트리거에 대한 정의를 보여준다.
DBA_ROLLBACK_SEGS              : 롤백세그먼트에 대한 정보를 보여 준다.
DBA_SOURCE                     : FUNCTION, PROCEDURE,PACKAGE를 구성하는 PL/SQL 소스코드를 보여준다

 

출처 : http://www.jakartaproject.com/board-read.do?boardId=dbtip&boardNo=119026265610890&command=READ&page=1&categoryId=-1

반응형
반응형

사용되지 않은 공간을 DEALLOCATE하는 방법

========================================

 

 

Purpose

-------

TABLE, INDEX, CLUSTER 등의 DATABASE OBJECT들은 입력되는 자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새로운 EXTENT들이 자동적으로 할당된다. 이 때 필요 이상

과도한 크기의 EXTENT가 할당되면 실제로 자료가 들어있지 않거나 들어갈

예정이 없는 죽은 공간이 생길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죽은 공간은 DISK 전체의 사용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적절히 제거되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그 중에서 DEALLOCATE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Explanation

-----------

 

1. DEALLOCATE의 대상

 

TABLE, INDEX, CLUSTER들이 생성된 이후에 한번도 사용되어지지 않은 공간

ORACLE에서는 이렇게 한번도 사용되지 않은 공간을 HIGH WATER MARK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 HIGH WATER MARK

TABLE_A 의 EXTENT 구조

|-------------------|--------------------|-------------------|

EXTENT1 EXTENT2 | EXTENT3 |

| |

A.현재 DATA가 B.HIGH WATER MARK

차있는 위치

 

TABLE이 생성된 이후 DATA가 INSERT되어 B지점까지 공간을 점유하고

있었다고 가정을 하자. 이후 DATA가 DELETE되어 현재 DATA들이

점유하고 있는 위치는 A라고 하면 B지점이 HIGH WATER MARK가 된다.

 

DEALLOCATE 작업을 하면 HIGH WATER MARK 위의 공간만이 FREE되며,

HIGH WATER MARK 아래의 공간들(B-A)은 이후 DATA가 다시 INSERT될 것을

예상하여 그대로 빈 공간으로 남겨두게 된다.

 

 

2. DEALLOCATE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지 파악하는 방법

 

ANALYZE TABLE table_name COMPUTE STATISTICS ;

 

예1)

SELECT EMPTY_BLOCKS, BLOCKS

FROM DBA_TABLES

WHERE TABLE_NAME = 'table_name' ;

 

EMPTY_BLOCKS BLOCKS

------------ --------

6530 2400

 

EMPTY_BLOCKS - OBJECT에 할당된 총 SPACE중 HIGH WATER MARK 위의 공간

BLOCKS - OBJECT에 할당된 총 SPACE중 HIGH WATER MARK 아래 공간

 

여기서 EMPTY_BLOCKS + BLOCKS(해당 OBJECT의 총 SPACE)에 비해서

EMPTY_BLOCKS 이 과도하게 크고 앞으로 더 이상의 DATA INSERT도 일어나지

않을 계획이라면 DEALLOCATE를 하는 것이 좋다.

 

 

3. SYNTAX

 

ALTER TABLE table_name DEALLOCATE UNUSED [KEEP integerK] ;

ALTER INDEX index_name DEALLOCATE UNUSED [KEEP integerK] ;

ALTER CLUSTER cluster_name DEALLOCATE UNUSED [KEEP integerK] ;

 

KEEP 절을 사용하면 KEEP 절에 정의된 크기 만큼은 남겨 두고

DEALLOCATE를 한다.

 

예2)

위의 예1)에서

ALTER TABLE table_name DEALLOCATE UNUSED ;

를 수행하면 다음과 같이 SPACE가 FREE된다.

 

ANALYZE TABLE table_name COMPUTE STATISTICS ;

 

SELECT EMPTY_BLOCKS, BLOCKS

FROM DBA_TABLES

WHERE TABLE_NAME = 'table_name' ;

 

EMPTY_BLOCKS BLOCKS

------------ ---------

0 2400

 

 

위의 조회 결과를 보면 HIGH WATER MARK 위 부분(EMPTY_BLOCKS)은

FREE되어 0으로 표시되고 HIGH WATER MARK 아래 부분(BLOCKS)은

그대로(2400) 남아 있다

 

 

 

 

 

ORA-01653 에러와 같은 경우입니다..

해당테이블이 단지 일반 테이블이 아니라

INDEX 테이블이라는 것만 빼고... ^^

그럼 도움이 되셨길....

 

코멘트 2을 처음 님이 의도한 방법이고

코멘트 3는 제가 말씀드린 방법입니다

No. 11875

====================================================================================================

ORA-1654 ERROR ON INDEX SEGMENT

====================================================================================================

 

PURPOSE

-------

 

이 자료는 ORA-1654 error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자료이다.

 

 

Problem Description

-------------------

 

DML 작업 시에 다음과 같은 ORA-1654 error가 특정 tablespace에 대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01654, 00000, "unable to extend index %s.%s by %s in tablespace %s"

예) unable to extend index owner.object by 40964 in tablespace INDEX;

 

 

Workaround

----------

none

 

 

Solution Description

--------------------

 

1. tablespace에 남아 있는 공간 중 가장 큰 연속된 공간의 사이즈를 구합니다.

 

SELECT TO_CHAR(MAX(bytes), '999,999,999,999') free_space

FROM dba_free_space

WHERE tablespace_name = 'HDMF_TM_DATA_70';

 

 

ora-1654 에러가 났던 tablespace 이름을 대문자로 위에 써줍니다.

위에 나온 수치는 연속된 block들 가운데 가장 큰 사이즈의 extent를 보여주는

것인데, next extent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위에 나온 수치보다 더 큰 사이즈를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The above query returns the largest available contiguous chunk of space."

 

 

2. index의 storage parameter인 next_extent 값과 pct_increase 값을 확인합니다.

 

SELECT next_extent, pct_increase

FROM dba_indexes

WHERE index_name = 'INDEX NAME' AND owner = 'OWNER';

 

< TABLE 일경우 >

SELECT TO_CHAR(next_extent, '999,999,999') NEXT_EXTENT, pct_increase

FROM dba_tables

WHERE table_name = 'TB_KYBSMST' AND owner = 'HDMF_PRD';

 

--> 파티션 테이블에 대한 파티션 인덱스인 경우는

SELECT next_extent, pct_increase

FROM dba_ind_partitions

WHERE index_name = 'INDEX NAME' AND owner = 'OWNER';

 

 

ora-1654 에러가 발생한 index의 next extent 값과 pct_increase 값이 얼마인지

확인해 보십시오.

위에서 나타난 next_extent 값과 max(bytes) 값을 비교해 보세요.

 

 

3. 인스턴스의 db_block_size를 확인합니다.

 

vi $ORACLE_HOME/dbs/initSID.ora

 

db_block_size = 2048 또는 4096 또는 8192일 것입니다.

 

ora-1654 에러에 나타난 by 다음의 수치(예:40964) * db_block_size 만큼의

사이즈가 next_extent(byte 단위) 값과 같을 것이며, 이 만큼의 extent 영역을

할당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datafile을 추가 시 이 byte 값 이상의 사이즈를 추가해야 합니다.

 

 

4. ora-1654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

 

There are several options for solving failure to extend.

 

Manually Coalesce Adjacent Free Extents

---------------------------------------

 

ALTER TABLESPACE <tablespace name> COALESCE;

 

The extents must be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is to work.

 

Add a Datafile:

---------------

 

ALTER TABLESPACE <tablespace name> ADD DATAFILE '<full path and

file name>' SIZE <integer> < |k|m>;

 

 

Lower "next_extent" and/or "pct_increase" size:

-----------------------------------------------

 

For non temporary segment problem:

 

ALTER <object> <object name> STORAGE ( next <integer> < |k|m>

pctincrease <integer>);

 

For a temporary segment problem:

 

ALTER TABLESPACE <tablespace name> DEFAULT STORAGE

(initial <integer> next <integer> <|k|m> pctincrease <integer>);

 

 

Resize the Datafile:

--------------------

 

ALTER DATABASE DATAFILE '<full path and file name>' RESIZE

<integer> <k|m>;

 

 

Reference Document

------------------

<Note:146595.1

오라클 10G부터는

SHRINK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

위의 기능은 HWM (HIGH WATER MARK) 윗부분의 사용하지 않은 공간만 반환함

반응형
반응형

토드를 사용하려 할때 항상 Oracle 클라이언트를 설치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간단한 클라이언트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오라클에서 제공해주고 있다..

 

 

instantclient 라고 10g 부터 제공해주는거 같은데..

우선 아래 사이트에 들어가서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버전을 다운 받는다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tech/oci/instantclient/htdocs/winsoft.html

 

다운받을 파일은 instantclient-basic , instantclient-sqlplus 두가지를 받으면 됩니다.

sqlplus는 접속 테스트용..

 

1. 먼저 Instant Client Basic을 적당한 디렉토리에 압축 푼다.
  ex) C:\oracle\instanceclient


2. instant Client sqlplus 를 같은 디렉토리에 압축을 푼다.

 

3. tnsnames.ora 파일을 적당한 곳에 위치 시킨다.
  ex) C:\oracle\network

 

4. Instant Client를 복사한 디렉토리를 Path 환경변수에 추가한다.
  ex) set Path=%Path%;C:\oracle\instanceclient

 

5. tnsnames.ora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를 TNS_ADMIN 환경변수에 지정하여 준다.
  ex) set TNS_ADMIN=C:\oracle\network

 

6.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NLS_LANG 추가 (한글 깨질경우)
    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ORACLE
    문자열값 : KOREAN_KOREA.KO16MSWIN949

토드를 실행하고... 접속하면 됨.

 

참고로 sqlplus 를 실행할 때 msvcr71.dll 파일이 없다는 에러가 나오면(vista에서..)
해당 dll 파일을 찾아서 instance client를 설치한 디렉토리에 복사하여 준다.
 -> 구글에서 dll 명으로 검색하면 바로 다운받을 수 있다..

 

 

위와같이 설치 한다음에 toad 등을 실행하면 깔끔하게 동작한다..^^

 

 

^^ 무겁고, 귀찮고,, 내가 모르는것이 막 깔리는 기분이던 오라클 클라이언트를 이제 설치 안해도 된다는게 ... 깨운하다!~~ ㅎㅎ^^

 

출처 : http://blog.naver.com/jajakk93?Redirect=Log&logNo=100062623719

반응형
반응형

RAW 파일 한쪽만 권한을 바꾸어 주고 마운트시 정상적으로 마운트 되나

아래와 같은 오류 발생함...

ORA-01157: 데이터 28 파일을 식별 또는 잠금 할 수 없습니다- DBWR 추적 파일을 보십시오

ORA-01110: 28 데이터 파일: '/dev/rnvms06'

 

If you connect to sqlplus AS SYSDBA you could try


ALTER SYSTEM CHECK DATAFILES ; 
ALTER SYSTEM CHECKPOINT;

데이터 파일 복구 하도록 하고

양쪽 시스템 동기화 맞추기 ~

RAC 시스템 모두에서 위와 같은 명령을 턱 ~

원래는 에러를 발생하지 않게 하는게 정상임...

반응형

+ Recent posts